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case study-류마티스 관절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case study-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case study

본문내용

다리 마디마디가 다~ 아프다.”
③ “어르신께서는 뼈 관절 마디마디가 아프셔서 잘 움직이려고도 안해요.”
④ “혼자서 목욕하거나 화장실 가는 것은 거의 힘들죠.”
객관적 자료
① 관절을 만지면 아프고 움직임이 제한 됨.
② 손가락 뼈 마디가 부어있음.
③ 조조강직이 1시간 이상 지속됨.
④ 특히 Lt. knee에 간헐적으로 콕콕 쑤시는 통증을 심하게 호소 함.
간호진단 #1
관절의 변형 및 염증과 관련된 통증
간호계획
간호목표
대상자는 이전보다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기대결과
통증의 완화
간호수행
사정
통증의 정도, 양상, 지속시간을 사정한다.
처방대로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 사정하고, 결과를 확인한다.
투여된 약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부작용을 관찰한다.
투여하는 약과 대상자의 통증 완화, 반응 등의 상관관례를 대상자나 보호자와 논의한다.
대상자가 통증에 대한 느낌이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중재
압통이 느껴지는 관절이나 근육에 필요 시 온습 또는 얼음 마사지를 실시한다.
(필수 사항이 아니므로 대상자에 상태에 따라 수행한다.)
처방된 진통제나 소염제를 투여한다.
교육
대상자에게 약물복용법에 대해 교육하고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설명한다.
⑨ 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처치로 인한 불편과 같은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통증은 염증의 정도, 침범된 관절, 통증 양상과 환자의 인내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통증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수집은 환자의 더 나은 안위도모를 위해 필요하다.
모든 약물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작용이 있다. 특히 소염제는 주의해야 할 약물 부작용이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약물을 계속 투여할지 바꿀지 결정할 수 있다.
불안은 통증을 악화시키는 요소이므로 심리적인 불안을 줄이고, 환자의 정서 상태를
파악하여 질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온습 마사지는 근육을 풀어주고 노폐물을 제거시켜 줄 수 있으며, 얼음 마사지는 혈관을
수축시켜 부종을 가라앉히고 신경 말단부 자극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진통제나 소염제는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경감시켜 준다.
간호평가
대상자의 관절염증과 부종이 완치된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 및 관리를
통해 이전보다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간호사정
간호문제 #2
주관적 자료
① “선생님요. 저 열 좀 재 보이소. 열이 자꾸 나는 거 같습니더.”
② “에효~ 관절에 염증도 있고 아프고 하는데 열이 안나는게 이상하지.
아이고 머리야~”
③ “열이 나서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① 고막체온 37.2°C~38.8°C로 현재 지속적으로 고체온이 나타남.
② 오한, 열감, 안면 홍조, 갈증이 있음.
③ 머리가 아프다며 인상을 찡그림.
간호진단 #2
지속적인 고체온과 관련된 안위 변화
간호계획
간호목표
대상자는 5월 3일까지 정상체온의 범위를 유지하며, 고체온으로 인해 인상을 찌푸리지 않고, 예전만큼 열감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함
기대결과
정상 체온범위 유지(고막체온 정상범위:35.8 ~ 38.0°C)
간호수행
사정
매 duty 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고 체온을 주의 깊게 모니터한다.
대상자의 표정과 호흡상태, 피부의 습기 및 색깔을 관찰한다.
처방대로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 사정하고, 결과를 확인한다.
고체온으로 인한 두통과 관련된 대상자의 불안을 관찰하고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병실의 온도와 습도가 적절한지 확인한다.
중재
가능하면 적절한 수분섭취 격려하고 필요시 구강간호를 수행한다.
→ 대상자의 경우 “뭘 먹을까요?” 묻기만 해도 구토를 하고 물도 잘 먹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IV로 N/S를 주입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 tylenol,, paceta를 투약하고 치료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교육
대상자에게 약물복용법에 대해 교육하고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설명한다.
이론적근거
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대상자의 경우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체온의 변화를 관찰해야하며 비정상적인 변화는 보고해야한다.
불안을 표현하도록 하고 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으면 훨씬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낀다.
심한 발한과 불충분한 수분섭취는 체액 손실을 일으키며, 체액 부족 시 체온이 더
상승 할 수 있다.
간호평가
아직 대상자의 고막체온이 지속적으로 정상범위에 있지 않고, 벗어날 때가 있지만, 이전보다 표정이 밝아 졌고, 더 이상 고체온으로 인한 두통은 호소하지 않는다.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6.0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