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장애] 장애인(장애아동)의 언어평가(언어평가의 목적과 내용, 평가방법 및 도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사소통장애] 장애인(장애아동)의 언어평가(언어평가의 목적과 내용, 평가방법 및 도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사소통장애] 장애인(장애아동)의 언어평가

I. 평가목적 및 기본원리

II. 평가내용

III. 평가방법 및 도구
1. 평가과정 개요
2. 배경정보 모으기
3. 언어평가방법
4. 언어평가 도구 및 방법

본문내용

(collection & transcription)하여 분석
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언어의 특성별로 분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
미 짜여진 형식의 규제를 덜 받는 비공식적인 검사방법으로 임상연구
자의 학문적 선호도와 배경에 따라 평가하고자 하는 언어적 특성들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다음 언어의 네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Lund & Duchan, 1993; Owens, 1995). 즉, 언어의 발음 등과
관련된 음운론(phonology), 발화길이나 문법형태소, 문장의 구문구조
등과 관련된 구문 및 형태론(syntax & morphology), 어휘분석이나 의
미분석과 관련된 의미론(semantics), 의사소통기능이나 언어의 사용 등
과 관련된 화용론(pragmatics)등의 네 영역이 일반적으로 분석의 대상
이 된다(Lund & Duchan, 1993). 이러한 언어적 특성의 일부를 컴퓨터
를 이용해 분석할 수 있도록 최근에 개발된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어발
화분석(배소영, 2000)이 있다. 자발화 분석에서도 평균발화길이 등 측
정치를 수량화할 수 있으나 아동의 언어특성패턴이나 오류특성 등과
같은 기술적인 평가결과는 앞으로의 치료 교육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해 준다. 예를 들면, 조음/음운장애를 지닌 아동의 말샘플 분석에서 개
별 음소들의 오류뿐만 아니라 문맥 속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음운
의 오류 패턴을 확인하는 일은 앞으로 치료 목표와 방법을 어떻게 설정
할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위에 기술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들 이외에 장애유형에 따라
첨가하여 실시해야 할 검사들이 있다. 예를 들어, 말더듬 등 유창성 장
애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외국의 검사들을 번역 개발한 것이지만 말의
더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창성장애정도측정표(SSI: Stuttering
Severity Instmment), 말에 대한 부담을 측정하는 대화부담평가표(s-24
scale), 아동태도검사표(Children s Attitude Test) 등의 검사들이 사용
되고 있다(권도하, 1986; 김수영, 1995; 신문자, 200. 음성장애를 평가
하는 경우에도 다음의 부수적인 검사들이 사용되곤 한다. 음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객관화해 주는 검사법으로는 외국의 검사를 번역 개발
하여 사용되는 GRBAS평정법이 있으며, 이 척도는 음성의 거친 정도
(rough), 숨이 새어 나오는 정도(breathy), 가냘픈 정도(asthenic), 쥐어
짜는 정도(strained)등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심현섭, 2001). 이 외에
도 음성의 질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예 : Visi-Pitch)가 사용되고 있다(김현기, 2000). 특히, 최근에는 종래의
귀로 들어 판단하는 주관적 평가방법이외에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
용하여 음성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개발 사용되고 있는
현상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구개파열로 인한 조음장애 평가
분야에서도 국내에서 개발 사용된 구개도측정기(Photo Palatography)
는 발음의 구개도를 볼 수 있게 하는 검사이며(박혜숙 김현기 최홍
식 2001), 비음상태를 측정하는 비음측정기(Nasometer)가 있고, 컴퓨
터말소리측정기(CSL: Computerized Speech La는 말소리의 음향음
성학적 특성들 (예: 공명이상 유무, 비강포르벤트, 말소리명료도)을 측
정할 수 있게 해 준다(김현기, 2000; 신효근, 2001). 신경관련 장애를 위
한 평가검사로는 표준화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개의 외국 검사들이 실
어증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화 과정 중에 있는 미네소타실어증검사(MTDDA: Minnesota Test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Aphasia)와 웨스턴실어증검사(WAB:
Western Aphasia Battery)가 있으며, 그 이외에도 보스톤실어증검사
(BDAE: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와 포취의사소통능
력검사(PICA: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가 널리 쓰이고
있다(김향희, 2001). 실어증 심층분석을 위한 검사로서는 한국판 보스
톤이름대기검사(김향희 나덕렬, 1997)와 청지각적 이해능력을 측정하
는 토큰검사(RTT: Revised Token Test)가 쓰이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