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심리학(정서의 중요성, 정서이론의 통합, 기본정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서심리학(정서의 중요성, 정서이론의 통합, 기본정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정서의 중요성
1. 표현 이론
2. 생리적 이론
3. 인지 이론
4. 생리학적 이론

III. 정서이론의 통합

IV. 기본정서

본문내용

하면 수치심이란 정서를 갖게 되는데 이 정서 때문에 한 사
회가 도덕적으로 파탄나는 것을 막게 된다고 설명한다.
Averill의 사회인지 정서이론은 우리의 정서가 우리 사회가 중요시하는 가
치가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짐을 암시하고 이 정서를 바꾸거나 통제할 때에도
이점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예컨대 우리와 같은 동양사회에서 여자가 자기
주장을 강력하게 하거나 반대로 남자가 나약하게 행동하는 것은 좌절을 얻기
쉽다. 왜냐하면 우리 사회의 통념이 위와 같은 행동을 용납하려 들지 않기 때
문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점차 이에 대한 우리의 통념이 바뀌어가고 있다. 즉
남녀동등권이 사회에서 점차 강하게 일고 있기 때문에 남자 같은 여자, 여자
같은 남자를 보고도 남들이 손가락질하지 않는다. 즉 남녀의 역할, 성고정 관념
이 바뀌면, 이와 관련된 우리의 정서(Averill의 말에 따르면 사회적 정서)도 바
뀌어 진다. 그러나 사회적 정서는 개인적 정서에 비해 그것을 통제하거나 바꾸
는 것이 쉽지가 않다. 왜냐하면 개인적 정서는 스스로의 신념을 바꾸면 되지만
사회적 정서는 근본적으로는 사회적 가치관과 신념이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회적 정서이론은 다른 문화권의 정서경험과 정서표현이 우리와 다름을 시
사한다. 즉 사회적 정서는 각 사회가 중요시하는 가치에 따라서 발생하므로 그
내용이 우선 다를 수 있다. 루스 베네딕이란 세계적 문화인류학자는 일본 사회
는 한 마디로 말해서 '수치심'의 사회라고 명명했다. 일본 사회는 개인의 체면
유지를 제일 소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사회는 성취를 중요시하는 사
회다. 따라서 개인의 목표, 희망이 좌절될 때 많은 정서를 느낀다. 한국사회는
일본과 미국이 중요시하는 가치관을 모두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회이다.
기본 정서표현은 같지만 이차적 또는 학습된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은 나라
마다 다르다. 따라서 우리는 각 나라의 정서표현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
컨대 동양사회에서는 남자가 우는 것은 아주 드물지만 서양인은 남녀가 슬플
때 우는 것을 당연시한다. 또 어떤 때 어떤 방식으로 우는 것이 마땅한가는 그
사회가 정한 규범에 따른다. 아프리카의 어떤 나라에서는 사람이 죽은 것은 좋
은 나라에 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가 집에서 우는 사람은 미친 사람취급을
한다. 그곳에서는 웃고 떠들어야 한다. 그러나 그 아프리카인이 한국의 초상집에 가서 그런 식으로 행동을 한다고 상상해보자. 그가 어떤 대접을 받을 것인지
우리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우리는 앞에서 우리의 기본 정서에 대한 표현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임을 알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서에 대한 신체적 변화도 마찬
가지이다. 그래서 미국사람들에게 항우울제로 특효약인 'Projec'은 한국사람에게
도 효과가 있다. 항우울제가 우울증환자에게 특효약이란 사실은 우리가 정서연
구에 있어서 특히 정서통제에 있어서 생리학적 연구 특히 생화학적 연구가 필
요함을 시사한다. 현재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정서심리
학자들이 큰 기대를 품고 있다.
지금까지 정서 연구의 세 가지 흐름이 있음을 설명했다. 각 흐름이 서로 배
타적인 면이 없지 않으나 그러한 상이한 관점은 어떤 정서를 연구했는가에 따
론 차이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James연구와 생리학적인 연구는 기본정서나
순수한 또는 단순한(coarse) 정서를 설명하는데 알맞은데 비해 인지심리학적인
이론은 우리의 목표, 의도, 희망과 관련된 이차적 또는 학습된 정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더 나아가 Averill의 사회적 정서이론은 문화적으로 차이가 나는
정서를 이해하거나 도덕적 정서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 이제 독자들은 정서에
관한 세 가지 관점이 전혀 갈등적이거나 모순적이지 않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제 이 장의 나머지는 정서심리학의 보다 구체적인 몇 가지 문제, 곧 기본정
서, 정서의 정의 등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IV. 기본정서
기본정서에 관한 문제는 다윈의 정서표현이론과 그 이론을 현대적 연구방법
으로 증명한 Ekman의 연구로부터 출발한다. 즉 다윈이 주장한 정서표현은 동
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이론은 일부 학자로 하여금 몇 가지 정서는 동물세
계 전반에 통용되는 소위 기본정서일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특히
Ekman이 여러 문화권을 대상으로 몇 가지 정서는 문화권, 나라가 달라도 그
정서표현방식이 같다는 연구결과를 얻음으로서 기본정서에 대한 관심이 그 지
지근거를 갖게 되었다.
앞에서 언급했지만 Ekman은 기본 정서로 여섯 가지(happiness, disgust,
surprise, sadness, anger, fear)를 꼽은 반면 Plutch는 여별 개의 정서를 주장
했다. 특히 그는 이 여덟 개의 정서를 원반형식으로 도식화할 수 있는데 원반
상 이웃해 있는 정서가 서로 합쳐지면 새로운 정서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예컨
대 아래의 그림에서 공포와 놀라움이 합쳐지면 경악(awe)이라는 새로운 정서가
나타난다. 그리고 놀라움과 슬픔이 겹쳐지면 실망(disappointernent)라는 정서가
싹튼다. 그의 기본정서이론과 정서의 배합설은 흥미롭긴 하지만 이를 증명하는
그 어떤 실증적 자료가 없다는 것이 흠이다.
기본정서를 간단하게 정의한 사람도 많다. Watson은 fear, rage, love의 세
가지를 꼽았고, 중국의 한의학에서는 anger, happiness, sorrow, fear의 네 가
지를 선정했다(Carlson & Hatfield, 1992).
기본정서의 개념이 필요한지 그리고 만일 필요하다면 과연 어떤 것이 기본
정서인지에 관해서는 아직 정서심리학자들이 자신 있게 대답하지 못한다. 저자
의 생각으로는 인지적 평가가 없이 감지되는 정서 예컨대 고통, 불안, 공포, 애
착 등이 기본 정서로 분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정서는 하
등동물에게서 나타나고 다윈이 주장한대로 유기체의 생존에 필요하기 때문이
다. 또 인지적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에 자동적으로 감지되는 느낌들이기 때문
이다. 그러나 기본정서개념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정의는 앞으로 계속 연구되
어야할 과제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