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실험-흙의 투수계수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역학실험-흙의 투수계수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 목적
2.관련 이론
3. 실험 방법
4. 시험 결과
5. 고 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를 곱하면 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회의 시험의 평균값은 0.0000222 이다.
5. 고 찰
지 반
투 수 계 수 k[cm/sec]
거 친 모 래
미 세 한 모 래
매 우 미 세 한 모 래
롬 질 흑
점 토
벤 토 나 이 트
0.5 ~ 1.0
0.1 ~ 0.3
0.01 ~ 0.02
0.01 ~
0.02 ~
0.0033 [mm/year]
압밀시험처럼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고 까다롭고 어려운 실험이 아니어서 시험 수행 시 큰 어려움은 없었다. 정수위 시험을 거쳐 온도에 대한 보정을 한 뒤 얻은 투수계수 값은 0.0094888, 0.0097402, 0.0095035 가 나왔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 위 값들을 산술평균한 약 0.0095775 정도의 값을 갖는다. 이 값은 보통 실트질 점토의 투수계수인 0.001~0.00001 사이 값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한 시료는 화력발전소에서 타고 남은 찌꺼기(bottom ash) 25% 와 다른 첨가물을 섞어서 만든 시료라고 하는데 투수계수가 작은 걸로 봐서 이 시료의 입자의 크기가 작고 고운 모래에서 실트질 점토 그 사이의 투수계수를 갖는 것 같다.
두 번째 변수위 시험 에서는 투수계수 값이 0.0000369, 0.0000143, 0.0000155의 산술평균값인 0.0000222 라는 값을 얻었다. 이는 정수위 측정 시보다 훨씬 작은 수치이다.
보통 변수위 시험은 투수계수가 작은 시험에 쓰이고 정수위 시험은 투수계수가 큰 흙에 쓰인다는 것을 알았다. 투수계수가 작은 시료는 변수위 시험을 실시하는 이유는 수두의 변화가 정수위보다 읽기가 쉽고 좀 더 긴 사이간격을 두고 시간을 체크하므로 오차가 줄어들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결과를 점검하면서 우리 조의 1번째 측정값이 나머지 2번의 측정 값과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마도 이는 눈금을 돌아가면서 읽다 보니 처음 눈금을 읽은 조원이 조금 서툴렀기 때문인 거 같아 아쉬웠다.
이처럼 이 시험에서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수두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인데 수두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1mm의 오차는 정수위에서는 0.7%, 변수위에서는 2.7%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수두의 개개인의 상대적 차이를 없애기 위해 시험에 능숙한 1명이 수두의 높이를 다 측정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6. 참고 문헌
- 최 대 호 , 土質試驗 , 1992년 , 기공사 P. 93 ~ 101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5.31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