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농양케이스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농양케이스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보임.
간호
진단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 목표
단기
대상자는 5일 이내에 NRS를 3점 이하라고 표현한다.
대상자 스스로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완화하는 비치료적 방법을 2가지 이상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장기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1)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매일 사정한다.
(발생부위, 지속기간, 특성)
2)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3)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통증 완화법을 제공한다.
4) 조용한 환경을 유지하고
통증이 심할 시 활동을 제한한다.
5)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반응을 사정한다.





1) 대상자의 통증의 특성과 정도의 사정은 진단에 도움을 주고 이에 따른 중재를 하기 위함이다.
2) 통증 시 혈압이 상승하고 맥박수와 호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3) 통증 지각과 통증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4) 조용한 환경과 편안한 체위는 신체적으로 이완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킨다. 활동은 혈압을 상승 시키고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5) 약물의 효과를 사정하고 진통제의 내성을 파악하여 약제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간호
수행
1) 통증을 매일 1회 사정하였다. (수행)
5/2
NRS 7점 : RUQ / 쑤시고 찌르는듯함 / 1분 간격으로 지속적임
5/3
NRS 5점 : RUQ / 쑤심 /
5분 간격으로 지속적임
5/4
NRS 3점 : RUQ / 약간 욱신거리는 정도
5/6
NRS 2점 : RUQ / 약간 욱신거리는 정도
2)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으며, 체온은 5/4일 저녁시간 이후 정상범위로, 그 외 맥박, 호흡, 혈압은 모두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수행)
3) 관심전환요법(독서, TV시청, 게임 등)과 이완요법(천천히 규칙적인 호흡하기, 편안한 생각하기, 음악듣기)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관찰)
4) 통증이 있을 시 커튼을 쳐서 살짝 어두운 분위기와 병실 문을 닫아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주었으며, 최대한 스트레스 받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수행)
5) 진통제(데노간주)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관찰)
간호
평가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NRS가 3점이라고 표현하였다.
5/2
NRS 7점 : RUQ / 쑤시고 찌르는듯함 / 1분 간격으로 지속적임
5/3
NRS 5점 : RUQ / 쑤심 /
5분 간격으로 지속적임
5/4
NRS 3점 : RUQ / 약간 욱신거리는 정도
5/6
NRS 2점 : RUQ / 약간 욱신거리는 정도
- “약간 욱신거리기는 한데 전처럼 아프진 않아.”
- “배 아플 때 숨을 크게 쉬고 누워서 티비를 좀 보니까 괜찮아졌어.”
#3.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몸이 후끈후끈해.”
객관적
대상자는 경피적 농양 배액술(PCD)을 한 상태
BT 38.1 (5/3)
WBC 14.3
ESR 99
CRP 133.9
Neutrophil 95.1
대상자의 얼굴이 붉게 상기되어있음.
간호
진단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목표
단기
대상자의 체온이 4일 내에 정상범주에 속한다.
대상자의 진단검사 수치가 7일 내에 점차적으로 내려간다.
대상자에게서 홍조를 띤 모습이 관찰되지 않는다.
장기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주를 유지한다.
대상자의 진단검사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대상자에게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
계획
1)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2) 삼출액의 양상을 사정하고
배액관 삽입부위 및 배액관의 개방상태를 확인 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 모든 간호처치 및 환자 접촉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5) 대상자에게 감염예방법 및 감염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1) 침습적 처치 후에는 감염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이를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혈압, 맥박, 호흡수 및 체온의 상승은 감염의 지표이다.
2) 배액관이 막히면 내부 감염을 초래한다.
3)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감염의 가능성을 줄여주고
이를 예방한다.
4) 감염 및 교차감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5) 감염위험성을 알고 이를 예방할 수 있다.
간호
수행
1) V/S을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수행)
AM 05:00
AM 09:00
PM 16:00
PM 21:00
5/3
38.2℃
38.1℃
37.9℃
37.8℃
5/4
37.7℃
37.7℃
37.5℃
37.2℃
5/5
37.1℃
37.0℃
37.0℃
36.8℃
5/6
36.7℃
36.4℃
36.6℃
36.5℃
2) 삼출액 : 양 - 60ml / 색 - yellowish
삽입부위 : 발적과 종창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개방상태 : 배액관이 꺾여있지 않고 배액 주머니가 삽입부위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배농이 잘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찰)
3) 항생제(타박신주, 아미카신주)를 투여하였다. (관찰)
4) 매 간호 행위 시 손씻기를 하고,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하였다. (관찰)
5) 대상자에게 손씻기를 강조하고 배농 부위를 만지지 말 것을 교육하였다. 또한 열이 나거나 배농 부위의 통증, 심계항진 등의 감염 징후가 나타날 시 즉시 알리도록 격려하였다. (관찰&수행)
간호
평가
- BP
AM 05:00
AM 09:00
PM 16:00
PM 21:00
5/3
38.2℃
38.1℃
37.9℃
37.8℃
5/4
37.7℃
37.7℃
37.5℃
37.2℃
5/5
37.1℃
37.0℃
37.0℃
36.8℃
5/6
36.7℃
36.4℃
36.6℃
36.5℃
- WBC 7.6 / ESR 36 / CRP 23.7 / Neutrophil 64.1
a CRP 수치에 있어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음.
- 대상자의 얼굴에서 홍조가 관찰되지 않음.
5. 참고문헌
- 김금순, 최경옥, 현경선 외(2012). 성인간호학Ⅰ. 파주 : 수문사. 468, 551-553
- 전시자, 김희경 외(2009).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765-767
- 차영남, 장효순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 현문사. 285, 343, 352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6.07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4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