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tte Sheeran how to end hung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Josette Sheeran how to end hunger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동들을 위한 여러 NGO 혹은 아동지원센터가 지자체 별로 구성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나는 고등학교 때 아동 무료 급식소에서 봉사활동을 한 경험이 있다. 아이들은 이런 지역 아동센터에서 밥도 먹고 지식 나눔 봉사자들에게 기본적인 학과 교육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아동센터도 재정악화로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만큼 아동들에게 베풀어 주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게 벌써 4년 전 일인데, 아직도 지역의 아동센터들은 재정적 지원이 부족해 이런 활동을 이어나가기에 역부족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했던 아동급식카드의 가맹점의 부족으로 아이들이 급식카드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폭이 좁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나라 아동복지를 위해서 정부의 역할이 크다고 보는데, 정부는 우리나라의 기업을 이용해야 할 필요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표기업들은 여러 장학재단운영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소하려 하지만,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준의 복지 프로그램은 선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기업들은 국가에 의해 발전한 경향이 있다. 그들은 이것을 인식하고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마음으로 국가의 복지 정책에 같이 힘써야 할 필요가 있다. 국가 또한 기업이 어떠한 복지 프로그램에 도움을 준다면, 그들에게 어느 정도의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서 서로 Win-Win의 길로에 서야할 것이다. 또한 가난의 대물림이 이어지지 않는 사회를 위해 개인으로서도 노력을 해야겠지만, 국가적 차원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빈곤문제는 개도국에서의 빈곤문제처럼 자연환경에 의한 것도 아니고 어떠한 질병에 의한 것도 아니다. 그저 경제적인 이유에서의 빈곤이다. 우리는 이 문제를 충분히 해결 할 수 있는 정부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60년대, 한국전쟁을 통해 극심한 빈곤을 겪었으며 그 결과 수많은 기아와 빈곤이 발생하였었다. 하지만 국가와 국민들의 노력으로 G20에 까지 오를 수 있었다. 우리나라가 더 큰 강대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 빈곤계층에게 더욱 힘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한국전쟁 시절 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원조를 주는 국가가 된 것처럼 정부의 각 기관들과 국민 모두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가는 국내에 퍼져있는 미래의 국가 기반이 될 수 도 있는 38만명의 결식아동 문제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7.11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