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상담] 프로이드의 인간관과 성격발달이론, 정신병리,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목표 및 기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석상담] 프로이드의 인간관과 성격발달이론, 정신병리,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목표 및 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CONTENTS -

정신분석상담

I. 인간관
1. 인간에 대한 기본가정
2. 성격의 구조적 개념
3. 성격의 발달
1) 동기 : 삶과 죽음의 본능
2) 성격발달의 단계
(1) 구강기
(2) 항문기
(3) 성기기
(4) 잠재기
(5) 생식기

II. 정신병리
1. 불안
1) 현실적 불안
2) 신경증적 불안
3) 도덕적 불안
2. 자아 방어기제
1) 억압
2) 투사
3) 반동형성
4) 전위
5) 고착
6) 퇴행
7) 감정의 고립
8) 취소
9) 신체화
3. 이상성격의 형성
1) 심리적 증상 형성
2) 성격발달상의 문제

III. 상담의 목표 및 기법
1. 자유연상
2. 정화
3. 꿈의 해석
4. 통찰
5. 저항과 전이

IV. 발달적 고려(놀이의 활용과 부모의 참여)

본문내용

.
(1)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자유연상은 무의식에 있는 생각과 갈등을 의식수준으로 표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이면 그것이 어떤 것이든 상관없이 그대로 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식을 벗어난 또는 비도덕적이고 비인간적인 것이라고 하더라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내담자가 자유롭게 연상하려고 노력하는 동안 상담자는 가능한 한 인간적인 태도로 대해야 한다. 또한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 사이의 관계를 찾아야 한다. 상담자는 언뜻 보기에는 두서없어 보이는 내담자의 말 중에 어떤 논리가 있는지를 찾아보아야 한다. 내담자가 말한 것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 상담자는 자유연상 동안 내담자의 감정과 말 이면에 주의를 기울이고 몸짓, 어투까지도 주목해야 한다.
(2) 정화(catharsis)
무의식 속 깊이 묻혀 있던 모든 억압된 생각과 경험을 이야기할 때 억압되었던 강렬한 정서적 감정이 발산된다. 억눌린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기억 속에 부착되어 남아 있던 고통스런 기억과 감정들이 효과적으로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한 고통을 주는 비밀에 대해 말하거나 고백하므로 해서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을 찾을 수 있다.
(3) 꿈의 해석
꿈이란 무의식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자아와 본능과의 관계 또는 본능적 충동의 표출과 억압과의 균형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보통 때는 감히 의식수준으로 들어올 수 없었던 무의식의 본능적 욕구가 수면 중 자아의 기능이 약해진 틈을 타서 왜곡되거나 상징화되어 위장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꿈의 분석을 통해서 억압된, 잠재된 무의식적 본능을 알 수 있다.
(4) 통찰(insight)
심리적 문제를 가진 사람은 대체로 무의식 속에 어떠한 갈등과 고통스런 등기를 가지고 있다. 통찰은 무의식 속에 숨겨진 것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내담자에게 그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찰이란 자신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이해함과 동시에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음을 이해시키는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이 된다.
(5) 저항(resistence)과 전이(transference)
저항과 전이는 정신분석 상담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저항이란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치료적 노력과 관계없거나 치료를 방해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내면의 갈등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일시적인 고통의 정서반응을 회피하려는 데서 저항이 생기게 된다. 저항은 여러 가지 형태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상담시간에 늦거나 어기기도 하고 상담 도중 어떤 화제에 대해 일부러 피하거나 다른 주제로 바꾸며 문제를 더 깊이 파고들지 않으려고 계속 반복적으로 말을 하거나 침묵을 지키거나 하는 것 등이다.
저항은 단순히 상담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자신 속에 적응하는 기능이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방어기제와 저항의 원인 및 영향을 스스로 이해하여 자기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치료적 역할을 한다.
전이란 개인이 과거에 경험했던 감정, 갈등, 욕망 등을 현재 상황에서 반복하려는 경향에서 발전된다.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과거에 자신과 관계를 맺었던 중요한 인물에게 느꼈던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겨서 느끼는 것이다. 흔히 아동상담 장면에서는 내담아동은 자신의 부모와의 관계를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재연하면서 상담자에게서 이전에 부모에게 느꼈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전이 감정을 크게 느끼도록 하여 상담을 이끌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느끼는 감정이 무엇이며, 그의 감정이 현재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생긴 것이 아니라 전에 그에게 일어났던 어떤 것을 반복하여 재현시키고 있음을 인식시킨다.
상담자는 또한 역전이(counter-transference)에 대해서도 조심해야 된다. 역전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억압된 무의식적 갈등이나 동기를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보였던 전이현상과 똑같은 전이현상을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보일 수 있는 것을 역전이라 부른다.
치료적 도움을 주는 전이현상과는 달리 역전이 현상은 상담자가 자신의 성격역동에 대한 통찰이 부족할 경우 치료를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신분석 상담자에게는 상담자의 역할을 하기에 앞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자기분석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4. 발달적 고려(놀이의 활용과 부모의 참여)
정신분석 상담을 아동상담에 적용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동이 정신분석적 상담기법을 활용할 만큼의 언어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아동의 정서적 문제는 부모-자녀 관계의 어려움이나 부모의 양육기술의 미숙 혹은 부족에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아동상담에서는 아동의 제한적인 언어능력을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활용과 상담과정에 부모를 참여시키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아동상담자는 아동을 일반적인 상담실이나 놀이실에서 만날 수 있으며, 놀이실에는 아동이 언어적 그리고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놀잇감들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에 상담자는 아이의 놀이에 함께 참여하여 아동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이끌어 가야 한다. 상담자는 놀이 안에서 아동의 과거와 현재를 관련지어서 아동이 하고 있는 놀이의 의미를 알려 주고 아동이 자신의 문제에 직면하여 원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신분석적 아동상담에서는 아동과의 상담에 앞서 부모면담이 이루어지는데 부모면담을 통해 양육사와 현재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아동의 문제가 대부분 부모-자녀 관계나 부모의 양육상의 문제에서 기인되는 경우가 많아 부모면담 시 부모들은 불안하고 긴장할 수 있으며 때론 방어적 태도를 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아동의 부모와 좋은 관계를 맺도록 노력해 상담과정에서 부모의 협력이 필요함을 인식시켜야 한다.
특히 어린 아동인 경우는 상담이 진행되는 중에 부모와 주 1회에 한 번씩 만나 가정에서의 아동의 행동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과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쳐 줘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