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특정 대상을 선정하고 자원봉사를 실천
2)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제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2. 본론
1) 특정 대상을 선정하고 자원봉사를 실천
2)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제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본문내용
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실제 우리 가족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의향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원봉사활동지를 찾지 못해 주민센타 직원분의 도움을 받아 겨우 찾을 수 있었다. (그림 자료출처=조선일보)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이 늘고 있지만, 미국과 일본에 비하여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저조할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도 청장년층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연령별 편차가 극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도 정부의 지원이나 행정적 지원체계가 미비하고,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할 법적 근거조차도 부실한 편이다. 전국적으로 자원봉사센타를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자원봉사센타의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자원봉사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도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동은 일회성 이벤트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전문성도 매우 떨어질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대우를 개선
노인복지센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했을 때, 센타 사회복지사님들은 우리 가족이 자원봉사자들이기 때문에 막 부려먹어도 된다는 생각을 하셨던 것 같다. 이 때문에 우리 가족은 목욕도우미 활동부터 설거지, 반찬배분, 청소 등 온갖 허르렛일을 도맡아 했어야 했다. 물론 우리 가족이 원해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했지만,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사회복지사님들의 대우가 참 좋지 못했다는 생각을 저버릴 수 없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대우와 배려를 강화함으로서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3. 결론
자원봉사활동은 사회통합과 양극화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복지사회를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그 첨병과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은 참여자에 대한 인정보상 체계가 전무하고 참여자를 관리감독하고 지도할 전문가 조차 거의 없기 때문에 활동 자체가 활성화되기는 참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정부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인정보상책을 마련하고 참여자를 관리감독 및 지도할 전문가 집단을 육성하는데 있어 만전을 기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4. 출처 및 참고
http://news.chosun.com/
자원봉사 활동 (제4의물결) 이성록(교수) 저 | 학문사 | 2003.12.15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이 늘고 있지만, 미국과 일본에 비하여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저조할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도 청장년층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연령별 편차가 극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도 정부의 지원이나 행정적 지원체계가 미비하고,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할 법적 근거조차도 부실한 편이다. 전국적으로 자원봉사센타를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자원봉사센타의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자원봉사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도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동은 일회성 이벤트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전문성도 매우 떨어질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대우를 개선
노인복지센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했을 때, 센타 사회복지사님들은 우리 가족이 자원봉사자들이기 때문에 막 부려먹어도 된다는 생각을 하셨던 것 같다. 이 때문에 우리 가족은 목욕도우미 활동부터 설거지, 반찬배분, 청소 등 온갖 허르렛일을 도맡아 했어야 했다. 물론 우리 가족이 원해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했지만,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사회복지사님들의 대우가 참 좋지 못했다는 생각을 저버릴 수 없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대우와 배려를 강화함으로서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3. 결론
자원봉사활동은 사회통합과 양극화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복지사회를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그 첨병과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은 참여자에 대한 인정보상 체계가 전무하고 참여자를 관리감독하고 지도할 전문가 조차 거의 없기 때문에 활동 자체가 활성화되기는 참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정부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인정보상책을 마련하고 참여자를 관리감독 및 지도할 전문가 집단을 육성하는데 있어 만전을 기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4. 출처 및 참고
http://news.chosun.com/
자원봉사 활동 (제4의물결) 이성록(교수) 저 | 학문사 | 2003.12.15
추천자료
지역사회 내 자원봉사 현황과 발전방안
Voluntas : 청소년자원봉사동아리 육성사업 계획서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원봉사를 활용 할 수 있는 전략 제시
현대사회의 장애인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원봉사의 구체적인 활용 전략제시
장애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 활용방안
[사회복지학]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한국 기부금 / 자원봉사 운동
장애인의 자원봉사
복지행정론 -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가족변화와 가족 자원봉사의 필요성
선거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자원봉사자 발굴 및 육성 방안을 제시해 보세요
[청소년지도] 청소년지도에 있어 자원봉사의 위치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청소년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