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고전강독 공통] 漢詩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감상을 함께 넣어서 하시오 [방통대 중간과제물 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고전강독 공통] 漢詩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감상을 함께 넣어서 하시오 [방통대 중간과제물 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시(漢詩)란

2. 한시(漢詩)의 종류별 구분
1) 고체시
(1) 시경시(詩經詩)
(2) 고시(古詩)
(3) 악부시(樂府詩)
(4) 초사(楚辭詩)
2) 근체시
(1) 절구(絶句)
(2) 율시(律詩)
(3) 배율(排律)

3. 漢詩의 종류별 성격과 해당되는 작품의 감상문
1) 고체시
(1) 시경시(詩經詩)
(2) 고시(古詩)
(3) 악부시(樂府詩)
(4) 초사(楚辭詩)
2) 근체시
(1) 절구(絶句)
(2) 율시(律詩)
(3) 배율(排律)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송인>에 대해 “연남(燕南)> 양재(梁載)가 일찍이 이 시를 등사할 때 ‘別淚年年漲綠波’고 썼는데, 나는 생각건대 ‘作자나 ‘漲’ 자는 모두 합당하지 않다. 이는 ‘添綠波’라 하여야 한다.”고 비평하였다.
어떻든지 이 시는 이별의 안타까운 마음을 자연 경관과 대비하거나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비 온 뒤의 생명력과 신선감이 넘치는 풀빛과 대비되어 임을 이별하는 시인의 마음은 더욱 슬프기만 하고, 이런 슬픔의 정조가 자연 경관의 푸르름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흘리는 눈물 때문에 대동강 물도 마르지 않을 정도로 간절하다고 이별의 슬픔을 과장하여 말하고 있다. 즉 28자라는 비교적 짧은 시에서 자연과 인간의 정서는 하나가 되는 경지에 이르고 있다.
(2) 율시(律詩)
율시는 8구로 이루어진 근체시다. 한 구가 5자로 된 것을 5언율시라고 하고, 한 구가 7자로 되어 있는 것을 7언 율시라고 하는데, 1·2·4·6·8구 끝에 운자가 놓인다.
昨過永明寺 어제 영명사를 지나다가
暫登浮碧樓 잠시 부벽루에 올랐네.
城空月一片 텅 빈 성엔 조각달 떠 있고
石老雲千秋 천 년 구름 아래 바위는 늙었네
麟馬去不返 기린마는 떠나간 뒤 돌아오지 않으니
天孫何處遊 천손은 지금 어느 곳에 노니는가?
長嘯倚風 돌다리에 기대어 휘파람 부노라니
山靑江自流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이색, <부벽루(浮碧樓)>
이 시는 고려 말의 문신이었던 작가가 고구려 동명왕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평양의 명승지 부벽루에서 지난날의 영화롭던 시절을 회상하며 느낀 심회를 읊은 노래로, 5언 율시의 한시 문학적 품격을 지니고 있으며, 엄밀한 대구 표현에 의해 형식의 완결미를 추구하고 있다. 우선 수련과 함련은 선경에 해당되는데, 수련에서는 여정의 길에 부벽루를 방문했다는 것을 말하고, 함련에서는 부벽루 주변의 쓸쓸한 자연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경련과 미련은 후정에 해당되는데, 경련에서는 고구려의 후손인 주몽을 회상하고 인생 무상감을 토로하고 있으며, 미련에서는 자연의 무상함에 대한 시인의 감회를 읊음으로써 고려 왕조의 쇠퇴에 따른 국운의 위축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2, 4, 6, 8행에서 ‘樓, 秋, 遊, 流’와 같이 유사한 음으로 끝을 맺어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3구와 4구의 ‘城’과 ‘石’, ‘空’과 ‘老’, ‘一’과 ‘千’, 5구와 6구의 ‘麟馬’와 ‘天孫’, ‘去不返’, ‘何處遊’를 대응시켜 유한한 인간사와 영원한 자연을 대조함으로써 표현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한시는 선경후정의 시상 전개 방식과 표의 문자인 한자를 음수율에 따라 배열하는 정형시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랜 전통을 지녀 그 형식적 완성도와 세련미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주고 있다.
(3) 배율(排律)
배율은 12구 이상으로 이루어진 근체시이다. 이는 다시 오언배율과 칠언배율로 나눌 수 있다.
정약용, <탐진촌요(耽津村謠)>
棉布新治雪樣鮮 새로 짜낸 무명이 눈결같이 고왔는데,
黃頭來博吏房錢 이방 줄 돈이라고 황두가 뺏어가네.
漏田督稅如星火 누전 세금 독촉이 성화같이 급하구나
三月中旬{道發船 삼월 중순 세곡선(稅穀船)이 서울로 떠난다고.
이 작품은 다산이 탐진(眈津, 전남 강진의 옛 이름)에서 귀양살이를 하면서 그 곳 농민들의 어려운 생활을 목격하고 농민의 생활고를 가중시키는 관리들의 수탈을 고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황두에게 무명을 빼앗기고, 세금 독촉에 시달리는 농민들의 눈물겨운 삶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는데, 여기에서 다산의 애민 정신과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 백성을 근본으로 여기는 정치 사상 등을 엿볼 수 있다. <탐진촌요>는 <탐진농가(眈津農家)>, <탐진어가(眈津漁歌)>와 더불어 3부작을 이루고 있다.
4. 시사점
정지상, <송인(送人)>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긴 언덕에는 풀빛이 푸른데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남포에서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다할 것인가,
別淚年年添綠波 이별의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고려 시대에 정지상이 지은 7언 절구의 한시로, 대동강 남포에서의 이별의 정경을 노래하고 있다. 우리나라 한시 중 송별시의 절조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한시의 전통적인 형식에 따라 서경과 서정의 세계를 함께 보여 주고 있는 작품이다. 시적인 이미지를 선명하게 제시하고 언어를 함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은 한시가 가진 특성이기도 하지만, 이 작품에 담겨 있는 풍부한 서정성은 특히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이 시의 중심은 이별이고 강, 눈물 비로 단절의 슬픔이 묘사되고 있으나 시가 우울하지 않고 느낌이 산뜻한 것은 바로 기구가 형상화한 자연에 대한 시각적인 이미지 때문이다. 긴 둑 위의 풀이 비 온 다음의 청신함으로 그 생명력을 강하게 드러내 보임으로써 이별의 슬픔이 역설적으로 더욱 깊게 표출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漢詩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감상을 함께 넣어서 서술해 보았다. 한시는 우리 문자가 없던 시절부터 우리 선조들의 사상과 감정을 담아 왔던 문학의 한 장르로서 사랑과 이별, 자연에의 동경, 민중들의 삶, 애국, 풍자, 등의 풍부한 주제를 담고 있다. 시는 인간의 성정을 숨김없이 표현하므로 그것이 기쁨이건 슬픔이건 간에 읽는 이의 마음을 순화시키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공자는 시가 사람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한다고도 하였다. 오랜 전통 속에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를 담아 온 한시를 학습하는 일은 다방면에서 우리 선인들의 삶을 깊이 있게 통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심경호, 한학 연구 입문,이회문화사, 2005.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1999.
심경호,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서정시학, 2011.
안대회, 한국 한시의 분석과 시각,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김진영, 한국 한시의 위상과 작품 세계, 현대시학, 1993.
윤호진, 한시의 의미 구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1.
박미혜, 한시지도의 필요성 및 지도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9.07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