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 폐기능검사(PFT)의 목적
◎ 폐기능검사(PFT)의 주의사항
◎폐기능검사(PFT) 결과치
◎ 폐기능검사(PFT)의 목적
◎ 폐기능검사(PFT)의 주의사항
◎폐기능검사(PFT) 결과치
본문내용
(total lung capacity:TLC)
전폐용량은 폐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공기양이다. 이는 기능적 잔기량에 흡기용량을 더하거나 폐활량과 잔기량을 더한 것이며 정상 성인의 경우 6,000ml이다.
⑼ 분당 호흡량(minute volume)
분당 호흡량은 1분동안 폐로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총량을 말하며, 안정 시 1회호흡량에 1분간 호흡수를 곱한 것이다. 정상치는 약 6,000-7,000ml 이며 폐질환이 있으면 감소한다.
⑽ 강제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FEV)
강제 호기량은 1초, 2초, 3초 간격으로 측정하므로 초당 강제 호기량이 라고도 한다. 강제 호기량 측정 시 1초에는 강제 폐활량의 83%, 2초에는 93%, 3초에는 97%를 호기한다. 폐활량을 다 호기해 내는데 4초 이상 걸리면 폐쇄성 폐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강제 폐활량에 대한 1초 강제 호기량의 비율이 예측값이 80%이면 정상수준이다.
⑾ 강제 호기 유속(forced expiratory flow200-1200:FEF200-1200)
강제 호기유속은 강제 폐활량 호기 시 처음 호기 1,000ml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큰 기도의 공기 흐름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정상치는 분당 250-450l이며, 심한 폐쇄성 폐질환이 있으면 분당 60l이하로 감소한다.
⑿ 강제 중간 호기 유속(forced expiratory flow 25-75%, FEF25-75%)
강제 중간 호기 유속은 강제 폐활량의 초기와 말기 25%를 제외한 중간 50%의 환기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상인의 평균 측정치는 분당 282l이며, 세기관지 질환의 조기 지표이다.
⒀ 최고 호기 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최고 호기 유속은 강제호기시의 최고유속을 말한다. 정상수준은 분량 600l 이상이다.
⒁ 최대 환기량(maximal voluntary ventilatione:MVV)
최대환기량은 최대호흡량이라고도 하며, 공기의 흐름·근육의강도·흉곽과 폐의 팽창성· 기도저항을 검사하는 것이다. 환자에게 의식적으로 가능한 깊고 빠르게 숨을 쉬게 하여 10초, 12초 혹은 15초동안의 공기양을 측정한다. 총 공기의 양을 계산하여 분당환기량으로 표시한다. 정상성인의 평균치는 분당170l이다. 여자나 노인의 경우 낮고, 중등도나 심한 만성폐쇄성 폐질환인 경우 뚜렷이 감소되어 있으며 억제성 폐질환은 감소되어 있거나 정상이다.
전폐용량은 폐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공기양이다. 이는 기능적 잔기량에 흡기용량을 더하거나 폐활량과 잔기량을 더한 것이며 정상 성인의 경우 6,000ml이다.
⑼ 분당 호흡량(minute volume)
분당 호흡량은 1분동안 폐로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총량을 말하며, 안정 시 1회호흡량에 1분간 호흡수를 곱한 것이다. 정상치는 약 6,000-7,000ml 이며 폐질환이 있으면 감소한다.
⑽ 강제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FEV)
강제 호기량은 1초, 2초, 3초 간격으로 측정하므로 초당 강제 호기량이 라고도 한다. 강제 호기량 측정 시 1초에는 강제 폐활량의 83%, 2초에는 93%, 3초에는 97%를 호기한다. 폐활량을 다 호기해 내는데 4초 이상 걸리면 폐쇄성 폐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강제 폐활량에 대한 1초 강제 호기량의 비율이 예측값이 80%이면 정상수준이다.
⑾ 강제 호기 유속(forced expiratory flow200-1200:FEF200-1200)
강제 호기유속은 강제 폐활량 호기 시 처음 호기 1,000ml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큰 기도의 공기 흐름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정상치는 분당 250-450l이며, 심한 폐쇄성 폐질환이 있으면 분당 60l이하로 감소한다.
⑿ 강제 중간 호기 유속(forced expiratory flow 25-75%, FEF25-75%)
강제 중간 호기 유속은 강제 폐활량의 초기와 말기 25%를 제외한 중간 50%의 환기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상인의 평균 측정치는 분당 282l이며, 세기관지 질환의 조기 지표이다.
⒀ 최고 호기 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최고 호기 유속은 강제호기시의 최고유속을 말한다. 정상수준은 분량 600l 이상이다.
⒁ 최대 환기량(maximal voluntary ventilatione:MVV)
최대환기량은 최대호흡량이라고도 하며, 공기의 흐름·근육의강도·흉곽과 폐의 팽창성· 기도저항을 검사하는 것이다. 환자에게 의식적으로 가능한 깊고 빠르게 숨을 쉬게 하여 10초, 12초 혹은 15초동안의 공기양을 측정한다. 총 공기의 양을 계산하여 분당환기량으로 표시한다. 정상성인의 평균치는 분당170l이다. 여자나 노인의 경우 낮고, 중등도나 심한 만성폐쇄성 폐질환인 경우 뚜렷이 감소되어 있으며 억제성 폐질환은 감소되어 있거나 정상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회복실 간호
급성심근경색증 case study, 간호과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인공슬관절 치환술에 대한 문헌고찰과 수술전후간호, 수술후 운동에 관...
정상신생아 간호-신생아실
[간호][환자간호][환자][간호 사례][환자 간호 사례]심근경색환자 간호, 심도자술환자 간호, ...
아동간호학 7장
심폐물리치료 - 심장기능부전에 관해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CT,폐조직검사(NAB)
폐렴(pneumonia) 간호사례 연구 케이스 스터디
대퇴 골절 간호과정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
간호과정-소아과 (쯔쯔가무시병)
눈의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건강력,신체검진, 진단적 검사)
검찰의 개념과 주요 기능 검찰조직 검찰의 교정관련프로그램(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 재소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