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박성원 그는 누구인가?
2.박성원의 활동 배경
3.화동정음 통석운고란?
4.화동정음 통석운고의 저작동기
5.박성원(朴性源)의 『화동정음통석운고』배열순서
6..화동 정음 통석운고의 구성
7.화동정음 통석 운고에 대한 학자들의 고찰
8.화동정음 통석운고의 국어학적 가치
9.화동협음통석
2.박성원의 활동 배경
3.화동정음 통석운고란?
4.화동정음 통석운고의 저작동기
5.박성원(朴性源)의 『화동정음통석운고』배열순서
6..화동 정음 통석운고의 구성
7.화동정음 통석 운고에 대한 학자들의 고찰
8.화동정음 통석운고의 국어학적 가치
9.화동협음통석
본문내용
한자음성 연구에서 화동정음 통석운도의 ‘동음’ 성모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① 화동정음통석운고에서 속음은 중세기 한국 한자음이 겪었던 중국어와 국어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전통 한국한자음, 즉 고대 국어음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속음과 동음은 중국 방언의 “문백이독”에 비유될 수 있다.
③속음과 동음의 성모가 일치하는 경우는 111개 약37% 이고, 그 반대의 경우는 190개 약 63%로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동음은 화음을 근거로 표음된 점에서 그원인을 찾을 수 있다.
④ 속음과 동음의 운모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는 162개 약 45%이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139개 약 46%로써 일치하는 경우와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⑤ 속음 301개 예자 중 243개 약81%가 현대한국한자음과 일치한다.
이상의 결론에 비추어,『화동정음통석운고』의 속음은 중국어와 국어의 어떠한 환경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독보적인 전통한국한자음으로 계승되어 현대 한국한자음으로까지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화동정음 통석운고의 국어학적 가치
1)유희의 언문지 제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2)중새 한글 국어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매 글자마다 반절과 언문으로 음을 표시하고 있으며, 범례와 책 끝의 「언문초중삼성변」에는 한글에
언문초중종삼성변에서는 ≪훈몽자회≫에서 취한 ‘초성종성통용팔자’와 ‘중성독용십일자’를 예시하였으며, ‘각운중성’의 항에서는 운의 순서에 따라 우리나라 음과 중국음의 중성(모음)의 차이를 한글로 표음하였다.
관하여 고찰한 부분이 있다
3)한자의 음운 연구에 도움이 된다
:권두에 「화동협음통석권지일」이 있고, 동운의 협운자 47자를 비롯하여 평성의 26운과 상성의 22운과 거경의 23운과 입성의 15운에 3000여자가 실려있다. 그리고 당시에 통용되던 속음까지 밝혀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한자음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님
4)한자의 동음과 화음 즉,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을 모두 한글로 표시한 최초의 운서이다.
5) 조선시대 후기 국어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연구경향을 알 수 있다.
6) 수록된 속음이 현대 국어와 비교하였을 때, 몇몇 규칙적인 음변화의 적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하다. 즉, 동음의 변화를 연구함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국어학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화동정음 동석운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화음에 바탕을 둔 동음의 재규정이 목표. 따라서 동음의 규범을 정하기 위해 화음 이외의 것을 참고했을 것이 확실한데 그 기준이 된 것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9.화동협음통석
-<화동정음통석운고>에 빠진 글자를 채우고 우리나라 음과 중국음의 차이를 밝히고 있다.
박성원의 저술을 그가 죽은 후에 그의 아들 박치영이 쓰고 안우의 발문을 붙여 1788(정조 12)에 간행하려고 하였으나 출판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지고 현재 단권1책의 필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① 화동정음통석운고에서 속음은 중세기 한국 한자음이 겪었던 중국어와 국어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전통 한국한자음, 즉 고대 국어음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속음과 동음은 중국 방언의 “문백이독”에 비유될 수 있다.
③속음과 동음의 성모가 일치하는 경우는 111개 약37% 이고, 그 반대의 경우는 190개 약 63%로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동음은 화음을 근거로 표음된 점에서 그원인을 찾을 수 있다.
④ 속음과 동음의 운모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는 162개 약 45%이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139개 약 46%로써 일치하는 경우와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⑤ 속음 301개 예자 중 243개 약81%가 현대한국한자음과 일치한다.
이상의 결론에 비추어,『화동정음통석운고』의 속음은 중국어와 국어의 어떠한 환경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독보적인 전통한국한자음으로 계승되어 현대 한국한자음으로까지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화동정음 통석운고의 국어학적 가치
1)유희의 언문지 제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2)중새 한글 국어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매 글자마다 반절과 언문으로 음을 표시하고 있으며, 범례와 책 끝의 「언문초중삼성변」에는 한글에
언문초중종삼성변에서는 ≪훈몽자회≫에서 취한 ‘초성종성통용팔자’와 ‘중성독용십일자’를 예시하였으며, ‘각운중성’의 항에서는 운의 순서에 따라 우리나라 음과 중국음의 중성(모음)의 차이를 한글로 표음하였다.
관하여 고찰한 부분이 있다
3)한자의 음운 연구에 도움이 된다
:권두에 「화동협음통석권지일」이 있고, 동운의 협운자 47자를 비롯하여 평성의 26운과 상성의 22운과 거경의 23운과 입성의 15운에 3000여자가 실려있다. 그리고 당시에 통용되던 속음까지 밝혀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한자음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님
4)한자의 동음과 화음 즉,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을 모두 한글로 표시한 최초의 운서이다.
5) 조선시대 후기 국어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연구경향을 알 수 있다.
6) 수록된 속음이 현대 국어와 비교하였을 때, 몇몇 규칙적인 음변화의 적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하다. 즉, 동음의 변화를 연구함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국어학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화동정음 동석운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화음에 바탕을 둔 동음의 재규정이 목표. 따라서 동음의 규범을 정하기 위해 화음 이외의 것을 참고했을 것이 확실한데 그 기준이 된 것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9.화동협음통석
-<화동정음통석운고>에 빠진 글자를 채우고 우리나라 음과 중국음의 차이를 밝히고 있다.
박성원의 저술을 그가 죽은 후에 그의 아들 박치영이 쓰고 안우의 발문을 붙여 1788(정조 12)에 간행하려고 하였으나 출판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지고 현재 단권1책의 필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추천자료
정인승의 학문적 업적
품사
[방송대] 기말고사 대비 국어요약정리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16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17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19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20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21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23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26
한국어계통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언어기능_교육_철학의_비판적_재검토
[문법론] 한국어 문법 연구 전개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