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념-자존심] 자기개념과 자존심의 발달 - 자기출현(자기인식),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학령전기 아동의 반응,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자기개념, 자존심의 기원과 발달, 자존심 결정요소 및 변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개념-자존심] 자기개념과 자존심의 발달 - 자기출현(자기인식),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학령전기 아동의 반응,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자기개념, 자존심의 기원과 발달, 자존심 결정요소 및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기개념과 자존심의 발달

I. 자기의 출현
1. 자기인식 : 아기는 언제부터 자신을 알아보는가?
1) 자기인식을 결정하는 요인
2) 자기인식의 사회적/정서적 결과
3) 범주적 자기의 출현

II.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학령전 아동의 반응
- 초기의 ‘심리적’ 자기개념에 대한 증거

III. 아동 중기와 청소년기의 자기개념

IV. 자존심 : 자기개념의 평가적 요소
1. 자존심의 기원과 발달
2. 자존심의 결정요소
3. 아동 중기와 청소년기에 이르는 자존심의 변화
4. 자존심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
1) 부모의 양육방식
2) 또래의 영향

본문내용

같이 아동이 자기를 스스로 평가하는 측면을 자존심이라 한다. 자기개념의 일면연 자존심은 자신의 여러 속성에 대한 느낌이나 평가와 관련된다.
자존심이 높은 아동은 자신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자신의 장단점을 인식하며, 자신의 여러 특성과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낀다. 반면 자존심이 낮은 아동은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며, 자신의 장점보다는 단점에 더 주목한다.
(1) 자존심의 기원과 발달
자신의 여러 속성과 능력에 대한 아동의 평가는 행동과 심리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존심의 기원은 무엇이며 언제부터 현실적인 자기 가치감을 갖게 될까?
이러한 의문은 답하기는 쉽진 않지만 Bowlby(1988)의 작용모델이론에서 어떤 단서를 찾을 수는 있을 것이다. 그에 따르면 안정애착아동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 작용모델을 형성했기 때문에 불안정애착아동보다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한다. 한 연구에서 4-5세 아동의 자기 가치감을 알아보기 위해 "인형아 너는 이 아이랑 놀고 싶니? 이 아이는 좋은 아이일까 나쁜 아이일까T라고 물어보았다. 이에 대해 아동들은 손인형을 통해 대답하였다. 그 결과 엄마에게 안전하게 애착한 아이들은 불안정 애착아동보다 자신에 대해 더 호의적으로 대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이 아이들이 유능하고 사회적 기술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아이들은 애착을 통해 4~5세경부터 이미 자기-가치감을 형성하게 된다.
(2) 자존심의 결정 요소
Harter(1982, 1990)는 아동용 자기지각검사를 통해 사회적 인정, 과제/학업 능력, 신체/운동 능력, 행동의 네 가지 영역에서 자존심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존심을 결정하는 요소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7세 아동은 자기평가 시 사회적인정과 과제능력을 중요시한다.
이들의 평가는 흔히 지나치게 긍정적, 비현실적인데 이것은 실제보다는 그렇게 되고 싶다는 희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Harter et al. 1984). 8세경부터 아동은 신재능좌, 학업능력, 사좌적인정의 세 가지를 중요시할 뿐만 아니라 남들의 의견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가령 이들은 학업적 자존심은 성적 교사의 평점과, 사회적 자존심은 급우들의 평가
와, 신체적 자존심은 놀이 게임에 얼마나 자주 뽑히는지와 관련지어 평
가할 수 있다. Cooley의 거울속 자기에서 보았듯이 나에 대한 타인의 지
각과 반응이 자기인식과 자기존중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
다. 또한 자존심에서 어린 아이들은 자신의 평가를 중요시하는 데 비해
성장할수록 타인의 평가를 더 많이 고려하게 된다(Harter, 1990).
청소년 초기에는 대인관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관계 자존심이 중요
시된다(Harter et al. 1998). 관계 자존심은 맥락에 따라 다르다. 즉 함께
있는 사람이 부모인가, 교사인가, 친구인가에 따라 그리고 관계의 속성
에 따라 청소년이 느끼는 자존심의 수준이 달라진다. 가령, 친구 사이에
서는 인기가 높은데, 부모로부터 늘 욕먹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정반대
의 아이도 있다. 특히 대인관계에서 이성친구, 동성친구의 중요성이 커
지는데, 소녀들은 친구들과 지지적 관계를 맺고 있을 때 그리고 소년들
은 친구들에게 엉향력이 있다고 느낄 때 자부심을 느끼는 차이가 있다.
(3) 아동 중기와 청소년기에 이르는 자존심의 변화
자존성은 얼마나 안정된 것인가? Erikson(1963)에 따르면 신체적 인
지적 사회적 변화가 심한 사춘기에 이르면 초기 청소년은 당황하게 되
며 자존심이 이전보다 다소 낮아진다고 한다. 초기 청소년의 자존심이
낮아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춘기의 급격한 신체적 변화로 인해 청소년은 신체상에 대해 지
나치게 비판적이고 자의식적으로 변화된다. 12-16세 청소년들은 외모에
대해 불만이 많을 경우 자기상이 부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Lerner et
al., 1980). 둘째, 어린 청소년들은 가장 연장자이고 존경받던 초등학교 시
기와는 달리 중학교에서는 나이가 가장 적고 능력도 부족하다고 느끼게
된다(Seidman et al. 1994). 셋째, 형식적 조작이 가능해진 이 어린 청소년들은 '이상적 자기'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는데 자신이 원하는 모습과
현재의 모습 간의 큰 차이를 인식하면서 자존심이 낮아질 수 있다. 넷째,
중학교에 적응하기, 사춘기의 변화에 대응하기, 가족의 변화.부모의 이
혼이나 실직)에 적응하기 등과 같은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자존심을 더욱
낮출 수 있다(Simmons et al., 1987). 게다가 자율성 추구욕구가 높아짐으
로 인해 청소년은 가정에서나 학교에서나 일상적 말다툼, 불쾌한 일을 이
전보다 더 많이 경험하며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
이 사춘기 초기는 청소년들에게 다소 힘든 시기이기도 하다.
(4) 자존심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
1) 부모의 양육방식
부모는 자녀가 자존심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아동 초기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작용모델 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령기와 청소년기에 자존심이 높은 아이들의 경우 부모는 다정하고 지지적이며 지켜야 할 기준을 분명히 정해 주는 동시에 자녀들에게 발언권을 주는 경향이 있다(Lamhorn et al. 1991). 이와 같이 지지적인 양육방식을 취하는 부모들이 주는 "넌 분명히 규칙을 따르고 좋은 결정을 내리는 사람이라고 믿어."라는 메시지는 자녀의 자존심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2) 또래의 영향
5-6세부터 아동은 사회적 비교를 통해 여러 영역에서 자신이 다른 아이들보다 잘하는지 못하는지를 인식하게 된다(Pomerantz et al. 1995). 내가 철수보다 더 빨리 달려. 내가 영희보다 그림을 더 잘 그려."와 같은 사회적 비교는 아동이 자존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인적 평가는 협동 팀워크를 중요시하는 키부츠 같은 집합주의 사회에서보다는 개인주의 사회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Butler et al. 1993). 자존심에 대한 또래의 영향은 청소년기 동안에 더 뚜렷해진다. 청소년들이 자기평가에서 특히 중요시하는 것은 친한 친구와 애인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