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까를로 진즈부르크의 ‘치즈와 구더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 까를로 진즈부르크의 ‘치즈와 구더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Ⅱ. 진즈부르크와 미시사(Microhistory) 연구
Ⅲ. 메노키오의 등장에 대한 평가
Ⅳ.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야 하는 주요한 물음들이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및 미시사적 접근이 등장하면서, 이제는 ‘증거의 단편성’도 고려해야 할 요소가 되었다. 우리는 자료들이 과연 신뢰성이 있는, 거짓이 아닌 증거들인지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신뢰성 있는 자료들이 과연 역사를 정확하게 설명해낼 수 있는지, 그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지도 고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은 역사학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힌 미시사 연구의 공로라고 할 수 있다.
Ⅳ. 나가며
지금까지 진즈부르크가 역사를 재현해내는 미시사적 접근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의 장점 및 단점을 평가해보았다. 미시사적 접근은 농민 문화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아날학파 식의 전체사가 아닌 개인사와 공동체사를 탐구하여 과거인들의 인식체계와 행동양식의 근저에 깔린 내적지향을 밝혀내는 데 탁월한 기여를 한 바 있다. 무엇보다도 <치즈와 구더기>가 인상 깊게 느껴진 것은, 역사가에게서 느껴지는 냉철하고 차가운 이미지가 아닌 따뜻하고 애정 어린 시선이 작품 전체에 녹아 있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그리고 그것이 다른 이들의 행복한 삶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게,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이들은 망각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그리고 진즈부르크는 수십 년 전에 이미 메노키오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망각과의 사투 속에서 상처받는 이들을 위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앞으로는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미시사 연구가 이루어져 수많은 평범한 이들의 이름이 불릴 수 있기를 바라본다.
참고문헌
카를로 진즈부르그 저, 김정하 역, 치즈와 구더기, 문학과지성사 2001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