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3장 위어(謂語)
본문내용
끈 달린 살을 들어 그것을 쏠 생각만 하고 있다. 이 사람은 비록 그와 함께 배우고 있기는 하지만 그를 따라 갈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이 사람이 그 지혜가 다른 사람만 못하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하는가? 그런 것은 아니다.
☞ ‘是其智弗若與?‘에서 ‘是’는 겸어이며, ‘其智弗若’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절 구조(=구자 결구) (其智는 주어, 弗若는 술어)인데 여기서는 ‘是’의 술어가 되어 있다.
- 이런 명명식(命名式)에서는 겸어가 생략될 수도 있다.
村中少年好事者馴養一蟲, 自名蟹殼。(《聊齋志異促織》)
Cn zhng shao nian ho shi zh xun yng y chong, zi ming xie ke qng.
마을의 호사(好事)하는 한 젊은 사람이 귀뚜라미 한 마리를 길들여 기르고 있었는데, 스스로 그것을 ‘해각청’이라고 불렀다.
☞ ‘自名蟹殼’은 ‘自名之蟹殼’의 생략으로서 ‘名’자 뒤에 겸어 ‘之’ 또는 ‘其蟲’이 생략되어 있다.
④ 네 번째 겸어식은 내용식(內容式)이다. 겸어 뒤에 오는 술어는 보통 위 동작의 원인 또는 내용이 되는데, 현대 한어로 예를 들면, ‘原他小’(그가 어리므로 용서한다)에서 ‘小’는 ‘原’의 원인이 되는데, 문언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이런 내용식에서는 겸어 뒤에 오는 술어로는 동사 또는 형용사를 쓸 수 있다.
南村群童欺我老無力, 忍能對面賊。(杜甫 : 《屋秋鳳所破歌》)
Nan cn qun tong q w lo wu li, rn neng dui mian wei dao zei.
남촌의 여러 아이들이 내가 늙어 힘이 없다고 얕보아 인정도 없이 내가 보는데도 물건을 훔치는구나.
☞ ‘老無力’은 작자인 ‘我’가 ‘欺’당하는 원인이다. ‘我’는 겸어로서 ‘欺’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老無力’의 주어이다.
豫備走繫於其尾。(《資治通鑑赤壁之戰》)
Yu bei zu g xi yu qi wi.
작은 쾌속선을 미리 그 배 뒤에 매달아 두도록 했다.
☞ ‘繫於其尾’는 ‘豫備走’의 내용이며, ‘走’는 겸어인데, ‘豫備’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繫’의 주어이다. ‘繫’은 여기서 피동의 의미이지만 관례에 따라서 피동을 나타내는 조동사를 쓰지 않았다.
⑤ 다섯 번째 겸어식은 ‘有’자로 시작되는 겸어식이다.
成有子九歲。(《聊齋志異促織》)
Cheng yu zi ji sui.
성명(成名)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아홉살이었다.
而未嘗有顯者來。(《孟子 離婁上》)
Er wei chang yu xin zh lai
그러나 높은 관리가 찾아 온 적이 없었다.
☞ ‘子’ ‘顯者’는 모두 겸어인데 이것들은 ‘有’ 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또 각각 ‘九歲’와 ‘來’의 주어가 되었다.
- ‘有’자가 들어 있는 문장의 겸어는 생략할 수 없으며 겸어 뒤의 문장이 비교적 길때는 겸어에서 잠깐 끊어 읽을 수 있다.
人京城氏之孀妻有遺男. 始, 跳往助之。(《列子湯問》)
Lin ren jng cheng shi zh shung q yu yi nan. Sh chen, tiao wng zhu zh.
이웃 사람 경성씨의 과부에게 유복자가 있었는데 겨우 이를 가는 나이인데도 뛰어 가서 그들을 도왔다.
☞ ‘遺男’은 목적어인데 ‘有’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始, 跳往助之’의 주어가 되어 있다. 여기서는 ‘遺男’ 뒤에 비교적 긴 문장이 와 있으므로 ‘遺男’에서 잠깐 끊어 읽어야한다.
13·16 복잡 술어는 네 가지로 나누어지나, 이 넷은 혼합하여 사용되어 더 복잡한 술어 형식을 만들 수 있다.
有賢士大夫發五十金, 買五人之而之。(張溥 : 《五人墓碑記》)
Yu xian shi da f f w shi jn, mai w ren zh dou er han zh.
한 어진 사대부가 오십 금을 써서 다섯 의사(義士)의 머리를 사서 나무곽에 넣었다.
☞ 위 예문 전체는 다섯 번째 겸어식에 해당되는데, ‘發五十金, 買五人之而之’는 연동식이며 ‘賢士大夫’의 위어가 되었다.
使吏卒共抱大巫投之河中。 (《史記 · 滑稽列傳補》)
Ji sh li zu gong bao da w yu tou zh he zhng.
곧 이졸(吏卒)들을 시켜서 함께 무당할미를 안아 들어서 황하 가운데로 던져 버렸다.
☞ 위 예문은 사령식(使令式)의 겸어식인데, ‘吏卒’의 위어 ‘抱大巫投之河中’은 ‘抱’와 ‘投’가 선후관계에 있는 동작들이므로 연동식이다.
謹使臣良奉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史記項羽本記》)
Jn sh chen liang feng bai bi y shung zai bai xian da wang min xia, yu dou y shung zai bai feng da jiang jn zu xia.
삼가 장량 저를 보내셔서 백벽 한 쌍을 받들어 재배하고서 대왕께 바치고, 또 옥두 한 쌍을 재배하고서 대장군께 바치게 하였습니다.
☞ 위 예문 전체는 사령식의 겸어식이고, “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에서 ‘再拜獻’ ‘再拜奉’은 두개의 연동식 (‘再拜’ + ‘獻’ ; ‘再拜’ + ‘奉’)이며 또 위의 두 단구(短句) ‘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와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는 각각 ‘使臣良奉’에 이어지는데 겸어 ‘臣良’과 그 동사 ‘奉’ 뒤에 오는 병렬 구조이다.
- 또 겸어식 안에 겸어식이 들어 있는 것도 있다.
時周瑜受使陽。肅勸權召瑜還。(《資治通鑑赤壁之戰》)
Shi zhu yu shou sh po yang. Su quan quan zhao yu huan.
그때 주유는 명령을 받고 파양에 가 있었는데, 노숙은 손권에게 주유를 불러 돌아오게 하라고 권했다.
☞ ‘肅勸權召瑜還’에는 두 개의 겸어가 있다. 첫번째 것은 ‘權인데 이것은 ‘勸’의 목적어이고, ‘召瑜還’의 주어이다. 두번째 겸어는 ‘瑜’이며 이것은 ‘召’의 빈어이고 또 ‘還’의 주어이다.
今者有小人之言令將軍與臣有。(《史記項羽本記》)
Jn zh yu xio ren zh yan ling jing jn y chen yu xi.
지금 소인배의 말이 장군으로 하여금 저와 불화가 생기게 하고 있습니다.
☞ ‘小人之言’은 첫 번째 겸어인데, 이것은 ‘有’의 목적어이면서 ‘令將軍與臣有’의 주어이다. 두 번째 겸어는 ‘將軍’이며 이것은 ‘令’의 목적어면서 ‘與臣有’의 주어이다.
☞ ‘是其智弗若與?‘에서 ‘是’는 겸어이며, ‘其智弗若’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절 구조(=구자 결구) (其智는 주어, 弗若는 술어)인데 여기서는 ‘是’의 술어가 되어 있다.
- 이런 명명식(命名式)에서는 겸어가 생략될 수도 있다.
村中少年好事者馴養一蟲, 自名蟹殼。(《聊齋志異促織》)
Cn zhng shao nian ho shi zh xun yng y chong, zi ming xie ke qng.
마을의 호사(好事)하는 한 젊은 사람이 귀뚜라미 한 마리를 길들여 기르고 있었는데, 스스로 그것을 ‘해각청’이라고 불렀다.
☞ ‘自名蟹殼’은 ‘自名之蟹殼’의 생략으로서 ‘名’자 뒤에 겸어 ‘之’ 또는 ‘其蟲’이 생략되어 있다.
④ 네 번째 겸어식은 내용식(內容式)이다. 겸어 뒤에 오는 술어는 보통 위 동작의 원인 또는 내용이 되는데, 현대 한어로 예를 들면, ‘原他小’(그가 어리므로 용서한다)에서 ‘小’는 ‘原’의 원인이 되는데, 문언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이런 내용식에서는 겸어 뒤에 오는 술어로는 동사 또는 형용사를 쓸 수 있다.
南村群童欺我老無力, 忍能對面賊。(杜甫 : 《屋秋鳳所破歌》)
Nan cn qun tong q w lo wu li, rn neng dui mian wei dao zei.
남촌의 여러 아이들이 내가 늙어 힘이 없다고 얕보아 인정도 없이 내가 보는데도 물건을 훔치는구나.
☞ ‘老無力’은 작자인 ‘我’가 ‘欺’당하는 원인이다. ‘我’는 겸어로서 ‘欺’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老無力’의 주어이다.
豫備走繫於其尾。(《資治通鑑赤壁之戰》)
Yu bei zu g xi yu qi wi.
작은 쾌속선을 미리 그 배 뒤에 매달아 두도록 했다.
☞ ‘繫於其尾’는 ‘豫備走’의 내용이며, ‘走’는 겸어인데, ‘豫備’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繫’의 주어이다. ‘繫’은 여기서 피동의 의미이지만 관례에 따라서 피동을 나타내는 조동사를 쓰지 않았다.
⑤ 다섯 번째 겸어식은 ‘有’자로 시작되는 겸어식이다.
成有子九歲。(《聊齋志異促織》)
Cheng yu zi ji sui.
성명(成名)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아홉살이었다.
而未嘗有顯者來。(《孟子 離婁上》)
Er wei chang yu xin zh lai
그러나 높은 관리가 찾아 온 적이 없었다.
☞ ‘子’ ‘顯者’는 모두 겸어인데 이것들은 ‘有’ 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또 각각 ‘九歲’와 ‘來’의 주어가 되었다.
- ‘有’자가 들어 있는 문장의 겸어는 생략할 수 없으며 겸어 뒤의 문장이 비교적 길때는 겸어에서 잠깐 끊어 읽을 수 있다.
人京城氏之孀妻有遺男. 始, 跳往助之。(《列子湯問》)
Lin ren jng cheng shi zh shung q yu yi nan. Sh chen, tiao wng zhu zh.
이웃 사람 경성씨의 과부에게 유복자가 있었는데 겨우 이를 가는 나이인데도 뛰어 가서 그들을 도왔다.
☞ ‘遺男’은 목적어인데 ‘有’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始, 跳往助之’의 주어가 되어 있다. 여기서는 ‘遺男’ 뒤에 비교적 긴 문장이 와 있으므로 ‘遺男’에서 잠깐 끊어 읽어야한다.
13·16 복잡 술어는 네 가지로 나누어지나, 이 넷은 혼합하여 사용되어 더 복잡한 술어 형식을 만들 수 있다.
有賢士大夫發五十金, 買五人之而之。(張溥 : 《五人墓碑記》)
Yu xian shi da f f w shi jn, mai w ren zh dou er han zh.
한 어진 사대부가 오십 금을 써서 다섯 의사(義士)의 머리를 사서 나무곽에 넣었다.
☞ 위 예문 전체는 다섯 번째 겸어식에 해당되는데, ‘發五十金, 買五人之而之’는 연동식이며 ‘賢士大夫’의 위어가 되었다.
使吏卒共抱大巫投之河中。 (《史記 · 滑稽列傳補》)
Ji sh li zu gong bao da w yu tou zh he zhng.
곧 이졸(吏卒)들을 시켜서 함께 무당할미를 안아 들어서 황하 가운데로 던져 버렸다.
☞ 위 예문은 사령식(使令式)의 겸어식인데, ‘吏卒’의 위어 ‘抱大巫投之河中’은 ‘抱’와 ‘投’가 선후관계에 있는 동작들이므로 연동식이다.
謹使臣良奉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史記項羽本記》)
Jn sh chen liang feng bai bi y shung zai bai xian da wang min xia, yu dou y shung zai bai feng da jiang jn zu xia.
삼가 장량 저를 보내셔서 백벽 한 쌍을 받들어 재배하고서 대왕께 바치고, 또 옥두 한 쌍을 재배하고서 대장군께 바치게 하였습니다.
☞ 위 예문 전체는 사령식의 겸어식이고, “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에서 ‘再拜獻’ ‘再拜奉’은 두개의 연동식 (‘再拜’ + ‘獻’ ; ‘再拜’ + ‘奉’)이며 또 위의 두 단구(短句) ‘白璧一雙再拜獻大王民下’와 ‘玉斗一雙再拜奉大將軍足下’는 각각 ‘使臣良奉’에 이어지는데 겸어 ‘臣良’과 그 동사 ‘奉’ 뒤에 오는 병렬 구조이다.
- 또 겸어식 안에 겸어식이 들어 있는 것도 있다.
時周瑜受使陽。肅勸權召瑜還。(《資治通鑑赤壁之戰》)
Shi zhu yu shou sh po yang. Su quan quan zhao yu huan.
그때 주유는 명령을 받고 파양에 가 있었는데, 노숙은 손권에게 주유를 불러 돌아오게 하라고 권했다.
☞ ‘肅勸權召瑜還’에는 두 개의 겸어가 있다. 첫번째 것은 ‘權인데 이것은 ‘勸’의 목적어이고, ‘召瑜還’의 주어이다. 두번째 겸어는 ‘瑜’이며 이것은 ‘召’의 빈어이고 또 ‘還’의 주어이다.
今者有小人之言令將軍與臣有。(《史記項羽本記》)
Jn zh yu xio ren zh yan ling jing jn y chen yu xi.
지금 소인배의 말이 장군으로 하여금 저와 불화가 생기게 하고 있습니다.
☞ ‘小人之言’은 첫 번째 겸어인데, 이것은 ‘有’의 목적어이면서 ‘令將軍與臣有’의 주어이다. 두 번째 겸어는 ‘將軍’이며 이것은 ‘令’의 목적어면서 ‘與臣有’의 주어이다.
추천자료
중국의 한국사 왜곡
[중국어][중어][중국어의 연구문헌][중국어의 발음교육][중국어의 끊어읽기][중국어의 생략조...
[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의 특성, 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의 ...
중국 방언에 대하여
2010년 2학기 JAVA프로그래밍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Java프로그래밍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동계계절시험 Java프로그래밍 시험범위 핵심체크
JSP프로그래밍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3년 하계계절시험 JSP프로그래밍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교육과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1학기 교육과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교육과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