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저원가 전략이란?
-코스트코를 선택한 이유
2.본론
-Costco 기업 소개
-Costco 특징
-Costco 저원가 전략
3.결론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효과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장단점,해결방안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전망
-저원가 전략이란?
-코스트코를 선택한 이유
2.본론
-Costco 기업 소개
-Costco 특징
-Costco 저원가 전략
3.결론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효과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장단점,해결방안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전망
본문내용
제품의 부족함 없이 회전율을 최대한 높일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6. 적절한 매장형태(Right Condition)
매장 내에 불량상품이나 불량포장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이다. 부서지거나 더러운 집기,기구가 없어야 하며, 매장은 항상 청결해야 된다고 강조한다.
매장의 깨끗함에 대한 고객의 이미지를 중시해야 하고, 아내표시가 제대로 붙어있는지를 매일 점검해야 한다. 또, 물건을 나르는 카트도 매일 손질해야 하고,
당연히 종업원의 복장도 항시 깨긋하고, 훌륭한 개인적인 습성을 가지도록 훈련시켜야 한다고 Costco사는 믿고있다.
출처-http://cafe.naver.com/gmakorea/14514
3.결론
3-1.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성과는?
-2010년 코스트코 매출 → 2조 863억원
3-2.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문제점
1) 고객서비스가 부족하다
인터넷의 댓글 등 코스트코의 평판을 보면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코스트코의 직원들이 불친절하다거나 서비스가 형편없다는 댓글들을 많이 찾을수 있다.
2) 물건을 패키지로만 구매가 가능하다.
3) 삼성계열사 카드만 사용한다.
3-3. 해결방안 및 우리의 생각
- 저원가 전략이 원가 절감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싼 가격에 비례해서 고객들이 느끼는 불편감도 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방금 말한 것들은 코스트코의 고유한 원가 절감 방법이기 때문에, 완전히 개선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전략들을 적절히 사용하면서도 고객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없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코스트코에서는 결제 방법으로 현금, 자기앞 수표, 삼성 계열사의 카드만 받고 있다.
코스트코의 주장에 따르면, 카드 수수료를 최소화하여, 카드 수수료를 지급하는데 드는 비용마저도 절약해서 이를 상품의 원가 절감에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고객들에게 강제적으로 한 가지 카드만을 사용하게 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고, 고객들에게 큰 불편을 주기 때문에, 이는 꼭 시정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자료를 찾아본 결과, 코스트코의 저원가 정책은 이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많은 효용을 가져다 주지만, 국내의 여타 대형마트들처럼, 주변의 상권을 죽이는데 일조하고 있다. 일반적인 대형매장에도 밀리는 전통시장들이나, 주변 지역의 소형 슈퍼마켓들은 피해를 입고있는데, 대형 매장들보다 더욱 낮은 가격으로 물품을 제공하는 코스트코 주변의 상권은 완전히 죽고 말 것이다. 기사를 찾아보니 코스트코 양평점은 국가에서 법으로 정한 휴무일에도 영업을 한다고 한다. 낮은 가격탓에 손님들이 몰려들어, 주말 하루에만 십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리고 있는데, 이 날 불법으로 영업을 하면 부과하는 벌금이 3000만원이라고 한다. 하루에 벌금 3000만원을 내면 10억원이 넘는 수익을 얻기 때문에, 코스트코가 불법 영업을 자행하는 것 같다. 코스트코 내부에서 도덕적 영업에 대한 시각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휴무일을 정하거나 , 국가에서 더 큰 재제를 가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낮은 가격은 확실히 경쟁력이 있는 것이지만, 특정 가게에서 현저히 낮은 가격의 상품은, 오히려 주변 시장의 파괴를 가져다 올 수 있는 것 같다. 프랑스나 외국 각지에서는 일요일 대형 마트들이 영업하지 않는 곳들도 많아서 몇 백 년을 이어오고 사람 냄새가 풍기는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 관광 상품화하고 있어 그 나라가면 좋은 인상과 그 나라만의 전통을 느낄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재래시장하면 낡고 지저분하고 오래된 것이라는 과거 근현대화하면서 버려야하는 습관에 사고가 각인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자문해야 할 때 인 것 같다.
제품의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6. 적절한 매장형태(Right Condition)
매장 내에 불량상품이나 불량포장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이다. 부서지거나 더러운 집기,기구가 없어야 하며, 매장은 항상 청결해야 된다고 강조한다.
매장의 깨끗함에 대한 고객의 이미지를 중시해야 하고, 아내표시가 제대로 붙어있는지를 매일 점검해야 한다. 또, 물건을 나르는 카트도 매일 손질해야 하고,
당연히 종업원의 복장도 항시 깨긋하고, 훌륭한 개인적인 습성을 가지도록 훈련시켜야 한다고 Costco사는 믿고있다.
출처-http://cafe.naver.com/gmakorea/14514
3.결론
3-1.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성과는?
-2010년 코스트코 매출 → 2조 863억원
3-2. 코스트코 저원가 전략의 문제점
1) 고객서비스가 부족하다
인터넷의 댓글 등 코스트코의 평판을 보면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코스트코의 직원들이 불친절하다거나 서비스가 형편없다는 댓글들을 많이 찾을수 있다.
2) 물건을 패키지로만 구매가 가능하다.
3) 삼성계열사 카드만 사용한다.
3-3. 해결방안 및 우리의 생각
- 저원가 전략이 원가 절감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싼 가격에 비례해서 고객들이 느끼는 불편감도 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방금 말한 것들은 코스트코의 고유한 원가 절감 방법이기 때문에, 완전히 개선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전략들을 적절히 사용하면서도 고객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없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코스트코에서는 결제 방법으로 현금, 자기앞 수표, 삼성 계열사의 카드만 받고 있다.
코스트코의 주장에 따르면, 카드 수수료를 최소화하여, 카드 수수료를 지급하는데 드는 비용마저도 절약해서 이를 상품의 원가 절감에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고객들에게 강제적으로 한 가지 카드만을 사용하게 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고, 고객들에게 큰 불편을 주기 때문에, 이는 꼭 시정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자료를 찾아본 결과, 코스트코의 저원가 정책은 이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많은 효용을 가져다 주지만, 국내의 여타 대형마트들처럼, 주변의 상권을 죽이는데 일조하고 있다. 일반적인 대형매장에도 밀리는 전통시장들이나, 주변 지역의 소형 슈퍼마켓들은 피해를 입고있는데, 대형 매장들보다 더욱 낮은 가격으로 물품을 제공하는 코스트코 주변의 상권은 완전히 죽고 말 것이다. 기사를 찾아보니 코스트코 양평점은 국가에서 법으로 정한 휴무일에도 영업을 한다고 한다. 낮은 가격탓에 손님들이 몰려들어, 주말 하루에만 십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리고 있는데, 이 날 불법으로 영업을 하면 부과하는 벌금이 3000만원이라고 한다. 하루에 벌금 3000만원을 내면 10억원이 넘는 수익을 얻기 때문에, 코스트코가 불법 영업을 자행하는 것 같다. 코스트코 내부에서 도덕적 영업에 대한 시각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휴무일을 정하거나 , 국가에서 더 큰 재제를 가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낮은 가격은 확실히 경쟁력이 있는 것이지만, 특정 가게에서 현저히 낮은 가격의 상품은, 오히려 주변 시장의 파괴를 가져다 올 수 있는 것 같다. 프랑스나 외국 각지에서는 일요일 대형 마트들이 영업하지 않는 곳들도 많아서 몇 백 년을 이어오고 사람 냄새가 풍기는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 관광 상품화하고 있어 그 나라가면 좋은 인상과 그 나라만의 전통을 느낄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재래시장하면 낡고 지저분하고 오래된 것이라는 과거 근현대화하면서 버려야하는 습관에 사고가 각인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자문해야 할 때 인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