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화(南北文化)의 동질성과 이질성] 한민족 문화의 특성, 남북한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통독의 문화적 통합이 남북통합에 주는 시사점(교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문화(南北文化)의 동질성과 이질성] 한민족 문화의 특성, 남북한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통독의 문화적 통합이 남북통합에 주는 시사점(교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남북한 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

1) 한민족 문화의 특성

2) 남북한 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

3) 통독의 문화적 통합이 남북통합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남북한 이질화 현상
3) 통독의 문화적 통합이 남북통합에 주는 시사점
동서독 두 체제는 통일 전 상호접촉과 교류를 크게 활성화하고 있었음에도 불구
하고, 45년이란 기나긴 세월을 분단 속에 살아야 했다는 데서 파생하는 후유증
은 대단히 크다. 첫째, 양독 국민의 생활문화 차이에서 빚어지는 심리적 갈등을
들 수 있다. 독일통일은 동독 공산체제가 서독 자유체제로 편입됨으로써 정치통
합은 쉽게 이를 수 있었지만 두 지역주민 간의 생활문화 습성은 정치통합만으로
는 간단히 용해되지 않았다. 동독인들의 피동적인 생활은 오래 몸에 벤 습성으로
인하여 서독주민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오씨와 배씨의 이야기처럼 동독주
민이 통일독일 내에서 이등국민으로 간주되는 것에는 바로 생활문화 통일에는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는 동독지역 주민의 준법정신과 질서의식의 해 이 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
는 공산독재에서 풀려나면서 공공질서 의식의 해체현상을 드러내고 있다. 사회
적 범죄행위와 청소년들의 일탈현상도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서독지역 주민에 대한 정치교육은 동 서독 통합의 이해, 통
합의 역사적 의의, 서독지역 주민의 물질적 희생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실시되
고 있다.
특히 정치교육을 기획하고 있는 사람들과 서독지역 주민들이 '정복자'로서의
우월의식이나 동독주민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고 정신적 심리적 분단의 극복
과정에 동참하여 동독주민들이 겪는 고통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며, 이와
관련 서독지역의 주민들 역시 정치교육을 실시하였다.
통독의 문화적 이질감이 남북한 통합에 주는 시사점은
첫째, 남북한이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즉동
독과 서독의 교류 협력은 20여 년 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 단계적
으로 수행해 왔다는 점이다. 동독과 서독은 가까운 이웃을 드나들 듯이 왕래와
접촉이 빈번하였고 또한 동독지역에서도 서독의 방송매체를 통하여 문화와 생
활, 가치, 습관, 태도 등의 문화적인 습성을 이해하고 알고 있었지만 실제 통일되
고 난 후에는 가치차이가 줄긴 하였으나 아직도 멀다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통
독 10년이 지난 지금도 가치적 혼란감에 의하여 통합이 불완전한 상태에 놓여
있다.
둘째, 통독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일 이전과 이후에도 남은 북에 대해, 북은 남
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상대방의 자체를 인정하고
생활습관 등 모든 문화적인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전제가 포함되어 있다. 탈북
주민들이 한국에 와서 아직도 정체성과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여러
자료들은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대단히 크다 하겠다. 그만큼 민족구성원들
의 생활상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이질감의 극복은 거북이와 토끼의 경주
처럼 어쩌면 힘든 경주일지도 모른다. 간혹 어떤 이론가들은 한 세대가 지난 후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 시간의 정신적 고
통과 심리적 갈등, 비용 등은 너무나 크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셋째, 교류 협력의 주체가 정보로부터 점차 다양한 민간조직으로 확대되었다
는 점이다. 이것은 서독의 자신감에서 비롯되었지만 한편으로는 같은 민족이라
는 동질성에서 비롯된 발로였다. 현재 우리의 기독교단체와 민간단체 등이 활발
히 북한과 교류 협력을 하고 있는 상황은 매우 큰 의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민간단체들의 대북 교류 협력 과정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편에서는 정
부와 협력을, 또 다른 한편에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통일 이후 통
합의 가장 빠른 길은 민족 구성원의 내적 일치인 가치와 문화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6.21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3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