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언어의 이해 B형 세계의 주요 문자 관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언어의 이해 B형 세계의 주요 문자 관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인간언어 습득 이론
2. 문자의 발전과정과 유형
3,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
4, 표의문자의 개념과 특징
5, 음절문자
6, 세계의 주요 문자 - 중국어(한자)
7, 세계의 주요 문자 - 로마(끼릴) 문자 *이집트문자
8, 세계의 주요 문자 - 설형문자
9, 세계의 주요 문자 - 영어(영미국어)
10, 세계의 주요 문자 - 한글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하나는 8~9세기에 있었던 바이킹의 침입으로 이로 인해 영어는 북게르만어군의 영향을 받았다. 다른 하나는 1066년 있었던 노르만 정복으로 이로 인해 프랑스어와 노르만어가 유입되었다. 이런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으며 고대 영어가 형성되었다.
브리튼 섬에 세워진 앵글로-색슨의 고대 왕국들에서는 저마다 고대 영어의 다양한 사투리가 쓰였다. 후기에는 색슨족이 들어와 저지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았다. 영어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요소 가운데 하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파였다. 530년의 베네딕도 규칙서에서부터 1536년의 수도원 해체까지 브리튼 섬에는 많은 가톨릭 수도원이 세워졌다. 초대 주교였던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이후 가톨릭 성직자들은 수도원을 통해서 문자와 문학을 전파하는 학교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중세기간 동안 수도원은 브리튼 제도에서 지식의 보고였고 이들의 활동은 영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톨릭 수사들은 중세 유럽의 링구아 프랑카였던 라틴어를 사용하였고 영어 역시 라틴어의 영향을 받았다.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런던에서 쓰인 영어를 초기 근대 영어라 한다. 이 시기 영어는 철자법이 고정되고 어순이 확립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산업혁명과 과학의 발달은 라틴어와 그리스어 어근을 바탕으로 한 막대한 과학어휘가 새로 만들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의 성립으로 영어는 브리튼 섬 전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대영제국 시기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세계 곳곳에 영국의 식민지가 확장되자 영어 역시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 시기 영어가 전파된 주요 국가로는 오늘날의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있다. 또한 영어는 영국이나 미국의 영향권 하에 있었던 파키스탄, 가나, 인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케냐, 우간다, 필리핀 등 많은 나라에서 공용어로 사용된다. 여러 공용어 중 하나인 경우도 있다.
1945년 국제연합의 설립 이래 영어는 국제연합의 공식 언어들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영어는 게르만어파의 언어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사실상 전 세계 언어 중에서 가장 폭넓게 쓰이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영제국의 대외 팽창으로 인해 전 세계로 영어가 확산되고,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이 증가한 데에 기인한다. 특히 근대에 들어 통신기술의 발달로 영어는 다른 문화권에 영향을 주고 있다.
10, 세계의 주요 문자 - 한글
한국어는 지구상에 쓰이고 있는 수천 가지 언어 중에서 중국어, 힌디어, 스페인어, 영어, 아랍어, 벵골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등에 이어 사용 인구수로 열세 번째를 차지하는 언어이다. 이러한 한국어에 대해 우리는 자긍심을 가질 만하다.
지구상의 소수 언어가 자꾸 소멸해 간다는 보고가 있고 그래서 앞으로 몇 언어만 살아남을 거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전망에 기대어 영어를 공용어로 삼아야 하고 심지어 우리의 후손들은 한국어 대신 영어를 모국어로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있는 형편이다.
한글은 이른바 음소 문자로서, 자음을 나타내는 글자와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따로 만들어져 있다. 그런데 로마자 같은 일반적인 음소 문자와는 달리 자음자와 모음자를 합쳐서 음절 단위로 모아쓰게끔 만들어졌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 점에서 음절 문자와 비슷한 성격도 일부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한글 맞춤법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기초를 두고 있다. 1988년 부분적으로 수정되었으나 기본적인 특징은 그대로이다. 한글은 자음 글자와 모음 글자로 되어 있다. 한글은 음소 문자이지만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꿀벌’이라는 단어는 ‘ㄲㅜㄹㅂㅓㄹ’로 적지 않고 ‘꿀벌’로 적는다. 글자로서의 음절은 초성과 중성, 받침의 세 위치로 나뉜다. 초성에는 자음 글자 19개가 쓰인다. 19개 중에서 ‘ㅇ’은 소리가 없다. 예를 들어 ‘우유’에서 ‘우’와 ‘유’의 ‘ㅇ’은 소리 없이 자리를 채워 주는 역할만 한다. 중성에는 21개의 모음 글자가 쓰인다. 받침에는 16개의 홑받침 글자, 11개의 겹받침 글자가 쓰인다.
결론
언어의 발달 과정은 인류가 진화한 것처럼 상당한 시간을 두고 변모한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 한글의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고,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같은 계열의 글자를 만들었고, 모음은 철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천(天) ·지(地) ·인(人)의 3재(三才)를 뜻하는 ' · ㅡ ㅣ'의 세 글자를 바탕으로 문자를 창제하였다.
거의 모든 나라의 문자가 어떤 다른 문자를 빌려서 자기 말에 맞게 고쳐 쓰거나, 변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오늘에 이르렀지만, 한글은 특정한 시기에 독창적 ·체계적으로 만들어진 뛰어난 표음문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실을 보면 안타까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지나친 약자와 외래어, 여기에 듣도 보도 못한 외계어까지 우리의 언어사용은 아쉬운 점이 많은 것 같다. 언어가 사회의 분위기와 세태를 반영하는 속성을 가졌다고는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과한 점이 많다. 언어는 만물의 영장인 인간이 창조한 고도의 지적 산물이다. 그럼에도 우리 조상들의 얼과 삶이 배인 우리말을 홀대하고 오용하는 것은 스스로의 얼굴에 침을 뱉는 행위라고 생각된다. 오랜 세월동안 변모해 온 우리말을 아끼고 선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자료
언어의 이해 한국방통통신대학교 2014
강범모 (2007), 풀어쓴 언어학 개론 언어, 한국문화사.
고려대학교 대학국어편찬실(1984), 대학인을 위한 언어와 표현,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방한 (2001),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김선미 (2003), 언어와 언어학 이론, 한국문화사.
김진호 (2004), 언어학의 이해, 역락.
노마 히데키, 김진아 외 역(2012), 한글의 탄생(문자라는 기적), 돌베게.
박종갑 외 8인(2007), 북한의 언어와 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소쉬르, 최승언 역(2007), 민음사.
송완용 (1999), 언어학 기초이론, 신아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5.10.0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