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원 (生態公園 / Ecological Park) : 생태공원의 사례와 프로그램 ; 생태공원의 역할과 특성 분석 {생태공원의 발생배경과 특성, 역할, 유형, 조성의 전제 조건, 사례, 생태공원의 프로그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공원 (生態公園 / Ecological Park) : 생태공원의 사례와 프로그램 ; 생태공원의 역할과 특성 분석 {생태공원의 발생배경과 특성, 역할, 유형, 조성의 전제 조건, 사례, 생태공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태공원이란?

2. 생태공원의 발생배경과 특성
 1) 생태공원의 발생배경
 2) 생태공원의 특성

3. 생태공원의 역할

4. 생태공원의 유형
 1) 체험 관찰형 생태공원
 2) 복원형 생태공원

5. 생태공원 조성의 전제 조건
 1) 인문적 측면
 2) 생태적 측면

6. 생태공원의 사례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2) 길동생태공원
 3) 아차산 생태공원
 4) 시화호 갈대습지공원
 5) 우면산 자연생태공원
 6)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7) 서울숲
 8) 함평 자연생태공원

7. 생태공원의 프로그램
 1) 시설프로그램의 설치기준
 2) 도시·산지형 생태공원의 시설프로그램 분류

참고자료

본문내용

철의 무더운 날씨가 속될 때에는 자주 관수해주어야 하며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멀칭을 이용한다.
야생초화원은 기존의 토지이용과 지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은 범위내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경사가 급한 곳의 경사를 완화하거나, 소공간의 구분을 식재계획 방향에 맞추어 조성한다. 생태생리적 적응양상이 서로 다른 야생초화류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미지형과 수광 조건의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키가 작은 관목류 중심으로 공간 프레임을 계획한다. 식물의 배치원칙은 첫째, 가능한 키가 큰 종류는 후면에, 키가 작은 종류는 전면에 배치한다. 둘째, 토양수분의 적합성과 수광조전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셋째, 가능하다면 색깔의 조화를 위해 색상의 보색원리를 적용하여 배치한다.
식용식물원은 식물을 배치할 상토를 조성하는데 저지대인만큼 30cm정도 상토층을 확보하며, 배수로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식용식물은 다양한 성상을 가지고 있으나, 입지 요구도는 햇빛을 많이 좋아하기 때문에 초기 정착과정을 제외하고는 수광조건을 양호하게 해야 한다. 또한 식용식물의 경우 양료요구도가 높으므로 적절한 시비과정을 통해 토양비옥도를 증진시켜주어야 한다. 상토된 토양이 유실되지 않도록 섬유망이나 자연재료로 멀칭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나무말뚝으로 고정한다. 식물의 성상에 따라 지주대가 필요한 식물은 함께 모아서 식재하고, 가능한 수확시기를 고려하여 수확 후 황량한 나지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연속성 개념으로 배식하고, 또한 키가 큰 식물과 작은 식물을 조화되게 배치한다.
수생식물원은 다양한 수심층을 형성하며, 가장 깊은 곳이 약1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수제선은 다양하게 계획하며, 육상지역에서 수제선에 따라 수심층으로 이어지는 지형경사는 최대한 완만하게 (1:10이하) 변하도록 물리적 지형기반을 조성한다. 식재지 기반의 토층은 적어도 50~60cm깊이, 가능하다면 1m깊이로 채운다. 경사면의 누수와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을 도포하고 섬유그물로 피복하며, 수변식생의 관찰을 위해 목재 데크를 설치한다.
습지식물원의 경우 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가진 갈대, 부들, 줄 등의 추수식물을 이용하며, 수로의 사행에 의한 체류 및 정화기능 강조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환금성작물인 미나리, 창포, 왕골, 연 등 수익성이 있는 수생식물 재배와 관찰데크, 안내판 등을 활용하여 습지관찰 및 식물에 의한 수질정화과정 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④ 가족활동공간 도입가능 프로그램 : 야생동물 도입종의 생태적 한계로 인해 다양한 동물의 유입은 불가능하며, 초지와 산립에서 자주 볼 수 있고 관리하기 쉬우며 파괴력이 적은 온순한 동물을 위주로 방목한다. 방사동물은 꿩, 토끼, 사슴, 다람쥐, 고라니로 한정하고 방목지의 수종은 아래 표와 같이 초종의 재생력과 지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수종으로 방목함으로써 평균개체수와 최고 현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목지의 경계는 덤불 및 울타리로 하여 인간의 무단침입으로 인한 동물의 피해를 막는다. 채식시간의 비율은 봄, 가을, 여름, 순으로 높으며, 채식활동이 활발한 시기는 아침, 낮, 저녁 순이다.
분구원은 토지를 100㎡규모로 나누어 인근 주민들 특히 노인들에게 분양하여 채소나 과일을 키울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곳에서 노인들에게는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이웃들과의 유대의 장으로 이용된다. 각 단지 내에는 도로와 생울타리 경계조성, 어린이 놀이터, 쓰레기장 등의 공동시설물을 설치하도록 한다.
방목지 수종
생활형
종류
다년생
흰겨이삭, 속털개밀, 겨이삭, 나도기름새, 오리새, 포아풀, 큰조아 제지, 갯겨이삭, 선포아풀, 토끼풀, 붉은토끼풀
1년생
개밀, 쌀보리, 참새귀리, 민바랭이, 강피, 나도개피, 호밀
⑤ 복합공간 도입가능 프로그램 : 피크닉장은 가족단위나 기타 사회단체의 야외활동으로 구성원의 화합을 다지고 자연을 즐기는 장소로 이용된다. 낙엽수림을 조성하여 경관미를 꾀하도록 조성하고 하층도입을 억제하여 이용성을 높인다. 또한 이용에 필요한 매점과 쉘터, 화장실, 벤치 등 편익시설의 배치도 고려해야 한다.
야외공연장은 이용자의 분산이 공연 시의 음압레벨의 영향에 민감한 시설로부터 이격시킨다. 다른 용도의 활동공간이 무대의 배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전망대는 공원·휴양림·유원지 등의 설계대상공간이나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지형에 배치하며, 설계대상공간의 성격·규모 및 전망대 주변의 경관 등과 조화되는 형태로 설계한다. 설계대상공간의 성격·규모·이용량을 고려하여 규모를 결정하고, 장애인 등이 접근하기에 불편이 없도록 경사로·승강기 등으로 설계한다.
휴게소는 적정한 인간 척도·기능성·미관성·안전성·표준성·내구성 및 환경친화성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들 설계목표가 서로 대립되거나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안전성과 기능성을 먼저 충족시키도록 한다.
설계대상의 성격·규모·이용권·보행동선 등을 고려하여 휴게공간을 균형 있게 배열한다. 휴게공간과 도로·주차장 기타 인접시설물과의 사이에는 녹지공간을 배치한다. 휴게공간은 입지에 따라 규모·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장소별 특성을 갖도록 한다.
참고자료
김영주, 과학과 체험활동 프로그램 적용 사례, 315호, 부산교육, 2005.
박태윤 외,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자료집, 2001.
백규현,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적용사례와 가능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논문, 2002.
성종상,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자연보존, 2000.
안영희, 녹지 생태학, 도서출판, 누리에, 2000.
이수미, 생태적 도시근린공원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논문, 2002.
이혁주 외, 한강시민공원 종합관리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이희동, 대구 달성습지 생태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4.
조명래, 공간의 정의와 생태문화운동, 문화과학 24호.
환경부. 자연환경복원종합대책 추진계획(안) 공청회. 환경부,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07.17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