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 상담에서의 정서적 개입전략 - 정서적 이론, 정서적 개입의 목표, 내담자의 정서 표현 돕기, 감정 분류 돕기, 초점 맞추기 기법,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통합하고 변화시키도록 조력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상담] 상담에서의 정서적 개입전략 - 정서적 이론, 정서적 개입의 목표, 내담자의 정서 표현 돕기, 감정 분류 돕기, 초점 맞추기 기법,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통합하고 변화시키도록 조력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정서적 이론
2. 정서적 개입의 목표
3. 내담자의 정서 표현 돕기
4. 감정 분류 돕기
5. 초점 맞추기 기법
6.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통합하고 변화시키도록 조력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맞추기 6단계
1단계: 내담자가 지닌 문제 혹은 관심에 관한 전반적인 느낌에 주의를 기울인다.
2단계: 전체적인 느낌에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 주의를 끄는 하나의 관심을 찾아내고 그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하지만 그것을 설명하거나 말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단지 느끼기만 한다.
3단계: 하나의 감정에 주의를 유지하면서 감정으로부터 나타난 단어나 이미지를 떠올린다.
4단계: 하나의 감정이 다른 감정으로 바뀌면 그냥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둔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감정의 흐름에 따라 주의를 기울인다. 그것을 판단하지 말고 단지 경험하게 한다.
5단계: 현재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에 관해 느끼는 새로운 감정을 가져오게 한다. 이 감정에 대한 새로운 단어나 이미지를 찾도록 한다.
6단계: 5단계를 거치면서 의식에 나타났던 단어나 이미지를 묘사하게 한다.
초점 맞추기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 흐름을 알아차리게 하고 그것을 새로운 감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정 알아차리기는 내담자가 그동안 자신도 모르게 휘말렸던 감정을 깨닫게 함으로써 그 감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돕는다.
6.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통합하고 변화시키도록 조력하기
내담자들은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고 회피하거나 부정하는 등 자신과 거리를 두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 처리 방식은 자신을 통합된 방식으로 보지 못하게 하고 단편적인 부분만 인식하게 하여 참된 자기실현을 방해한다. 또한 감정을 피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직면하지 못하여 해결의 길을 찾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정서적 접근의 상담자는 내담자가 그동안 회피하고 부정하였던 감정들을 찾아내고 이것을 수용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전 회기에서 내담자들의 감정과 정서에 대한 분류 작업으로 내담자의 감정이 확인되면, 상담자는 이것을 내담자 스스로 통합하게 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감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감정을 통합하고 새롭게 변화시키는 개입전략에는 역할 바꾸기, 자기 분신, 빈의자 기법, 꿈작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