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참고문헌>
Ⅱ본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이명, 기관지경련
이부서스펜시럽
PO
100mg/5ml&3회/1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쇽, 가슴쓰림, 오한, 호흡곤란, 혈압저하, 헤마토크릿 감소
(5) 검사 및 특수치료
검사명 및 치료
목적
준비 및 방법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
원인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서
긴 면봉으로 목 깊이 넣어 분비물을 채취한다
Chest AP
세기관지염의 진단방법 중 하나로 흉부의 침윤물 이나 무기폐의 유무확인을 위해
촬영기에 몸을 딱 붙인 상태에서 숨을 들이쉰다음 참은 상태에서 촬영함
Lab검사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관찰을 하기위해서
needle로 정맥천자함
폐렴원인균 선별검사
주로 하기도 감염을 유발, 세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키는 흔한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
환자의 객담, 비인두 흡입물 및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다중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한 후 전기영동을 통하여 증폭산물을 분석하여 양성과 음성을 판독함
소변검사
전신적인 내분비 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기위해
알콜솜과 소변통을 주어 생식기를 소독한 후 되도록 중간소변을 받도록 함
작성일시
체온
맥박
호흡
2016년3월6일
11:20
38.7
124
30
14:00
38.4
130
32
20:00
38.0
120
28
2016년3월7일
06:00
37.4
120
26
14:00
37.4
120
26
20:00
37.3
118
26
2016년3월8일
06:00
36.9
122
24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
Rhino virus - positive(+)
Adeno virus - positive(+)
Chest AP
no definite infiltration
폐렴원인균 선별검사
streptococcus pneumonia(+)
haemopilus influezae(+)
검사내용
결과치
단위
참고치
혈액학
WBC
11.8
10^3/㎕
4.0~10.8
RBC
4.02
10^6/㎕
4.2~5.4
HGB
11.6
g/dL
11.5~13.5
HCT
31.6
%
36~48
PLT
244
10^3/㎕
130~400
MCV
78.7
fL
75~81
MCH
28.9
pg
26~33
MCHC
36.8
%
32~37
ESR
51
mmlhr
0~20
생화학
Total protein
6.8
g/dl
5.7~8.8
ALP
234
U/L
104~345
glucose
104
mg/dl
74~106
BUN
10.4
mg/dl
7~20
creatinine
0.6
mg/dl
0.3~0.7
Na
137
mmol/L
136~146
K
4.0
mmol/L
3.5~5.1
Cl
104
mmol/L
97~111
GOT
34
mg/dL
15~60
Amylase total
33
U/dL
22~80
CPK
78
U/L
0~145
CPT
5
U/L
4~34
gamma-GTP
7
U/L
9~64
Albumin
3.9
g/dL
3.1~5.2
Total cholesterol
123
mg/dL
130~200
Fe
44
ug/dL
40~100
TIBC
247
mg/dL
250~400
면역혈청
Ferritin
64.31
ng/ml
10.9~92.4
CRP
3.06
ng/dL
0~0.5
ASO
3
IU/mL
150이하
총면역글로불린
940.7
IU/mL
-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ㆍ주관적 자료 -
ㆍ객관적 자료 - 체온 38.7 - 붉은 얼굴 - WBC 11.8
- ESR 51 - CRP 3.06
간호목표
체온이 정상범위인 36.9° 일것이다
간호계획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고 방온도를 22.2~23.9℃를 유지할 것이다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할 것이다
-1~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갑작스런 체온상승이 있는지 사정 할 것이다.
-열을 내리기 위해 환아에게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작용할 것이다.
간호중재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고 방온도를 22.2~23.9℃를 유지해 주었다
-처방된 해졀제를 투여했다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갑작스러운 체온상승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열을 내리기 위해 환아에게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하도록 보호자에게 말해주었다.
평가
체온이 정상적인 범위 내, 36.9℃로 떨어졌다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ㆍ주관적 자료 - “싫어~ 밥 안먹을래”
ㆍ객관적 자료 - 배식이 끝났을 때 음식이 많이 남아있었다
- 밥 먹는 것을 거부한다
간호목표
식사량의 80%를 남기지 않고 섭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을 포함하여 식사를 소량씩 자주하도록 할 것이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할 것이다.
간호중재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과 여러 가지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하였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하였다.
평가
환아는 적어도 매 식사 80%를 섭취함으로써 개선된 영양섭취를 유지하고 있다
간호진단
점액 분비증가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ㆍ주관적 자료 - “기침이 계속나요”
ㆍ객관적 자료 - 기침을 자주 한다 -코를 훌쩍거린다
- 견축소견을 보임 -천명음
- 엄마에게 보채며 잠을 잘 자지 못한다
간호목표
식사량의 80%를 남기지 않고 섭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처방에 따라 매 4시간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할 것이다
-점액을 흡인해 줄 것이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와 기관지 염증치료제를 투여할 것이다.
-차가운 고습도 환경을 제공 할 것이다
간호중재
-처방에 따라 매 4시간 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하였다
-점액을 흡인해 주었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와 기관지 염증치료제를 투여하였다
-차가운 고습도 환경을 제공하였다.
평가
보다 편안하게 숨을 쉬며 기침이 줄어들었다
<참고문헌>
1. 아동간호학2 - 수문사, 2014
2.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
3. 드러그 인포 - http://www.druginfo.co.kr
4.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5. 아동간호진단 - 조결자 외, 현문사, 2000
6.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2007
7.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 김미예 외, 수문사, 2015
이부서스펜시럽
PO
100mg/5ml&3회/1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쇽, 가슴쓰림, 오한, 호흡곤란, 혈압저하, 헤마토크릿 감소
(5) 검사 및 특수치료
검사명 및 치료
목적
준비 및 방법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
원인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서
긴 면봉으로 목 깊이 넣어 분비물을 채취한다
Chest AP
세기관지염의 진단방법 중 하나로 흉부의 침윤물 이나 무기폐의 유무확인을 위해
촬영기에 몸을 딱 붙인 상태에서 숨을 들이쉰다음 참은 상태에서 촬영함
Lab검사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관찰을 하기위해서
needle로 정맥천자함
폐렴원인균 선별검사
주로 하기도 감염을 유발, 세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키는 흔한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
환자의 객담, 비인두 흡입물 및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다중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한 후 전기영동을 통하여 증폭산물을 분석하여 양성과 음성을 판독함
소변검사
전신적인 내분비 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기위해
알콜솜과 소변통을 주어 생식기를 소독한 후 되도록 중간소변을 받도록 함
작성일시
체온
맥박
호흡
2016년3월6일
11:20
38.7
124
30
14:00
38.4
130
32
20:00
38.0
120
28
2016년3월7일
06:00
37.4
120
26
14:00
37.4
120
26
20:00
37.3
118
26
2016년3월8일
06:00
36.9
122
24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
Rhino virus - positive(+)
Adeno virus - positive(+)
Chest AP
no definite infiltration
폐렴원인균 선별검사
streptococcus pneumonia(+)
haemopilus influezae(+)
검사내용
결과치
단위
참고치
혈액학
WBC
11.8
10^3/㎕
4.0~10.8
RBC
4.02
10^6/㎕
4.2~5.4
HGB
11.6
g/dL
11.5~13.5
HCT
31.6
%
36~48
PLT
244
10^3/㎕
130~400
MCV
78.7
fL
75~81
MCH
28.9
pg
26~33
MCHC
36.8
%
32~37
ESR
51
mmlhr
0~20
생화학
Total protein
6.8
g/dl
5.7~8.8
ALP
234
U/L
104~345
glucose
104
mg/dl
74~106
BUN
10.4
mg/dl
7~20
creatinine
0.6
mg/dl
0.3~0.7
Na
137
mmol/L
136~146
K
4.0
mmol/L
3.5~5.1
Cl
104
mmol/L
97~111
GOT
34
mg/dL
15~60
Amylase total
33
U/dL
22~80
CPK
78
U/L
0~145
CPT
5
U/L
4~34
gamma-GTP
7
U/L
9~64
Albumin
3.9
g/dL
3.1~5.2
Total cholesterol
123
mg/dL
130~200
Fe
44
ug/dL
40~100
TIBC
247
mg/dL
250~400
면역혈청
Ferritin
64.31
ng/ml
10.9~92.4
CRP
3.06
ng/dL
0~0.5
ASO
3
IU/mL
150이하
총면역글로불린
940.7
IU/mL
-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ㆍ주관적 자료 -
ㆍ객관적 자료 - 체온 38.7 - 붉은 얼굴 - WBC 11.8
- ESR 51 - CRP 3.06
간호목표
체온이 정상범위인 36.9° 일것이다
간호계획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고 방온도를 22.2~23.9℃를 유지할 것이다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할 것이다
-1~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갑작스런 체온상승이 있는지 사정 할 것이다.
-열을 내리기 위해 환아에게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작용할 것이다.
간호중재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고 방온도를 22.2~23.9℃를 유지해 주었다
-처방된 해졀제를 투여했다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갑작스러운 체온상승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열을 내리기 위해 환아에게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하도록 보호자에게 말해주었다.
평가
체온이 정상적인 범위 내, 36.9℃로 떨어졌다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ㆍ주관적 자료 - “싫어~ 밥 안먹을래”
ㆍ객관적 자료 - 배식이 끝났을 때 음식이 많이 남아있었다
- 밥 먹는 것을 거부한다
간호목표
식사량의 80%를 남기지 않고 섭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을 포함하여 식사를 소량씩 자주하도록 할 것이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할 것이다.
간호중재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과 여러 가지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하였다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하였다.
평가
환아는 적어도 매 식사 80%를 섭취함으로써 개선된 영양섭취를 유지하고 있다
간호진단
점액 분비증가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ㆍ주관적 자료 - “기침이 계속나요”
ㆍ객관적 자료 - 기침을 자주 한다 -코를 훌쩍거린다
- 견축소견을 보임 -천명음
- 엄마에게 보채며 잠을 잘 자지 못한다
간호목표
식사량의 80%를 남기지 않고 섭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처방에 따라 매 4시간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할 것이다
-점액을 흡인해 줄 것이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와 기관지 염증치료제를 투여할 것이다.
-차가운 고습도 환경을 제공 할 것이다
간호중재
-처방에 따라 매 4시간 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하였다
-점액을 흡인해 주었다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와 기관지 염증치료제를 투여하였다
-차가운 고습도 환경을 제공하였다.
평가
보다 편안하게 숨을 쉬며 기침이 줄어들었다
<참고문헌>
1. 아동간호학2 - 수문사, 2014
2.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health.mw.go.kr
3. 드러그 인포 - http://www.druginfo.co.kr
4.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5. 아동간호진단 - 조결자 외, 현문사, 2000
6.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2007
7.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 김미예 외, 수문사, 2015
추천자료
폐렴환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
모유 수유의 장점과 단점
[천식][천식의 개념][천식의 원인 요소][천식의 증상][천식의 병태생리][천식의 치료][천식의...
소아과병동 폐렴환아 케이스 스터디
소아과 케이스 스터디
예방접종및 유아에게 흔한 질병 관리
폐렴 소아과 케이스
영.유아기에 걸리기 쉬운 호흡기질환의 질병관리에 대해
정신건강론(질병과 감염성 질환)
[소아과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폐렴 (pneumonia)
아동 간호학 케이스 - 편도선염(case study)
[스트레스반응] 스트레스의 반응(투쟁 및 도피반응, 신체-생리적 반응, 심리적 반응, 일반적...
영아기 생리적 기능의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