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DATA
2. 결 론
3. 고 찰
2. 결 론
3. 고 찰
본문내용
② 2.결 론 에서는 실험결과에 대하여 다른 자료 혹은 문헌과 비교해 보고 자신의 의견을 적는다.
<완전잠수>
추질량
m (g)
흘수
y (cm)
= (y - d/2)
450
16.05
0.090498
40.723982
400
14.80
0.102041
40.816327
350
13.55
0.116959
40.935673
300
12.30
0.136986
41.09589
250
11.10
0.163934
40.983607
완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ml=rA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 이 된다.
이론적으로 추 450g일 때, 는 0.05634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0.09050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부분잠수>
추질량
m (g)
흘수
y (cm)
200
9.8
2.082466
150
8.4
2.12585
100
6.8
2.16263
50
4.8
2.170139
20
3.2
1.953125
부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다.
이론적으로 추 200일 때, y는 약2.84577 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9.8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3. 고 찰
이번 실험은 정지되어 있는 유체내의 정수압을 측정 하는 것이다. 기본 원리는 추에 의하여 작용하는 압력과 정지 유체 즉, 물의 정수압에 의하여 서로 상쇄되어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가 완전 잠수일 때와 부분 잠수일 때로 나눠 실습하였다.
이번 실습으로 인하여 정수압에 대해 더욱 많이 알게 되었고, 정수압 관련 이론을 실제로 활용해보면서 더욱 익숙해졌다. 하지만 이번실습의 결과 치를 보면 오차가 상당히 크게 나왔다. 상대오차를 보아도 10%이상 차이가 났으며, 흘수의 이론 치와 결과 치를 비교해보아도 상당하다.
- 완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ml=rA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 이 된다. 이론적으로 추 450g일 때 는 0.05634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0.09050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 부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다. 이론적으로 추 200일 때 y는 약 2.84577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9.8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오차가 크게 난 가장 큰 이유는 실험장비의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론치일 때 평형이 이루어 져야 하나 결과를 보면 이것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실험장비 제작 시 기기의 평형상태를 정확히 측정 없이 만들어 졌을 경우가 크다. 이론상 부재는 다른 부분의 정수압은 부재의 형태로 인하여 상쇄되고 부재의 맨 끝의 직사각형의 부분에만 작용되어야 하나 실습장비가 이 부분의 이론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을 경우가 가장 클 것이다. 다른 요인으론 실험 관측 시 물의 의한 눈금의 굴절 및 개인의 습관에 의한 오차 등으로 인한 요인도 미비하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완전잠수>
추질량
m (g)
흘수
y (cm)
= (y - d/2)
450
16.05
0.090498
40.723982
400
14.80
0.102041
40.816327
350
13.55
0.116959
40.935673
300
12.30
0.136986
41.09589
250
11.10
0.163934
40.983607
완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ml=rA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 이 된다.
이론적으로 추 450g일 때, 는 0.05634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0.09050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부분잠수>
추질량
m (g)
흘수
y (cm)
200
9.8
2.082466
150
8.4
2.12585
100
6.8
2.16263
50
4.8
2.170139
20
3.2
1.953125
부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다.
이론적으로 추 200일 때, y는 약2.84577 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9.8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3. 고 찰
이번 실험은 정지되어 있는 유체내의 정수압을 측정 하는 것이다. 기본 원리는 추에 의하여 작용하는 압력과 정지 유체 즉, 물의 정수압에 의하여 서로 상쇄되어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가 완전 잠수일 때와 부분 잠수일 때로 나눠 실습하였다.
이번 실습으로 인하여 정수압에 대해 더욱 많이 알게 되었고, 정수압 관련 이론을 실제로 활용해보면서 더욱 익숙해졌다. 하지만 이번실습의 결과 치를 보면 오차가 상당히 크게 나왔다. 상대오차를 보아도 10%이상 차이가 났으며, 흘수의 이론 치와 결과 치를 비교해보아도 상당하다.
- 완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ml=rA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 이 된다. 이론적으로 추 450g일 때 는 0.05634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0.09050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 부분 잠수일 때 이론적으로 추의 모멘트와 정수압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다. 이론적으로 추 200일 때 y는 약 2.84577이다. 허나 실험에서는 9.8로 실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정수압의 모멘트가 이론적보다 실험기기 및 측정 시 문제로 인하여 정수압이 보다 높게 측정되어야만 실험기기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오차가 크게 난 가장 큰 이유는 실험장비의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론치일 때 평형이 이루어 져야 하나 결과를 보면 이것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실험장비 제작 시 기기의 평형상태를 정확히 측정 없이 만들어 졌을 경우가 크다. 이론상 부재는 다른 부분의 정수압은 부재의 형태로 인하여 상쇄되고 부재의 맨 끝의 직사각형의 부분에만 작용되어야 하나 실습장비가 이 부분의 이론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을 경우가 가장 클 것이다. 다른 요인으론 실험 관측 시 물의 의한 눈금의 굴절 및 개인의 습관에 의한 오차 등으로 인한 요인도 미비하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추천자료
(화공 실험)굴절율측정 레포트
(화공 실험)점도측정 예비,결과 레포트
이상기체방정식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실험
일반화학 실험 - 몰 질량의 측정
[화공기초실험] 비중 및 밀도 측정(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17장.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물리실험] -4- 탄환의 속도측정 - 탄동진자와 발사체에 의해 탄환의 속도를 구하고 충돌에서...
[일반물리학 실험] 마찰계수 측정
물리화학실험 - 어는점 내림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
[화학실험] 질량부피 및 온도 측정
대학물리 실험 보고서 - 구심력 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길이측정 - 버니어캘리퍼(Vernier Calliper) &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일반물리학실험 보고서] 길이 측정 - 버니어캘리퍼,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
일반물리학 실험 - 온도와 압력 측정.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