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불평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불평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불평등의 정의
 2. 교육불평등의 종류
  1) 가족배경과 교육불평등
  2) 사회적 배경(지역)과 교육불평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기제로 파악된다.
고등학교 평준화에서 예외가 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학교, 이를테면 특목고와 자립형 사립고 등은 과거 일반고와 실업계의 관계처럼 새로운 계열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자립형 사립고의 경우 일반계 고등학교 등록금의 3배까지를 지불해야 하며 기숙사비용 및 기타비용을 포함하면 연간 최대 1500만원까지의 교육비를 학부모가 부담해야 한다. 따라서 자립형 사립고는 사회경제적으로 상층에 속한 학생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입학이 허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학부모들의 직업을 분석해 보면 상층 전문직 종사자의 비율이 34%정도에 달하며 이는 전체 취업인구 비율에 비추어 볼 때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직업 편중 현상이 심하다. 또한 평균소득의 경우에도 월 537만원으로 2005년도 1/4분기 도시근로소득자 월평균 가계소득인 329만원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자립형 사립고의 시행은 그 도입 취지와 무관하게 우리 사회의 계층 간 분열과 갈등을 부추기고 위화감을 조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편, 과학고등학고와 외국어고등학교 재학생들의 경우 아버지의 학력이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는 비율이 일반계고등학교의 경우보다 눈에 띄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일반계고의 경우 4년제대 졸업이 34.6%, 대학원 졸업 이상이 11.8%이며 이 두 수치를 합할 경우 46.4%지만 과학고의 경우 50.8%와 25.4%로 76.2% 외국어고의 경우 각각 53.1%와 24.9%로 두 수치를 합하면 78.0%나 된다.
어머니의 학력분포는 아버지의 학력보다 학교간 차이가 더 현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일반계고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 비율이 25.4%, 대학원 이상이 5.9%이며 이 두 수치를 합할 경우 31.3%이지만 과학고의 경우 각각 50.9%, 9.5%로서 60.4%이며, 외국어고등학교의 경우 각각 51.3%, 12.9% 및 64.2%이다.
가정의 경제적 상황을 보면 월평균 500만원 이상의 수입을 얻고 있는 가정의 경우 일반고는 17.4%, 과학고는 27.4% 및 외국어고는 38.7%임을 알 수 있다. 외국어고등학교 재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의 두 배 이상으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2) 사회적 배경(지역)과 교육불평등
지역별 교육실태
학교소재지역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학습 성취도를 보면 읍면지역의 교과 학습 성취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며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다른 지역과의 차이가 현격하다.
이는 초, 중학교는 읍면 소재 지역 학교를 다니더라도 고등학교 진학 단계에서는 경제적인 여유가 있거나 성적이 높은 학생들을 인근 도시로 보내는 경향이 오래전부터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Ⅲ 결론
교육 불평등은 접근기회의 불평등과 결과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기회를 보장하고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무교육 기간의 연장, 교육의 균형 투자, 학교교육의 하류계층 확대,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제반 사항 조처 등을 들 수 있다. 영국에서는 플라우든 보고서를 통해 적극적 차등정책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우선지구정책이 실시되었으며, 미국에서는 하류계층 아동들을 위하여 헤드스타트운동을 펼치는 등 보상교육을 통한 교육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격차를 파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도시농촌의 지역별 차이와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영향,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특징적인 것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한정신의 연구(1980)에 의하면 지능이나 학교 성적 등 모두 도시농촌 사이에 현저한 격차를 보인다고 한다.
최근 교육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시도사례로서 적정수강료 산출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조치는 비록 비판점이 많고 실효성에도 의문이 있지만, 사교육이 만연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고 나아가 이를 행정적인 지도범위 내에서 수강료를 적정화 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한걸음 나아갔다고 보여진다.
이 외에도 경제적 격차로 인한 교육격차, 지역적 차이로 인한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교육은 미래를 위한 기반이라는 점에서 교육에서의 불평등은 사회, 경제적인 불평등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사회의 불평등, 방하남 외
한국의 교육불평등, 김영화
대한민국 교육 40년,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교육과 사회 -거시미시 교육사회학적 관점-, 김병성
YTN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