목차
1. 반응성 애착장애 이해하기
1) 반응성 애착장애의 정의
2) 반응성 애착장애의 특성
2.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 알기
3. 반응성 애착장애의 진단기준 알기
4. 반응성 애착장애 도와주기
참고문헌
1) 반응성 애착장애의 정의
2) 반응성 애착장애의 특성
2.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 알기
3. 반응성 애착장애의 진단기준 알기
4. 반응성 애착장애 도와주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 A항의 장애는 진단기준 C항의 병적 보살핌 이후에 시작되었다).
유형을 세분할 것
억제형: 임상양상에서 진단기준 A의 ①이 우세할 경우
탈억제형: 임상양상에서 진단기준 A의 ②가 우세할 경우
4. 반응성 애착장애 도와주기
반응성 애착장애 아이에게는 즉각적인 전문적인도움이 필요하다. 적절한 영양공급,신체적 후유증에 대한 치료, 적절한 자극과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대부분은 반응성 애착장애 아이들은 환경이 개선되고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될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들수록 치료는 어려워지며 설령 치료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차적인 문제가 많아지므로 부모도 치료를 포기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이 가장먼저 결정할 사항은 아이의 안전을 위해 입원을 시킬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경한 정도의 사례에서는 외래 치료도 가능하지만,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태가 심하거나 늦게 발견된 경우는 입원이 필요하다. 증상이 심한 아이들은 치료받지 않으면,정상적으로 살아가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입원할 경우 아이의 어머니가 고립감과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어 문제가 더욱 복잡해질 수도 있으므로,가능한 치료과정에 어머니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부모와 아이의 애착관계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이 결정적 시기를 놓치게 되면,아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애착은 생후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충분히 형성되어야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이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즉’ 아이의 반응성 애착장애는 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응성 애착장애의 아동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
① 정신사회적 지지 서비스: 양육이나 가사 보조자 고용, 가정의 물리적 환경 개선, 경제적 상태의 호전을 위한노력, 가족의 고립을 줄이기
② 정신치료적 중재: 개인정신치료,약물치료, 부모치료, 가족치료, 부부치료
③ 교육 상담 서비스: 집단 교육,부모 교육,양육기술 교육
③ 아이의 정서적,신체적 안녕의 개선에 대한 집중적인 관찰
④ 부모로부터의 격리: 입원,다른 친지에 의한 양육,위탁가정,입양, 수용기관 등 어떤 곳에서 아이를 성장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참고문헌
최송식, 최말옥 외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이규태 저,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 치료, 하나의학사 2015
이경희, 김은자 외 저,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2015
임혁 저,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유형을 세분할 것
억제형: 임상양상에서 진단기준 A의 ①이 우세할 경우
탈억제형: 임상양상에서 진단기준 A의 ②가 우세할 경우
4. 반응성 애착장애 도와주기
반응성 애착장애 아이에게는 즉각적인 전문적인도움이 필요하다. 적절한 영양공급,신체적 후유증에 대한 치료, 적절한 자극과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대부분은 반응성 애착장애 아이들은 환경이 개선되고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될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들수록 치료는 어려워지며 설령 치료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차적인 문제가 많아지므로 부모도 치료를 포기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이 가장먼저 결정할 사항은 아이의 안전을 위해 입원을 시킬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경한 정도의 사례에서는 외래 치료도 가능하지만,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태가 심하거나 늦게 발견된 경우는 입원이 필요하다. 증상이 심한 아이들은 치료받지 않으면,정상적으로 살아가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입원할 경우 아이의 어머니가 고립감과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어 문제가 더욱 복잡해질 수도 있으므로,가능한 치료과정에 어머니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부모와 아이의 애착관계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이 결정적 시기를 놓치게 되면,아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애착은 생후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충분히 형성되어야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이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즉’ 아이의 반응성 애착장애는 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응성 애착장애의 아동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
① 정신사회적 지지 서비스: 양육이나 가사 보조자 고용, 가정의 물리적 환경 개선, 경제적 상태의 호전을 위한노력, 가족의 고립을 줄이기
② 정신치료적 중재: 개인정신치료,약물치료, 부모치료, 가족치료, 부부치료
③ 교육 상담 서비스: 집단 교육,부모 교육,양육기술 교육
③ 아이의 정서적,신체적 안녕의 개선에 대한 집중적인 관찰
④ 부모로부터의 격리: 입원,다른 친지에 의한 양육,위탁가정,입양, 수용기관 등 어떤 곳에서 아이를 성장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참고문헌
최송식, 최말옥 외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이규태 저,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 치료, 하나의학사 2015
이경희, 김은자 외 저,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2015
임혁 저,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건강론) 새터민 정신건강 보고서
정신건강론,아동청소년 정신건강 보고서
[정신건강론] 인간발달에 따른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심리적 요인에서 성격이론을 설명
[정신건강론]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스트레스 관리전략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신건강론]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해 자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 2가지를...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정신건강의 기준 및 정상과 비정상의 분류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노년기의 정신건강문제인 선망(delirium), 치매(dementai), 자살(su...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 (Mentally Retarded) - 정신지체의 정의와 분류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
정신건강론 시간에 배운 내용과 교재를 참고하여 자신의 정신건강에 대해 서술
[정신건강론]성인 및 노년기 정신건강을 위해 자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 2가지를...
정신건강론)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기본원칙을 작성하시오.
정신건강론 시간에 배운 내용과 교재를 참고하여 자신의 정신건강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