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이론] 성취욕구이론(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앳킨슨의 기대가치모델), 와이너(Weiner)의 귀인이론, Dweck의 무기력감 학습이론, 성취동기와 성취행동에 대한 이론의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취이론] 성취욕구이론(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앳킨슨의 기대가치모델), 와이너(Weiner)의 귀인이론, Dweck의 무기력감 학습이론, 성취동기와 성취행동에 대한 이론의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취이론] 성취의 동기와 행동에 대한 이론

I. 성취욕구이론
1. 맥클리랜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1) 성취하는 사회
2) McClelland 접근의 문제점
2. 성취욕구이론의 개정 : Atkinson의 기대-가치 모델
1) 성취목표의 가치
2) 성취행동과 기대

II. 와이너(Weiner)의 귀인이론
1. 성취행동에서 ‘안정성’과 ‘통제소재’의 비중
2. 연령에 따른 성취귀인의 차이

III. Dweck의 무기력감 학습이론
1. 무기력감은 어떻게 학습될까?
2. 무기력감을 학습한 아동을 도우려면?

IV. 성취이론에 대한 종합 논평

본문내용

여전히 자신의 능력이 높고 그 과제를 잘 할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 꼬마들이 미래의 성취를 그렇게 낙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원망적 사고'다. 즉 어린 아동은 자신의 바람과 그것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을 혼동하여 자신이 진정 원하기만 하면 성취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어린 아동들이 이렇게 비현실적일 정도로 낙관적인 이유 중 하나는 교사의 태도다. 교사들은 어린 아동의 성취과제에 대해 내용이나 질보다는 열심히 노력한 것에 초점을 맞춰 칭찬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7세 아동은 때때로 노력과 능력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 그래서 한 과제를 오래한 아이가 빨리 마친 아이보다 더 똑똑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아동들은 8-12세 사이에 구체적 조작이라는 인지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능력과 노력을 구분하게 된다(Pomerantz et al., 1997).
또한 사회적 경험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교사들이 점차 아동의 능력평가를 강조하며 노력보다는 성취의 질에 따라 평가한다.
노력보다는 능력에 의해 우수집단이 선발된다. 이와 더불어 아동은 자신의 성취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사회적 비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II. Dweck의 무기력감 학습이론
학령중기에 이르면 아동이 자신의 성취에 대해 사용하는 귀인패턴-특히 실패의 귀인패턴-에 분명한 차이가 나타난다(Dweck et al., 1983; 1988). 일부 아동은 숙달지향적으로, 성공은 높은 능력에 그리고 실패는 외부요인에 귀인한다. 또한 이들은 실패했을 때도 좀 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믿고 노력을 계속한다.
반면 성공을 행운, 노력 같은 불안정한 요인에 귀인하는 아동은 성공했다 해도 큰 자부심을 느끼기 어렵다. 이들은 대개 실패를 능력부족과 같은 안정된 내적 원인에 귀인하기 때문에 성공기대가 낮고 시도하지도 않은 채 지레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즉 학습된 무기력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패의 원인을 어피해 볼 도리가 없는 능력부족에 귀인한다면 그와 유사한 문제를 또 해야 할 경우 열심히 노력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학습된 무기력감을 보이는 아동은 자신의 낮은 능력을 통제할 수 없으며 노력해 봤자 허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포자기하는 것이다(Ruble, 1997).
(1) 무기력감은 어떻게 학습될까?
아동의 무기력감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인물은 부모, 교사이다(Dweck et al. 1978). 이들은 평가방식을 통해 무심코 무기력감의 학습을 촉친할 수 있다. 아동이 잘했을 때는 열심히 노력했다고 칭찬하고 못했을 때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나무란다면, 아동은 성공을 불안정한 요인(노력)에 그리고 실패를 안정된 요인(능력부족)에 귀인하기 쉽다. 이러한 귀인양식은 무기력증후를 나타내는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학생이 잘했을 때는 교사가 지적 능력을 칭찬하고 못했을 때는 비지적 측면(예 : 게으름)을 지적하는 경우, 학생은 자신이 똑똑하며 더 열심히 하기만 하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즉, 이러한 청가패턴은 학생으로 하여금 성공을 안정요인(능력)에 그리고 실패를 불안정요인(노력 부족)에 귀인하도록 부추겨서 성공지향성의 발달을 돕게 되는 것이다.
(2) 무기력감을 학습한 아동을 도우려면?
무기력감을 학습한 아동으로 하여금 보다 끈기 있게 성취과제 특히 집중적이며 장기적인 노력을 요하는 과제를 해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는 귀인재훈련* 이다. 귀인재훈련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부족과 같은 고치기 어려운 것이 아니라 자신이 극복할 수 있는 것(예 : 노력 부족)에 귀인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Dweck(1975)은 어려운 수학 시험에 실패한 후 무기력감을 학습한 아동들에게 두 치료 중 하나를 받도록 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 아동 중 1/2은 '성공뿐인 치료'를 받았고, 다른 1/2은 귀인재훈련을 받았다.
귀인재훈련을 받은 아동은 성공치료를 받은 아동과 똑같이 성공률이 25%였지만 실패 후 "빨리 하지 않았구나, 좀 더 열심히 했어야 했는데."라고 말해 주었다. 즉 능력부족이 아니라 노력부족이라고 확신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귀인재훈련을 받은 아동은 틀렸던 문제를 더 잘 해결했고 다시 틀렸다 해도 그 이유를 노력부족에 귀인하였다. 반면 성공뿐인 치료를 받은 아동은 개선되지 않았고 틀렸던 문제가 다시 나오면 포기하였다. 이와 같이 단순히 성공의 경험을 주는 것만으로는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감을 치료하기에 부족하다.
치료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무기력감을 학습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인데 부모와 교사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령 복잡한 과제를 다루기 쉽게 나누어 아동으로 하여금 성공을 많이 경험하게 하는 것은 무기력감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아동의 성공을 능력에 귀인하며 칭찬하고, 실패는 노력 부족에 귀인함으로써 자존심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자신의 평가가 아동의 성취지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어른들이 깨닫는 것은 무기력감학습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IV. 성취이론에 대한 종합 논평
이제까지 우리는 성취에 관한 네 가지 이론을 살펴보았는데 그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cClelland등은 성취동기수준의 개인차와 성취동기를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성취동기로써 한 사람의 모든 성취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은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욕구성취이론을 수정한 Atkinson은 실패의 당혹감을 피하고자 도전적 과제로부터 움츠러드는 '실패회피동기'를 제안하였다. 셋째 Atkinson 모델과 Crandall의 사회적 학습접근은 성공의 기대나 유인가와 같은 인지적 요인이 성취행동에 중요한 결정인임을 밝혀 주었다. 넷째 Weiner의 귀인이론은 Crandall의 통제소재론을 기초로 하며 성취결과의 원인에 대한 귀인과 개인의 성취기대, 그리고 성공/실패의 가치지각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Dweck의 무기력 학습모델은 습관적 귀인양식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함으로써 인지요인과 동기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