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Q1 본인의 가치관/생활신조/성격/장점/재능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1000자
Q2 당사에 지원하게 된 동기와 입사 후 본인의 포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십시오. 1000자
Q3 전공과 관련하여 수행한 팀 프로젝트(혹은 연구과제)중 본인의 제안을 구체화한 사례 및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본인의 제안이 채택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Q4 자발적으로 찾아서 일을 처리해 본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Q5 어떤 사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Q2 당사에 지원하게 된 동기와 입사 후 본인의 포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십시오. 1000자
Q3 전공과 관련하여 수행한 팀 프로젝트(혹은 연구과제)중 본인의 제안을 구체화한 사례 및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본인의 제안이 채택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Q4 자발적으로 찾아서 일을 처리해 본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Q5 어떤 사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본문내용
준비성’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전체 팀 중 1등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저의 자발적인 활동이 팀의 성과에 기여했다는 사실이 무척 기뻤습니다. 저는 이 경험을 통해 ‘자발적, 적극적 실행의 가치’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치는 제가 엔지니어 업무 수행 시 ‘언제나 최적의 설비 상태인지를 스스로에게 묻고 답을 찾는’ 자세를 갖추게 할 것입니다.
Q5 어떤 사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산업 현장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엔지니어의 사고방식\"
과거 화학 소재를 개선/개발하는 인턴 업무를 수행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당시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한 ‘눈부시지 않는 차량 백미러 개발’을 수행했는데, 변색 물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저는 변색 물질-ITO 필름 접합부에 아주 미세한 틈이 있어 변색 물질이 산화된다고 가정하였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기 압력을 이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2개의 Chamber 사이에 제품을 넣고, 한쪽에서 강한 압력을 가해 일정 시간 뒤 압력 값이 줄어든다면 틈이 있는 것’이므로 문제 해결 방법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실험 결과 실제로 접합부의 틈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 틈을 없애는 것이 과제의 진행 방향이었습니다.
팀원들과 틈을 없애기 위해 기존의 제작 방식을 검토한 결과, 기존의 방식은 (필름과 필름 사이에 변색 물질을 코팅하고 접합하는 것) ITO 필름 사이의 낮은 접착력으로 인해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따라서 설계 자체를 변경하자고 판단하였고, PJT는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인턴 멘토와 저는 거울에 붙은 스티커에서 착안, ‘거울을 Metal 소재로 바꾸어 전극이 흐르는 형태로 만든 뒤, 거울 자체에 변색 물질을 코팅해버린다면’ ITO 필름의 접합부를 최소화하여 틈을 없앨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후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밤낮 가리지 않고 샘플을 제작했고, 실제 Test 결과 변색 물질이 산화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과학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분석하는 자세는 산업 현장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해결하는 엔지니어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세입니다. 앞선 경험을 바탕으로, E1의 LPG Pipe Line 이송에서의 각종 문제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Q5 어떤 사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1000자
\"산업 현장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엔지니어의 사고방식\"
과거 화학 소재를 개선/개발하는 인턴 업무를 수행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당시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한 ‘눈부시지 않는 차량 백미러 개발’을 수행했는데, 변색 물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저는 변색 물질-ITO 필름 접합부에 아주 미세한 틈이 있어 변색 물질이 산화된다고 가정하였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기 압력을 이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2개의 Chamber 사이에 제품을 넣고, 한쪽에서 강한 압력을 가해 일정 시간 뒤 압력 값이 줄어든다면 틈이 있는 것’이므로 문제 해결 방법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실험 결과 실제로 접합부의 틈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 틈을 없애는 것이 과제의 진행 방향이었습니다.
팀원들과 틈을 없애기 위해 기존의 제작 방식을 검토한 결과, 기존의 방식은 (필름과 필름 사이에 변색 물질을 코팅하고 접합하는 것) ITO 필름 사이의 낮은 접착력으로 인해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따라서 설계 자체를 변경하자고 판단하였고, PJT는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인턴 멘토와 저는 거울에 붙은 스티커에서 착안, ‘거울을 Metal 소재로 바꾸어 전극이 흐르는 형태로 만든 뒤, 거울 자체에 변색 물질을 코팅해버린다면’ ITO 필름의 접합부를 최소화하여 틈을 없앨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후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밤낮 가리지 않고 샘플을 제작했고, 실제 Test 결과 변색 물질이 산화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과학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분석하는 자세는 산업 현장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해결하는 엔지니어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세입니다. 앞선 경험을 바탕으로, E1의 LPG Pipe Line 이송에서의 각종 문제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