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
4. 결과
5. 고찰
6. 결론
7. NOMENCLATURE
8. REFERENCE
2. 이론
3. 실험
4. 결과
5. 고찰
6. 결론
7. NOMENCLATURE
8. REFERENCE
본문내용
어 버렸다.
아무래도 1,2번의 오차의 이유는 조그마한 이유는 될 수 있지만 주된 오차의 원인이라고는 말하기 힘들며 3번째 오차의 원인이 내 생각으론 이번 실험을 망친 오차의 원인이다. 늘 페놀프탈레인을 넣고 NaOH로 적정을 하면 투명한 용액에만 하였는데 이번에도 투명한 용액이지만 활성탄이라는 변수가 있었는데 너무 안일하게 적정을 하다가 실험이 망해버린 것 같다.
아쉽지만 이번 실험은 실패하였지만 그래도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 지난번에 실험했던 조의 자료를 받아서 결론을 도출해 보겠다. 지난번에 실험했던 조의 값은
활성탄양
(g)
NaOH 적정량
(mL)
NaOH mol수
평형mol농도
(mol/L)
흡착용량
q(mol/g)
ln C
ln q
0.1
37.0
0.00185
0.0925
0.00375
-2.38055
-5.5860
0.2
36.2
0.00181
0.0905
0.002375
-2.40241
-6.04276
0.3
35.0
0.00175
0.0875
0.002083
-2.43612
-6.17395
0.4
32.0
0.00160
0.080
0.00250
-2.52573
-5.99146
0.5
34.0
0.00170
0.085
0.00150
-2.46510
-6.50230
이것과 같으며 ln q VS ln C 그래프를 그려보면
위와 같은 그래프를 구할 수 있으며 Freundlich 흡착등온식 으로부터 기울기=1/n, y절편=lnK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n=1/2.6015=0.384, K=e^0.2936=1.341 값을 구할 수 있다.
이번에는 그래프를 그려보면
위와 같은 그래프를 구할 수 있으며 Langmuir의 흡착등온식 으로부터 기울기=1/ab, y절편=1/a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a=99.34=0.01, 1/ab=-696.34이므로 b=-0.145라는 값을 구할 수 있다.
6. 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아세트산의 농도는 일정하게 하고 흡착제의 양을 늘려가면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흡착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NaOH적정량은 점점 더 떨어졌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흡착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흡착되는 아세트산 양이 많아진다는 뜻이다.
우리조의 이번 실험 결과 값이 이상하여 다른 조의 결과 값으로 Freundlich 흡착등온식의 n값을 구해봤는데 이 값은 0.384가 나왔으며 일반적으로 n값이 1을 가지는 것으로 비교해보아 매우 낮은 값이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흡착이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더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7. NOMENCLATURE
기호
단위
기호
단위
V
흡착질의 양[L]
C0
초기농도[mol/L]
m
흡착제의 양[kg]
C
평형에서의 농도[mol/L]
q
흡착량[mol/kg-고체]
K,n
Freundlich 흡착등온식의 실험상수
a,b
Langmuir 흡착등온식의 상수
8. REFERENCE
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167&cid=40942&categoryId=3227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7613&cid=40942&categoryId=3225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409&cid=40942&categoryId=32260
② http://en.wikipedia.org/wiki/Phenolphthalein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hydroxide
http://en.wikipedia.org/wiki/acetic_acid
③ McGrawHill, Warren L. McCabe 외 2명, 단위조작, p703~720
아무래도 1,2번의 오차의 이유는 조그마한 이유는 될 수 있지만 주된 오차의 원인이라고는 말하기 힘들며 3번째 오차의 원인이 내 생각으론 이번 실험을 망친 오차의 원인이다. 늘 페놀프탈레인을 넣고 NaOH로 적정을 하면 투명한 용액에만 하였는데 이번에도 투명한 용액이지만 활성탄이라는 변수가 있었는데 너무 안일하게 적정을 하다가 실험이 망해버린 것 같다.
아쉽지만 이번 실험은 실패하였지만 그래도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 지난번에 실험했던 조의 자료를 받아서 결론을 도출해 보겠다. 지난번에 실험했던 조의 값은
활성탄양
(g)
NaOH 적정량
(mL)
NaOH mol수
평형mol농도
(mol/L)
흡착용량
q(mol/g)
ln C
ln q
0.1
37.0
0.00185
0.0925
0.00375
-2.38055
-5.5860
0.2
36.2
0.00181
0.0905
0.002375
-2.40241
-6.04276
0.3
35.0
0.00175
0.0875
0.002083
-2.43612
-6.17395
0.4
32.0
0.00160
0.080
0.00250
-2.52573
-5.99146
0.5
34.0
0.00170
0.085
0.00150
-2.46510
-6.50230
이것과 같으며 ln q VS ln C 그래프를 그려보면
위와 같은 그래프를 구할 수 있으며 Freundlich 흡착등온식 으로부터 기울기=1/n, y절편=lnK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n=1/2.6015=0.384, K=e^0.2936=1.341 값을 구할 수 있다.
이번에는 그래프를 그려보면
위와 같은 그래프를 구할 수 있으며 Langmuir의 흡착등온식 으로부터 기울기=1/ab, y절편=1/a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a=99.34=0.01, 1/ab=-696.34이므로 b=-0.145라는 값을 구할 수 있다.
6. 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아세트산의 농도는 일정하게 하고 흡착제의 양을 늘려가면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흡착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NaOH적정량은 점점 더 떨어졌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흡착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흡착되는 아세트산 양이 많아진다는 뜻이다.
우리조의 이번 실험 결과 값이 이상하여 다른 조의 결과 값으로 Freundlich 흡착등온식의 n값을 구해봤는데 이 값은 0.384가 나왔으며 일반적으로 n값이 1을 가지는 것으로 비교해보아 매우 낮은 값이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흡착이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더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7. NOMENCLATURE
기호
단위
기호
단위
V
흡착질의 양[L]
C0
초기농도[mol/L]
m
흡착제의 양[kg]
C
평형에서의 농도[mol/L]
q
흡착량[mol/kg-고체]
K,n
Freundlich 흡착등온식의 실험상수
a,b
Langmuir 흡착등온식의 상수
8. REFERENCE
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167&cid=40942&categoryId=3227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7613&cid=40942&categoryId=3225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409&cid=40942&categoryId=32260
② http://en.wikipedia.org/wiki/Phenolphthalein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hydroxide
http://en.wikipedia.org/wiki/acetic_acid
③ McGrawHill, Warren L. McCabe 외 2명, 단위조작, p703~7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