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의 학문적 접근 - 언어와 두뇌에 관한 신경언어학적 접근, 언어와 사고에 관한 심리언어학적 접근, 언어-사고-문화에 관한 인류언어학적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의 학문적 접근 - 언어와 두뇌에 관한 신경언어학적 접근, 언어와 사고에 관한 심리언어학적 접근, 언어-사고-문화에 관한 인류언어학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언어와 사고

I. 언어와 두뇌에 관한 신경언어학적 접근
1. 언어와 두뇌
2. 언어와 종족

II. 언어와 사고에 관한 심리언어학적 접근

III. 언어, 사고, 문화에 관한 인류언어학적 접근

본문내용

린이가 사용하
는 눈짓, 몸짓, 혹은 옹알거리는 소리는 어른이 도구로 사용하는 대화 환경
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렇게 언어와 사고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면서 언어는 사고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사고 활동 역
시 연어에 매우 큰 작용을 미치고 있다.
언어와 사고의 긴밀한 관계를 설명한 Halliday는 언어 학습이란 사고
를 표현하는 방법 의 학습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언어는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나 내용을 다듬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는 오랜 기간 탐구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미해결
의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나, 인간의 언
어를 파악하기 위해서, 더 나아가서 인간 자체를 알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III. 언어, 사고, 문화에 관한 인류언어학적 접근
인간은 인간 종족 특유의 언어다운 언어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언어를
통하여 문화를 형성하고 발달시킬 수 있으며, 앞 세대의 문화를 다음 세대
로 전달하여 보다 더 나은 문화를 영위해 나간다. 또한 언어를 통해 한 세
대 한 세대 전달되어 쌓여진 문화의 토대 위에서 새로운 인류사회를 이룩
해 나가는 힘을 갖게 된다.
특히 문자언어의 발명은 인간으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문
화를 축적하고 지식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인류 사회의 문화를 점점 고
도로 발달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언어의 힘은 인간을 인간답게 그
리고 인간다운 삶을 살게 하는 위대한 힘을 갖고 있으므로 언어는 인류 사
회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다. 인류언어학(anthropological
linguistics)은 언어가 어떻게 인류 사회의 문화적 맥락 안에 관련되는지에
관심을 둔다.
언어와 인지를 논하는 데 언어와 문화를 논하지 않으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잃어버리는 것이 된다. 특히 1956년 Lee Whorf가 언어의 상대성
가설을 제시한 후 언어심리학과 언어철학에서는 연어와 문화 간 차이, 그
리고 유사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었다.
언어, 사고, 문화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20세기 초반에 특히 활발했는
데, 이때 인류학자와 언어학자들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를 연구하기에 바
빴다. 예를 들면, 그들은 그린랜드의 에스키모인들의 언어에는 눈의 다양
한 유형을 기술하는 많은 단어 형태가 있음과 여러 문화에 따라 색 스책트
럼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분리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미국인들은 녹색과
파랑색을 다른 색으로 인지하지만 어떤 다른 문화에서는 녹색과 파랑색 둘
모두를 표현하는 한 단어를 갖는다. 또 한편으로 러시아어는 미국인들이
파랑색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두 단어를 가진다.
한국인은 에스키모인과 같이 눈 속에서 삶을 유지하지 않아도, 적어도
세 가지의 눈에 대한 용어가 있다(예; 함박눈, 싸락눈, 진눈개비). 눈에 대
해서 하나의 어휘만 있는 미국인도 눈의 질적 차이는 지각할 수가 있을 것
이다. 논리적, 분석적으로 볼 때 인지적 지각능력이 우선하며, 물론 이 인
지적 지각능력은 인간의 본질이다.
어떤 인류 언어학자들에게 이러한 증거는 한 문화가 사용하는 언어는
세계의 지각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데, 이 견해는 종종 -Whorf의
가설 (Whorfian hypothesis)'이라고 불린다. 즉, Sapir와 그의 제자인
Who구은 언어와 사고의 상호영향설을 주장하면서 이를 심층적으로 연구
하였다. 그들은 언어에서 의 차이가 사고의 차이를 일으킨다고 다소 급진적
인 결론을 내렸다. 우리가 지금의 방식대로 보고 듣고 경험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연어 습관이 그렇게 해석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Sapir, 1964). 이는 언어적 배경이 비슷하거나 또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조
정되지 않는 한, 모든 관찰자들은 우주 안의 같은 모습이라도 똑같이 지각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Whorf, 1956).
한편 인류언어학자들은 언어의 사용은 인간 행동의 한 형태이므로 한
연어의 문법은 한 문화의 부분임에 틀림없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당
신' 을 의미하는 인칭대명사의 형태에 있어서 불어에서는 'tu 가 당신을 나
타내는 단수와 친근형이며, 'VOUS'는 복수와 존칭형이고, 영어에서는
you'가 단수, 복수, 친근, 존칭 등의 모든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고려
되어야 할 문화적 요인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법적 사실들만을 기술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그들의 문화에 대해 알지 못하면 '당신'
의 어떤 형태를 사용해야 할 지 곤란을 겪을 것이다.
또한 문화 집단의 이동이나 문화 간의 접촉에 따라 언어는 어떤 테두리
안에서 다소 달라지게 되고, 이러한 차이가 점차 파급되고 시간이 경과함
에 따라 언어의 변화를 가져 온다. 영국 영어가 미국으로 건너가 발음이 달
라지고 뜻이 변화되어 쓰이는 것이 그 한 예이다. 미국 인디안어 중의 하나
인 '야나어(Yana)'에는 남성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사용되는 말과 다른 말
사이에 재미 있는 구별이 있다. 남성말과 구별되는 어떤 말은 그 말의 토대
가 되는 문장의 요소와 관계없이 여성에 의해서 사용된다. 즉 말의 형식은
화자의 사회적으로 승인된 성에 의존한다. Sapir의 에는
전술한 야나어에 대해서 화자와 청자의 성을 구별의 조건으로 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류의 언어 수단(남성말과 여성말과의 구별)은 분명히
문화적인 지표이다. 우리는 이 지표가 현대 언어이론에서 문장 분석을 다
루는 보통의 의미와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 소위 남성 형식과
여성 형식을관찰해야 된다. 이러한 인어 형식들의 올바른 파악은 언어 상
정황 속에 문화적으로 포함된 어떤 조건의 인식에 달려 있다. 이것은 인류
학에 있어서의 발견이 언어학에 기여하는 예가 될 것이다. 이 외에도 어족
(language family)의 분류를 통하여 인류언어학을 연구할 수 있고, 어순과
같은 통사적 구조의 차이나 성조(tone)와 같은 음운구조의 차이, 음운 대
용, 그리고 각 언어의 숫자 비교를 통하여 연구할 수도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