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 개요
모형 설명
해의 도출 및 분석
결론
모형 설명
해의 도출 및 분석
결론
본문내용
돼지를 사육하고자 할 때 소득이 최대가 달성되도록 자원을 배분하는 방안은, 비육우는 49마리, 돼지는 378마리를 구입하는 것이다. 이때 최대소득은 160,220,000원이 된다.
(민감도 보고서)
민감도 분석 결과, 젖소는 한 마리를 더 구입할 때마다 약 25000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비육우와 돼지만 구입하는 것이 옳다고 결정했다.
[2번 모형]
봉농장의 비육우(한우)의 사료 배합특성이 표와 같을 때 최소비용으로 사료 1톤을 제조하기 위한 옥수수와 대두박의 배합량은?
(해답보고서, 원/톤)
비육우(한우)의 사료를 배합할 때 옥수수를 약75%, 대두박을 약24% 정도 섞어 만들기로 했다.
민감도 분석 결과, 밀은 한단위를 더 늘리게 되면 15000원 정도 손실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옥수수와 대두박 두가지만 배합하여 사료를 만드는 것이 옳다고 결정 했다.
[3번모형]
인근 공장 두 군데에서 사료를 조달할 때 수송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수송계획 모형은?
(공장에서 각 농장으로의 수송비용은 다음 표와 같다.)
(해답보고서, 만원/톤)
공장1에서 농장1로는 15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1로는 2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2로는 13톤의 사료를 수송하는 것이 수송비용을 7,400,000원으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민감도 분석 결과, 공장1에서 농장2로 사료 1톤을 더 수송하게 되면, 약5만 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장1에서 농장2로의 수송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했다.
4.결론
토지 10,000평과 자본금 2억 원으로 최대의 소득을 낼 수 있는 농장 사업계획을 구상해 보았다. 먼저 비육우(한우), 젖소, 돼지를 키워보기로 하여 각 가축이 차지하는 두당 평수, 두당 구입비용(자본) 그리고 얼마나 소득을 낼 수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각 가축을 몇 마리 씩 키워야 최대의 소득을 낼 수 있을지 모형을 개발해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비육우(한우)는 49마리, 돼지는 378마리를 키우는 것이 최적해임을 알아냈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을 것이라 생각한 젖소는 한 마리를 더 구입할 때마다 25000원의 손실이 발생함을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알게 되었다. 만약 토지를 좀 더 넓힌다면, 자본을 좀 더 늘린다면 젖소도 키울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세 종류의 가축 외에 육계, 염소 등 다양한 가축들을 변수로 놓고 모형을 개발했다면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을 텐데 그 점이 아쉬웠다.
두 번째 모형과 세 번 째 모형에서는 사육 양에 따라 가축의 사료를 직접 배합 할지 아니면 사료 공장에서 조달할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1번 모형의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사육 양이 적은 비육우의 경우에는 직접 사료를 배합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가지 재료 중에서 옥수수, 대두박, 밀을 섞어 사료를 만들어 보았는데, 그 결과 옥수수와 대두박을 각각 약 75%, 24%씩 배합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아냈다. 밀은 한 단위를 늘릴 때마다 약 15000원 정도의 손실을 보게 되어 섞지 않는 것이 좋다고 결정하였다. 옥수수, 대두박, 밀 이외에 단백피, 보리, 밀가루 등 다른 재료도 섞었다면 좀 더 영양가 높은 사료를 만들 수도 있었을 것이다. 반면 돼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수가 많아 인근 사료공장에서 사료를 조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하여 수송계획 모형을 개발해 보았다. 그 결과 공장1에서 농장1로는 15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1로는 2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2로는 13톤의 사료를 수송하는 것이 수송비용을 7,400,000원으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아내었다. 공장1에서 농장2로 사료 1톤을 더 수송하게 되면, 약5만 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장1에서 농장2로의 수송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했다. 사료를 조달하는 공장이 한 군데 였다면 좀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었을지, 아니면 돼지 사료도 마찬가지로 직접 농장에서 배합한 사료를 썼다면 어땠을지도 알아보았으면 좋았을 텐데, 그점이 아쉬웠다.
3가지의 모형을 개발했지만, 이 외에도 농장기계 사용, 인력 등등 고려해야 할 변수들과 상황들을 매우 많을 것이다. 또한 최적해를 도출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꼭 최적해가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당장의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는 더 큰 이득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경영과학을 활용한다면 우리가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민감도 보고서)
민감도 분석 결과, 젖소는 한 마리를 더 구입할 때마다 약 25000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비육우와 돼지만 구입하는 것이 옳다고 결정했다.
[2번 모형]
봉농장의 비육우(한우)의 사료 배합특성이 표와 같을 때 최소비용으로 사료 1톤을 제조하기 위한 옥수수와 대두박의 배합량은?
(해답보고서, 원/톤)
비육우(한우)의 사료를 배합할 때 옥수수를 약75%, 대두박을 약24% 정도 섞어 만들기로 했다.
민감도 분석 결과, 밀은 한단위를 더 늘리게 되면 15000원 정도 손실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옥수수와 대두박 두가지만 배합하여 사료를 만드는 것이 옳다고 결정 했다.
[3번모형]
인근 공장 두 군데에서 사료를 조달할 때 수송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수송계획 모형은?
(공장에서 각 농장으로의 수송비용은 다음 표와 같다.)
(해답보고서, 만원/톤)
공장1에서 농장1로는 15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1로는 2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2로는 13톤의 사료를 수송하는 것이 수송비용을 7,400,000원으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민감도 분석 결과, 공장1에서 농장2로 사료 1톤을 더 수송하게 되면, 약5만 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장1에서 농장2로의 수송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했다.
4.결론
토지 10,000평과 자본금 2억 원으로 최대의 소득을 낼 수 있는 농장 사업계획을 구상해 보았다. 먼저 비육우(한우), 젖소, 돼지를 키워보기로 하여 각 가축이 차지하는 두당 평수, 두당 구입비용(자본) 그리고 얼마나 소득을 낼 수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각 가축을 몇 마리 씩 키워야 최대의 소득을 낼 수 있을지 모형을 개발해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비육우(한우)는 49마리, 돼지는 378마리를 키우는 것이 최적해임을 알아냈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을 것이라 생각한 젖소는 한 마리를 더 구입할 때마다 25000원의 손실이 발생함을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알게 되었다. 만약 토지를 좀 더 넓힌다면, 자본을 좀 더 늘린다면 젖소도 키울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세 종류의 가축 외에 육계, 염소 등 다양한 가축들을 변수로 놓고 모형을 개발했다면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을 텐데 그 점이 아쉬웠다.
두 번째 모형과 세 번 째 모형에서는 사육 양에 따라 가축의 사료를 직접 배합 할지 아니면 사료 공장에서 조달할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1번 모형의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사육 양이 적은 비육우의 경우에는 직접 사료를 배합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가지 재료 중에서 옥수수, 대두박, 밀을 섞어 사료를 만들어 보았는데, 그 결과 옥수수와 대두박을 각각 약 75%, 24%씩 배합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아냈다. 밀은 한 단위를 늘릴 때마다 약 15000원 정도의 손실을 보게 되어 섞지 않는 것이 좋다고 결정하였다. 옥수수, 대두박, 밀 이외에 단백피, 보리, 밀가루 등 다른 재료도 섞었다면 좀 더 영양가 높은 사료를 만들 수도 있었을 것이다. 반면 돼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수가 많아 인근 사료공장에서 사료를 조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하여 수송계획 모형을 개발해 보았다. 그 결과 공장1에서 농장1로는 15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1로는 2톤의 사료를, 공장2에서 농장2로는 13톤의 사료를 수송하는 것이 수송비용을 7,400,000원으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아내었다. 공장1에서 농장2로 사료 1톤을 더 수송하게 되면, 약5만 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공장1에서 농장2로의 수송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했다. 사료를 조달하는 공장이 한 군데 였다면 좀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었을지, 아니면 돼지 사료도 마찬가지로 직접 농장에서 배합한 사료를 썼다면 어땠을지도 알아보았으면 좋았을 텐데, 그점이 아쉬웠다.
3가지의 모형을 개발했지만, 이 외에도 농장기계 사용, 인력 등등 고려해야 할 변수들과 상황들을 매우 많을 것이다. 또한 최적해를 도출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꼭 최적해가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당장의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는 더 큰 이득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경영과학을 활용한다면 우리가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추천자료
(계량경영)자동차입지선정을위한 AHP모형
벤처기업 신제품개발 사례를 통한 조직적 지식창출 프로세스
[경영전략][경영전략 수립과정][경영난 극복사례][세림제지][서해건설][현대반도체]경영전략...
지식경영과인적자원개발
[경영전략 사례][경영전략][기업경영][현대자동차][P&G][소니][SONY][아시아지역 은행]현...
Oliva의 종합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개발(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사례 연구 : (주)화이자
경영전략 LG생명과학의 글로벌전략
기업IT화(기업정보화)의 중요성, 기업IT화(기업정보화)의 기본모델, 기업IT화(기업정보화)의 ...
[벤처기업가치평가][벤처기업]벤처기업가치평가의 개념, 벤처기업가치평가의 DCF평가모형(현...
[체험학습] 체험학습의 수업모형과 사례
과학교육의 사례를 선정하여 기본개념과 교육방향에 대해서 서술하고 해당과학교육 사례에 대...
[기업 모형][경쟁우위모형][신용평가모형][계층적 효과모형][부실예측모형]기업 경쟁우위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