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생이 스스로 학습한 경우에 해당한다. 영역3의 경우는 교육과정에는 없는 내용을 교사가 수업하고 학생이 이를 학습한 경우에 해당한다. 영역4는 교육과정과 수업만 있는 형태로 교사가 교육과정에 명시된 대로 수업을 했지만 학생이 이를 학습하지 않은 경우를 뜻한다. 영역5는 오로지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영역만 있는 곳으로 잘 짜인 교육과정이 있지만, 교사가 이를 가르치지 않았으며 학생 또한 이를 학습하지 않은 경우이다. 영역 6의 경우는 교육과정에 없고 수업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학생이 학습한 경우로 어떻게 보면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한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역7은 오로지 수업만 있는 경우이다. 즉, 이는 교사가 교육과정에 없는 내용을 수업하지만 학생이 이를 학습하지 않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추천자료
[아동건강교육] 유아교육기관 건강교육의 방법의 유형,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요약, 누리과정 ...
유아교육과정 (우리나라 1960년대 이전) - 서당의 유아교육과정 & 1908년의 유치원 교육...
[아동건강교육]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을 설명하되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과 ...
[유아교육과정]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경구성...
[아동건강교육 B형] 1.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과 표준보육과정에서의 건강교육과...
[아동건강교육4공통]3~5세 누리과정 건강교육부분과 표준보육과정 건강교육과정 설명 & ...
교육과정 공통) 다음 문제 중 2문제를 선택하여 자세히 논하시오.(범위 전 범위)1. 경험주의 ...
유아교육과정,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경구성 ...
교육과정4공통) 다음 문제 중 2문제를 선택하여 자세히 논하시오.<다문화 교육과정, 경험주의...
교육과정 다문화 교육과정 인성교육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