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제주도의 문화 (濟州島 文化) - 제주도의 주거, 제주인의 삶의 특징, 제주도의 의복문화(제주 의생활의 특징, 일상복, 노동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제주도의 문화 (濟州島 文化) - 제주도의 주거, 제주인의 삶의 특징, 제주도의 의복문화(제주 의생활의 특징, 일상복, 노동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주도의 주거

2. 제주인의 삶의 특징

3. 제주도의 의복문화
 1) 제주 의생활의 특징
 2) 일상복
 3) 노동복

참고문헌

본문내용

찌꺼기는 떨어내고 일단 초가지붕 위에 얹어 하룻밤 이슬을 맞힌 후 옷 모양을 반듯하게 펴서 넌다. 말릴 때는 멍석이나 지붕, 잔디 위 편편한 곳에 너는데, 햇볕이 잘 들고 공기가 잘 통해야 한다. 열흘간 마르는 대로 계속 물을 적시면서 말린다.
바래기를 잘해야 붉은 황토 빛깔이 나고 빳빳하여 풀을 먹인 옷처럼 된다. 햇볕을 잘못 쪼이거나, 장마로 인해 제대로 말리지 못하면 풀기가 죽어 후줄근하고, 빛깔도 거무튀튀한 흑갈색으로 되며, 견고성도 떨어지게 된다.
갈옷의 특징은 새 옷일 때는 뻣뻣하고 색도 빨갛다. 이슬 맺힌 풀밭에서 일을 해도 이슬이 스며들어 적셔지지 않고 물방울이 떨어진다. 좀 입다보면 부드러워지고 갈색으로 변한다. 낡은 것은 아기들의 포대기나 기저귀로 이용되고 더 낡으면 걸레로도 썼으며, 또 질기고 더러움이 덜 타고 늘 새 옷 입는 느낌이어서 자주 빨래를 할 필요가 없다. 한 벌이면 2년 정도 입을 수 있으며 일할 때는 몸에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시원하다. 거친 가시덤불이나 풀밭에서도 상처를 입지 않으며 먼지 흡착도 다른 섬유에 비해 덜하다. 제주 가옥마다 예전에는 감나무가 쉽게 눈에 띄었는데, 육지의 감과는 달리 직경 3~4cm로 작고 씨가 많기 때문에 식용보다는 주로 감물을 들일 때 많이 사용하였다. 갈옷의 기원은 어부들이 낚싯줄이나 그물 테가 질겨지도록 염색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조명환 저,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010
이정학 저, 문화광광의 이해, 대왕사 2011
한혜숙, 유명희 외 저, 관광학개론, 한올 2015
양위주 저, 글로벌 문화관광론, 한올 2015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7.03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