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에 대한 기본관점
2. 행동주의 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화
(1) 기본원리
(2) Watson과 Rayner의 실험
2) 조작적 조건화
(1) 강화, 소거, 처벌
(2) 강화와 처벌의 종류
(3) 강화계획
참고문헌
2. 행동주의 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화
(1) 기본원리
(2) Watson과 Rayner의 실험
2) 조작적 조건화
(1) 강화, 소거, 처벌
(2) 강화와 처벌의 종류
(3) 강화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한 시간 단위로 하는가, 변동 시간 단위로 하는가에 따라 정기강화와 부정기강화로 구분한다. 비율강화는 행동반응 비율 단위를 고정하는가, 변동시키는가에 따라 정률강화와 부정률강화로 구분한다.
정기강화는 고정된 시간 단위(예: 5분)로 강화하기 때문에 행동발생과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강화물이 제시된다. 50분 수업 후 휴식, 5일 근무 후 2일 휴무일 등은 정기강화의 예다. 이것은 강화시간 단위 초기에는 반응이 약하게 나타나지만 강화시간이 가까워지면 반응이 증가한다. 휴일이 다가오는 목요일이나 금요일은 업무효율이 높아지고 휴일 직후인 월요일에는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월요병’ 을 앓는 것이 바로 이러한 예다. 이처럼 반응률이 강화받기 직전에는 증가되고 강화 받은 후에는 급격하게 떨어지는 냄비효과(scallop effect)는 정기강화의 단점이다.
부정기강화는 시간 단위를 변화시켜 강화하는 방법으로, 주 2일의 휴무일 중 하루는 임의로 상황에 따라 바꾸는 것이다. 또한 두 번의 과제검사를 요일(예: 화, 목)을 정하지 않고 임의로 두 번 실시함으로써 검사 일에 임박해서 급하게 서둘러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률강화는 일정한 행동 반응비율 단위에 근거해 강화하는데, 가령 5회의 반응비율에 근거해 강화한다면 5, 10, 15, 20, 25회의 행동에 강화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률강화는 일정한 반응이 누적되어야 강화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응을 많이 할수록 더 많은 강화를 받을 수 있다. 작업량에 따라 보수를 주는 것은 바로 정률강화의 예다. 그런데 10회 단위의 정률강화라면 일정한 반응 수가 누적되어야 강화를 받기 때문에 1회 행동(가령, 11회, 21회 등)은 마지못해 시작하고 보상받기 직전의 행동(가령, 10회, 20회 등)은 적극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부정률강화는 반응비율 단위를 다양하게 변동시켜 강화하는 방법으로, 언제 강화 받을지를 예측하기 어렵다. 복권의 경우, 사람들은 당첨될 시기를 결코 확신할 수 없지만 계속해서 구매한다. 부정률강화는 높은 행동발생 비율을 유지시키면서 소거에도 강하다. 즉각적인 보상이 결코 주어지지 않아도 언젠가 대박의 행운이 올 것이라고 기대하며 지속하는 복권 구입, 도박에 빠지는 것은 부정률 강화의 예다.
[표 2] 간혈강화의 종류
강화단위
구분
시간(주기강화)
반응비율(비율강화)
고정
정기강화
(Fixed-Interval Reinforcement: FI)
정률강화
(Fixed-Ratio Reinforcement: FR)
변화
부정기강화
(Variable-Interval Reinforcement: VI)
부정률강화
(Variable-Ratio Reinforcement: VR)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정기강화는 고정된 시간 단위(예: 5분)로 강화하기 때문에 행동발생과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강화물이 제시된다. 50분 수업 후 휴식, 5일 근무 후 2일 휴무일 등은 정기강화의 예다. 이것은 강화시간 단위 초기에는 반응이 약하게 나타나지만 강화시간이 가까워지면 반응이 증가한다. 휴일이 다가오는 목요일이나 금요일은 업무효율이 높아지고 휴일 직후인 월요일에는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월요병’ 을 앓는 것이 바로 이러한 예다. 이처럼 반응률이 강화받기 직전에는 증가되고 강화 받은 후에는 급격하게 떨어지는 냄비효과(scallop effect)는 정기강화의 단점이다.
부정기강화는 시간 단위를 변화시켜 강화하는 방법으로, 주 2일의 휴무일 중 하루는 임의로 상황에 따라 바꾸는 것이다. 또한 두 번의 과제검사를 요일(예: 화, 목)을 정하지 않고 임의로 두 번 실시함으로써 검사 일에 임박해서 급하게 서둘러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률강화는 일정한 행동 반응비율 단위에 근거해 강화하는데, 가령 5회의 반응비율에 근거해 강화한다면 5, 10, 15, 20, 25회의 행동에 강화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률강화는 일정한 반응이 누적되어야 강화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응을 많이 할수록 더 많은 강화를 받을 수 있다. 작업량에 따라 보수를 주는 것은 바로 정률강화의 예다. 그런데 10회 단위의 정률강화라면 일정한 반응 수가 누적되어야 강화를 받기 때문에 1회 행동(가령, 11회, 21회 등)은 마지못해 시작하고 보상받기 직전의 행동(가령, 10회, 20회 등)은 적극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부정률강화는 반응비율 단위를 다양하게 변동시켜 강화하는 방법으로, 언제 강화 받을지를 예측하기 어렵다. 복권의 경우, 사람들은 당첨될 시기를 결코 확신할 수 없지만 계속해서 구매한다. 부정률강화는 높은 행동발생 비율을 유지시키면서 소거에도 강하다. 즉각적인 보상이 결코 주어지지 않아도 언젠가 대박의 행운이 올 것이라고 기대하며 지속하는 복권 구입, 도박에 빠지는 것은 부정률 강화의 예다.
[표 2] 간혈강화의 종류
강화단위
구분
시간(주기강화)
반응비율(비율강화)
고정
정기강화
(Fixed-Interval Reinforcement: FI)
정률강화
(Fixed-Ratio Reinforcement: FR)
변화
부정기강화
(Variable-Interval Reinforcement: VI)
부정률강화
(Variable-Ratio Reinforcement: VR)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추천자료
행동주의 상담이론과 시사점
행동주의 아동상담이론의 원리와 기법
여러 상담이론 중에서 한 이론을 선택하여 자신의 가치관, 성장 경험 및 행동 등과 관련하여 ...
[2015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
[가정학과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상담심리학2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 ·설명한 후, 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