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자폐성 장애 - 자폐성 장애의 정의 및 개념, 자폐증의 임상 증상, 발병 시기 및 연령에 따른 변화, 자폐증 발생 빈도와 역학, 자폐증의 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자폐성 장애 - 자폐성 장애의 정의 및 개념, 자폐증의 임상 증상, 발병 시기 및 연령에 따른 변화, 자폐증 발생 빈도와 역학, 자폐증의 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폐성 장애의 정의 및 개념

2. 역학

3. 원인론

4. 자폐증의 임상 증상
 1) 행동 특성들
 2) 사회관계 형성의 장애
 3) 의사소통의 장애
 4) 행동이나 관심의 폭이 극도로 제한된 증상
 5) 부수적으로 동반되는 증상

5. 발병 시기 및 연령에 따른 변화
 1) 자폐증의 발병 시기
 2) 연령에 따른 변화

6. 발생 빈도와 역학
 1) 남녀 성별
 2) 지능

7. 자폐증의 원인
 1) 유전적인 요인
 2) 선천적 요인
 3) 신경생리학적 요인
 4) 신경생화학적 요인

8. 심인성 요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능
자폐 아동들은 대부분은 지능지체를 갖는다. 약 40-60% 정도가 지능지수 50이하이고, 약 20-30%만이 지능지수가 7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물론, 표현 언어의 부족 등으로 검사의 어려움이 있어 자폐 아동에서의 지능검사 소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론이 되고 있다. 첫째, 행동 요법 등으로 동기를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능 저하는 여전하다. 둘째,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연구에서 여전히 지능 저하를 나타낸다. 셋째, 많은 자폐 아동들이 추적 기간 중 자폐증 증상(autism)은 호전되어도 지능은 변화가 없다. 넷째, 추적 연구들에서 처음 진단 시 존재했던 지능 지체는 지속한다(Tsai LY & Ghaziuddin M, 1991).
7. 자폐증의 원인
지금까지 자폐증의 원인에 관해서는 2가지 설명이 있어 왔다. 첫째는 선천적이 아닌 후천적으로 양육 과정에서 잘못되었기 때문에 자폐중이 된다는 심리적 환경적 원인론이다.
1) 유전적인 요인
자폐증의 유전적인 요인(genetic factors)을 보면, 몇몇 유전질환(예: PKU, fragile-X-syndrome)에서 자폐증과의 연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 외에 가족력 연구 등에서도 자폐 아동의 형제에서 빈도가 2-6%의 보고가 있다. 이 같은 발생 빈도는 일반 인구의 50배가 넘는 위험도를 갖는다. 또한 북유럽에서의 연구를 보면 일란성쌍생아에서는 91%, 이란성쌍생아에서는 0%의 일치율을 보고하기도 한다. 그 밖에 폴슈타인과 루터(Folstein & Rutter, 1997)는 자폐증과 인지 기능장애와의 연관성이 높다고 하였는데 자폐증 형제 가운데 6-24%에서 약한 형태의 인지장애(자폐증, 정신지체, 학습장애 포함)와 언어장애를 보인다고 하였다.
2) 선천적 요인
여러 기질성 뇌질환에서 자폐증 증상을 나타낸다는 보고들이 많다. 또한 출생 전후의 여러 요인들이 자폐증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논란이 많지만 나이 많은 엄마, 첫째와 넷째 이후 출생아, 임신 초기 후의 출혈, 임신 중의 약물 시용, meconium in amniotic fluid 등이 자폐증의 선천적 요인(congenital factors)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신경생리학적 요인
자폐증의 신경생리학적 요인(neurophysiologic factors)으로 대표적인 가설이 두 가지 있다. 첫째는 대뇌피질(cortical dysfunction)의 1차적 장애로 인한 언어, 의사소통이 주증상이고, 대뇌피질에서 기인되는 인지 기능의 장애를 주장하는 가설이다. 좀 더 부연하면 대뇌편향성 (hemispheric hteralization)의 장애로 체계적인 정보처리과정에 필요한 좌측 반구의 신경계가 발달되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둘째는 뇌간의 1차적 장애로 인해 감각의 수용과 운동 배출의 조절 능력에 장애가 생겼다는 주장이다.
4) 신경생화학적 요인
지금까지 자폐증의 신경생화학적 요인(biochemical factors)과 관련된 몇 가지 신경전달물질들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첫째, 세로토닌(serotonin)이다. 많은 연구에서 약 1/3의 자폐 아동에서 과세로토닌증(hyperserotonemia)을 보고한다. 그러나 아직 혈중 세로토닌 치와 어떤 자폐증 증상과의 일관된 연관성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은 없다. 더욱이 심한 정신지체 아동들에서도 과세로토닌증은 보고된다. 그러므로 세로토닌의 자폐증에서의 의의는 아직 확실치 않다. 둘째, 도파민(dopamine)이다. 켐밸(Campbell, 1977)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제인 항정신병 약물이 자폐증의 여러 증상들을 호전시킴을 보고하였다. 그 후 도파민 작용 물질(agonist)인 자극제(stimulants)들은 상동증, 공격성, 과잉 행동들을 악화시킴이 보고되었고, 도파민의 대사물질인 HVAOiomovanillic acid) 측정에 연구가 진행되었다. 일부에서는 척수액의 농도가 차이가 없지만 심한 장애에서는 높았다는 보고(Cohen et al 1974),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Leckman et al.,1980), 자폐중 환자에서 높았다는 보고(Gillberg &
Svennerholm, 1987) 등 일치된 결과가 없다. 또한 혈중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Launay et al., 1987; Minderaa et al., 1989).
8. 심인성 요인
몇몇 학자들은 자폐증 원인으로 생애 초기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정서적 원인(psychogenic factors)을 주장했다. 이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자폐 아동들의 부모들이 비정상적인 성격이나 양육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고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 의하면, 그것은 이러한 부모들의 특징이 원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그런 아동을 키우면서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현재는 이 같은 원인을 주장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즉, 정신분석의 영향으로 자폐증의 원인에서 가족 역동의 이상(Reiser, 1963), 무의식적인 부모의 적개심과 거부(Bettelheim, 1967),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명료하지 못함(Goldfarb et al., 1972) 등을 강조하였었다. 그러나 그 후의 여러 연구들에 의해서 이 같은 원인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
최근의 견해는 자폐증의 원인을 신체적 뇌 기능적 입장에서 이들 기능의 이상으로 보고 있다. 그 이유로 임신 중에 산모의 풍진, 임신 중기의 출혈이 있으면 자폐증의 발생 빈도가 훨씬 더 높으며, 그 밖에 뇌파검사에서 약 50-80%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다. 자폐증에서 정신지체, 간질, 뇌성마비가 동반된다는 후속 연구 결과가 이들의 선행 연구들을 뒷받침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선만 저,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14
문혁준, 김정민 외 저, 아동상담, 창지사 2014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Rita Wicks-Nelson, Allen C. Israel 저,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5
Mina K. Dulcan, Mary Beth Lake 저,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 학지사 2013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7.25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