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EL 디스플레이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 EL 디스플레이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OLED의 개요 및 정의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체계도에서 유기EL
2) 유기EL의 정의와 역사
3) 유기EL의 개요

2. OLED의 발광재료 및 특성
1) 저분자 유기물질
(1) 정공 주입 및 전달 재료
(2) 발광 재료
(3) 저분자 형광 및 인광 소재
2) 고분자 유기물질
(1) 발광 재료
(2) 고분자 형광 및 인광 소재

3. OLED의 구조 및 동작원리
1) 적층구조
2) 발광 메커니즘
3) 발광효율
(1) 전하의 주입 및 이동
(2) 발광 문질 및 인광 유기 EL 소자
(3) 콘트라스트
(4) 유기 EL 소자의 발광색 조절

본문내용

디스플레이(3%), 오리온전기(1%), Neoview (0.5%)의 순이다. 주된 OLED 생산품은 소형(2~4‘) 및 초소형(1“ 이하) Multi Color 소자에 집중되었으나, 응용분야 및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소형 문자 표시기와 대형 그래픽 패널 부품 모두에 있어서 분포가 매우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08년을 기준으로 볼 때 문자 표시기가 13% 정도이고 나머지 87% 정도가 그래픽 표시기이며, 초소형-소형-중형-대형 순으로 소비, 특히 중형(5~8”) OLED는 2004년, 대형(9“ 이상) OLED은 2005년에 시장에 진입하여 2009년 경에는 전체 OLED 시장의 약 45%를 차지하고 이 중 대부분이 TV 용으로 예측된다.
특히 국가차원에서 산업자원부의 신성장 동력산업을 통한 40“급 HDTV 개발과제는 기존의 소형크기에서 중형크기의 TV로 진입하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며, 이 같은 정부의 중장기적인 적극적인 지원은 세계 속의 OLED분야에 한국이 선도의 자리를 유지하는데 큰 기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3) 결론
1999년 Pioneer로부터 처음 수동형 OLED 제품이 나온 이래 전 세계적으로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현재 2\"급 AMOLED의 디지털 카메라 수준에 이르렀다. 기존의 CRT 및 LCD 기술발전 추이와 비교하면 아직은 걸음마 단계이나 저가격, 고성능화를 동시에 요구하는 시장 경쟁력 측면에서 보면 기술의 정상을 향한 시장진입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아직은 소형으로 초기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수준의 OLED 제품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수명이 향상된 고해상도의 Full Color OLED 제품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재 및 소자의 전반적인 공정에서 독창적인 새로운 개념의 접근방법이 요구되며, 패널의 신뢰성 확보, 수명증가, 저소비 전력화 등의 돌파해야 할 기술적 과제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LCD, PDP와 같은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와 차별화 될 수 있는 초절전형, 벽걸이형 TV나 Flexible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별화된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향한 연구개발과 함께, 끊 임없는 초저가, 저전력의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핵심기술의 개발이 이루어 진다면 향후 OLED 디스플레이는 또 LCD, PDP와 함께 또 다른 정상의 디스플레이로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 문헌
1. C. W. Tang and S. A. VanSlyke Appl. Phys. Lett., 51, 913 (1987).
2. J. Kido, SID 2001 (2001)
3. http://www.novaled.com
4. M. Pope et al, J. Chem. Phys., 38, 2042 (1963).
5. M. A. Baldo et al., Nature 395, 151 (1998).
6. C. H. Lee, OLED Asia 2005 (2005).
7. C. W. Tang, ICEL-5, Arizona (2005).
8.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iSuppli, Semi-annual report (2005).
9. S. T. Kim, 차세대 디스플레이 Workshop (2005).
10. Intertechusa, OLED Asia 2005 (2005).
11. “신성장산업동력OLED 기획보고서”, 산업자원부, 2004. 5.
12. “Nikkei Microdvices”, 8 +69 (2004).
13. M. Hack, IMID Daegu, 2004
14.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Seattle, 2004
15. International FPD Yokohama, 2004
16. “2004 하계 한국 디스플레이 컨퍼런스”자료, 디스플레이뱅크,2004. 6
17. “2004 有望電子部品材料調査總攬”, 富士キメラ總硏, 2004. 1
18. “OLED Emmiter\", DisplaySearch, 2004. 2..
19. \"삼성SDI, OLED 사업강화를 위한 행보 중“. 현대증권, 2004. 8
20.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2004.
21. h t t p : / / w w w . e t n e w s . c o. k r
22. h t t p : / / w w w . e i c . r e .k r
23.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LED 기술의 등장, 현황 그리고 발전방향, 2001. 4.
24. 한국산업은행, 차세대 디스플레이, KDB 테크노리포트, 2003. 6.
25. 류연수, 디스플레이 재료 및 기술동향, 전자부품연구원, 2002.
26.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EL의 발전전망 및 과제, 2000. 12.
2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기기편: 유기 EL, 정보통신산업동향, 2003. 1.
28. 전자부품연구원, EL 디스플레이의 개발동향 및 과제, 2002. 8.
29.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EL의 산업동향, 2002. 12.
30. LG주간경제, 소형 디스플레이의 주역, 유기 EL, 2001. 9.
31.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EL 개발동향, 2001. 10.
32. 이창희, 유기 EL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기술개발, 2003. 6.
33.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EL 부품소재 산업동향, 2002. 12.
34. Display Search, 유기 EL 기술 및 시장동향 세미나 자료, 2003.2
35. RiTdisplay, OLED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RiTdisplay, 2003.
36. Stanford Resources, Flat Panel Display Market, 2002.
37. 김형렬, 새로운 디스플레이 성장산업, 한국투자신탁증권, 2003.
38. 한국전자부품연구원, 유망전자부품보고서 : 디스플레이, 2003
39. 권지인, 유기 EL, 정보통신산업연구원, 2003. 5
40. 전자부품연구원, 일본의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산업동향, 2003.

키워드

유기,   EL,   디스플레이,   OLED,   졸업논문,   전자,   전자물리,   발광,   있다,   소자,   재료
  • 가격5,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7.10.0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