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對話이론, 대화 가족치료이론] 대화 가족치료이론 기초, 대화 가족치료이론 원리, 대화 가족치료이론 역기능, 대화 가족치료 목표,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화對話이론, 대화 가족치료이론] 대화 가족치료이론 기초, 대화 가족치료이론 원리, 대화 가족치료이론 역기능, 대화 가족치료 목표,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기원 및 주요인물 1

2. 이론의 기초 1
2.1 공리모델 1
2.2 표현모델 1
2.3 흐름모델 2

3. 주요 개념 및 원리들 2
3.1 모든 행동은 대화라는 원리 2
3.2 내용과 관계의 원리 2
3.3 구두점의 원리 3
3.4 디지털과 아날로직의 원리 4
3.5 대칭과 상보의 원리 5

4. 역기능 대화의 형태들 5
4.1 대화를 부정하는 역기능 5
4.2 규정된 관계를 부정하는 역기능 6
4.3 병리적 의존의 역기능 7
4.4 불일치의 역기능 8
4.5 경쟁과 남용의 역기능 8

5. 치료의 목표 및 방법 9
5.1 치료의 목표 9
5.2 치료의 방법 9

본문내용

의 방식이 일치한다. 언어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면서 신체로 그 언어에 해당하는 정서와 상징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화가 났다는 것을 언어로 전달하면서 그에 맞는 화난표정, 일그러진 얼굴을 함으로써 디지털 대화와 아날로직 대화가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은 언어와 신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징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자신이 슬프다고 이야기하는 디지털대화와 얼굴은 웃고 있는 아날로직 대화사이에 불일치가 생기게 되면 상대방은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지 몰라 혼란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다른 경우는 남편과 부인이 서로 다른 종류의 대화를 할 때 역기능의 관계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남편은 디지털 대화를 하고 부인은 아날로직 대화를 할 때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4.5 경쟁과 남용의 역기능
대칭관계 또는 상보관계 그 자체는 역기능의 관계라고 할 수 없고 관계를 하는 두 사람이 동의를 하는 경우에는 역기능은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칭관계에서 두 사람이 서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경쟁을 하는 경우 역기능의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서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상대방을 힘으로 누르려는 방식의 대화를 하게 되는데 비난하기, 마음을 읽어내기, 협박하기, 조롱하기, 충분히 설명 하지 않기 등이 있다.
상보관계의 경우에도 우위에 있는 사람이 하위에 있는 사람을 보호하고 돌보려는 노력보다는 자신의 힘을 남용하는 관계를 만들 때 병리적이 된다. 예를 들어 설교를 일삼는 대화, 협박, 극단적인 말 추궁하는 방식 등 이 있다. 이렇게 대칭관계는 경쟁을 통해서 역기능의 대화를 하게 되고 상보관계는 남용을 통해서 역기능의 대화 형태를 갖게 된다.
5. 치료의 목표 및 방법
5.1 치료의 목표
대화 이론에 있어서 치료의 목표는 역기능의 상호작용을 바꾸는 일이다. 역기능의 상호작용이란 대화이론에 있어서 대화의 형태를 의미한다. 고정된 역기능 대화의 형태를 기능의 대화의 형태로 바꾸는 일이 치료의 주된 목표가 된다. 이러한 치료의 활동은 가족들이 자신들이 대화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을 보도록 하며 이루어지는데 이 활동을 '메타대화(Metacommunication)' 라고 한다.
5.2 치료의 방법
1) 가르치기(Teaching)
가족들로 하여금 가족을 대화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행동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증상이란 가족체계의 역기능이라는 점, 가족들의 행동은 대화라는 점, 대화는 일정한 흐름이 있다는 점, 대화는 역기능이 될 때 연속의 흐름이 중단된다는 점, 대화의 규칙을 부정할 때 대화는 역기능이 된다는 점, 대화에는 여러 가지 공리들이 있다는 점 등을 가르친다. 한 개인의 문제로 이해하는 개인주의 방식으로부터 증상을 대화라는 체제로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들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 틀을 갖게 된다. 즉 대화의 규칙을 가족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이도록 한다.
2) 분석하기(Analysing)
분석하기방법은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오는 역기능의 대화를 찾아내는 일이다. 모든 행동은 대화의 원리(사람은 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의 공리 측면에서는 대화의 어떤 요소를 부정함으로써 역기능의 대화를 하는 가를 찾아내며, 내용과 관계의 공리 측면에서는 어떻게 관계가 규정되는가 하는 점을 분석하게 된다. 구두점의 원리의 측면에서는 어떻게 연속된 대화의 흐름을 끊는 가를 분석하고 디지털과 아날로직의 대화원리의 측면에서는 가족들이 두 대화의 형태 간에 어떤 불일치를 가지고 있는 가를 분석하게 된다. 대칭과 상보의 대화원리 측면에서는 서로경쟁의 방식으로 대화를 하는가, 서로 힘을 남용하고 이를 당연시하는 방식으로 대화가 진행되는가 하는 점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숨겨져 있거나 불분명한 대화의 역기능 형태를 분명하게 밝혀서 가족 구성원들로 하여금 알게 해 준다. 또한 숨겨진 역기능의 대화를 찾아냄으로써 역기능이 가지고 있는 숨겨진 힘을 빼앗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3) 해석하기(Interpreting)
해석하기 방법은 가족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대화의 역기능의 형태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이해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역기능의 대화형태가 어떤 대화의 공리와 연결되는지 또는 이러한 연결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하는 점이 해석된다. 역기능의 대화형태가 어떤 대화의 공리와 연결되는지 또는 이러한 여결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하는 점이 해석된다. 부부가 서로 심하게 비난한다고 가정했을 때 상보와 대칭의 대화원리 측면에서는 두 사람은 서로 힘을 갖기 위해서 경쟁을 하고 있는 관계, 대화의 방식을 부정하는 역기능의 측면에서 본다면 두 사람은 서로가 전달하고 자 하는 대화의 내용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대화하고 있고 내용과 관계의 측면에서는 두 사람은 서로가 규정하는 관계의 방식에 대해서 부정하면서 대화를 하고 있다.
해석하기의 주된 일은 역기능의 대화를 대화이론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원리들과 개념들을 총해서 해석하고 이해하는 일이다.
4) 조정하기(Manipulating)
조정하기방법은 역기능의 대화의 형태를 바꾸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의 전략을 의미한다. 대화이론에서는 역설의 방법을 사용한다. 부부가 서로에 대해 심하게 비난하는 경우 치료자는 지금까지 하던 비난을 2배, 3배로 비난 수위 높여서 비난하도록 처방을 함으로써 부부가 자신들이 비난 행위에 대해서 메타차원에서 이해하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더 많은 비난을 하다가 부부들은 자신들이 어떤 방식으로 대화를 하고 있는지 깨닫게 되고 이것은 부부가 메타차원에서 자신들의 대화를 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치료자는 가족구성원들이 메타차원에서 대화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족체제의 바깥에서 객관의 사람으로 즉 메타의 사람(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으로서 입장을 갖게 된다. 치료자가 가르치고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조정하는 모든 행동은 가족들이 메타의 수준에서 자신들의 대화행동을 이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치료자의 대화행동에 대한 지적들은 가족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알게 하는 거울의 역할을 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7.02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