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소개
2. 전시회 구성 및 전반적인 감상
3. 소와 어린시절의 추억
4. 황소가 내 삶에 끼친 영향
5. 고단했던 세월의 흔적
6. 은지화를 접하다
7. 이상향
8. 가족애
2. 전시회 구성 및 전반적인 감상
3. 소와 어린시절의 추억
4. 황소가 내 삶에 끼친 영향
5. 고단했던 세월의 흔적
6. 은지화를 접하다
7. 이상향
8. 가족애
본문내용
만한 아이들 가득한 세상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1954년작 <길 떠나는 가족>을 보면 온 가족이 헤어지지 않고 모여살 수 있는 세상을 꿈꾼 것 같다. 황소가 이끄는 소달구지 위에 가족 모두 타서 함께 길 떠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고 표현한다.
8. 가족애
이중섭은 종이든 뭐든 그릴 수 있는 재료만 있으면 그림을 그렸던 것 같다. 아이들의 그림은 아내와 아이들에게 보낸 편지 곳곳에서도 볼 수 있다. 요즘으로 보면, 그림이 찍혀져 있는 편지지를 본인이 직접 만들어 편지를 쓴 셈이다. 아내와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 일본어로 쓰여 있어서 읽을 순 없지만, 그림만 봐도 어떤 내용일지 짐작이 되었다. 자신은 그림 그리고 있 아내와 아이들이 즐겁게 웃는 모습, 모두 함께 어깨동무 하는 모습, 두 아들이 게와 물고기를 사이좋게 나누는 모습 등 가족 간의 화목과 우애가 연상되었다. 번역된 글을 읽어보니 역시 예상대로였다. 본인은 빈곤 속에서 작품전 준비하며 힘들게 지내면서도 가족 생각에 항상 즐겁다고 한다.
1953년작 <부부>는 학을 표현한 건지 자세히는 모르지만 두 새가 힘겹게 조우하는 장면을 나타냈다. 떨어져 지낸 시간이 많았던 이중섭이 아내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엿보였다. 이는 아내 마사코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1955년작 <시인 구상의 가족>에는 세발자전거를 타고 있는 아이를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이 나온다. 아들에게 자전거를 사주고 싶은 마음을 그림에 투영시켜 표현하였다. 하지만 끝내 가족과 보지 못하고, 아들에게 자전거 사주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 사연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8. 가족애
이중섭은 종이든 뭐든 그릴 수 있는 재료만 있으면 그림을 그렸던 것 같다. 아이들의 그림은 아내와 아이들에게 보낸 편지 곳곳에서도 볼 수 있다. 요즘으로 보면, 그림이 찍혀져 있는 편지지를 본인이 직접 만들어 편지를 쓴 셈이다. 아내와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 일본어로 쓰여 있어서 읽을 순 없지만, 그림만 봐도 어떤 내용일지 짐작이 되었다. 자신은 그림 그리고 있 아내와 아이들이 즐겁게 웃는 모습, 모두 함께 어깨동무 하는 모습, 두 아들이 게와 물고기를 사이좋게 나누는 모습 등 가족 간의 화목과 우애가 연상되었다. 번역된 글을 읽어보니 역시 예상대로였다. 본인은 빈곤 속에서 작품전 준비하며 힘들게 지내면서도 가족 생각에 항상 즐겁다고 한다.
1953년작 <부부>는 학을 표현한 건지 자세히는 모르지만 두 새가 힘겹게 조우하는 장면을 나타냈다. 떨어져 지낸 시간이 많았던 이중섭이 아내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엿보였다. 이는 아내 마사코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1955년작 <시인 구상의 가족>에는 세발자전거를 타고 있는 아이를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이 나온다. 아들에게 자전거를 사주고 싶은 마음을 그림에 투영시켜 표현하였다. 하지만 끝내 가족과 보지 못하고, 아들에게 자전거 사주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 사연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