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인교육의 개념과 성인학습의 특성
1) 성인교육의 개념
2) 성인학습의 특성
2.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배경과 교수학습의 원리
1)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배경
2)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의 원리
3. 학습자 중심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관
1)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2) 구성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과 내용
3)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수업과 효과
4. 학습자 중심 교수법
1) 학습자 중심 수업 계획
2) 학습자 중심 수업 유형 및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표 목차
<표 1>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차이
<표 2>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특징
<표 3>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비교
<표 4> PBL에 의한 수업 진행 과정안의 예
Ⅱ. 본론
1. 성인교육의 개념과 성인학습의 특성
1) 성인교육의 개념
2) 성인학습의 특성
2.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배경과 교수학습의 원리
1)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배경
2)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의 원리
3. 학습자 중심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관
1)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2) 구성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과 내용
3)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수업과 효과
4. 학습자 중심 교수법
1) 학습자 중심 수업 계획
2) 학습자 중심 수업 유형 및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표 목차
<표 1>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차이
<표 2>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특징
<표 3>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비교
<표 4> PBL에 의한 수업 진행 과정안의 예
본문내용
의 역할이다.
교사는 학습자의 보다 유의미한 언어경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적이고도 치밀한 교수학습 설계를 하여야 한다. 또한 다양하고 가변적인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자극이나 격려, 조언 등으로 역동적인 역할을 노련하게 감당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에서 교사는 고도의 전문적 기술과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담당함으로서,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능동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습은 학습자들이 하는 것이지, 학습자들에게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교수학습 활동도 마찬가지로서,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는 학습의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인애(2003).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고찰. 교육공학 연구
권낙원(2000).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6(1). pp.1~11.
권두승, 조아미(2001). 성인학습 및 상담. 서울: 교육과학사.
권두승(2000). 성인학습 지도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박승배(2002). 교육과정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신헌재 외(2003).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서울: 박이정. p.15.
오만록(1999).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 중심 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 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윤운성(2002). 성인학습과 발달. 교육심리연구.
이숙원(2003).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결정요인 분석.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장경실(2006).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교과연계 독서교육 에 관한 모색.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지웅, 김지자(1987). 사회교육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영남(1998). 구성주의 교수-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한상길(2002). 성인평생교육. 서울: 양서원.
Alexander, P. & Murphy, P.(1998). The research base for APA's learner-cen
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In N. Lambert & B. McCombs (Eds.), How students learn: Reforming schools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ransford, J.(1993). Who ya gonna call? Thought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In P. Hallinger, K. Leithwood, & J. Murphy (Eds.), Cognitive perspectives on educational leadership.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affarrella, R. S.(1994).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Cohen, E.(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1-35.
Eggen, P. & Kauchak, D.(1998).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Columbus, OH: Merrill.
Gage, N. L. & Berliner, D.C. (1992). Educ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Good, T. & Brophy, J.(1986). School effects. In M Wittrock (Ed.), Handbook of reaserch on teaching (3rd ed., pp. 570-604), New York: Macmillan.
Knowles, M. S.(1989). The making of an adult educato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Linn, M. & Burbules, N. (1993).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group learning In. K. Tobin(Ed.), The practice of construction in science education (pp. 91-119).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Ormrod, J. E.(2000). Educational Psychology. Columbus, OH: Merill/ Prentice
-Hall. P. Eggen., & D. Kauchak (1999). Learning & teaching, Boston: Allyn & Bacon.
Shuell, J. J.(1990). Learning theory & instructional design, presented in M. F. O'Neil. Boston, April.
Tunnell. (1975). The philosophy of open education ; 심성보 외(1998), 열린교 육의 철학. pp.33~46.
Webb, N., & Fariver, S. (1994). Promoting helping behavior in cooperative small group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69-395.
교사는 학습자의 보다 유의미한 언어경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적이고도 치밀한 교수학습 설계를 하여야 한다. 또한 다양하고 가변적인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자극이나 격려, 조언 등으로 역동적인 역할을 노련하게 감당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에서 교사는 고도의 전문적 기술과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담당함으로서,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능동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습은 학습자들이 하는 것이지, 학습자들에게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교수학습 활동도 마찬가지로서,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는 학습의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인애(2003).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고찰. 교육공학 연구
권낙원(2000).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6(1). pp.1~11.
권두승, 조아미(2001). 성인학습 및 상담. 서울: 교육과학사.
권두승(2000). 성인학습 지도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박승배(2002). 교육과정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신헌재 외(2003).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서울: 박이정. p.15.
오만록(1999).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 중심 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 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윤운성(2002). 성인학습과 발달. 교육심리연구.
이숙원(2003).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결정요인 분석.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장경실(2006).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교과연계 독서교육 에 관한 모색.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지웅, 김지자(1987). 사회교육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영남(1998). 구성주의 교수-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한상길(2002). 성인평생교육. 서울: 양서원.
Alexander, P. & Murphy, P.(1998). The research base for APA's learner-cen
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In N. Lambert & B. McCombs (Eds.), How students learn: Reforming schools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ransford, J.(1993). Who ya gonna call? Thought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In P. Hallinger, K. Leithwood, & J. Murphy (Eds.), Cognitive perspectives on educational leadership.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affarrella, R. S.(1994).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Cohen, E.(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1-35.
Eggen, P. & Kauchak, D.(1998).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Columbus, OH: Merrill.
Gage, N. L. & Berliner, D.C. (1992). Educ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Good, T. & Brophy, J.(1986). School effects. In M Wittrock (Ed.), Handbook of reaserch on teaching (3rd ed., pp. 570-604), New York: Macmillan.
Knowles, M. S.(1989). The making of an adult educato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Linn, M. & Burbules, N. (1993).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group learning In. K. Tobin(Ed.), The practice of construction in science education (pp. 91-119).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Ormrod, J. E.(2000). Educational Psychology. Columbus, OH: Merill/ Prentice
-Hall. P. Eggen., & D. Kauchak (1999). Learning & teaching, Boston: Allyn & Bacon.
Shuell, J. J.(1990). Learning theory & instructional design, presented in M. F. O'Neil. Boston, April.
Tunnell. (1975). The philosophy of open education ; 심성보 외(1998), 열린교 육의 철학. pp.33~46.
Webb, N., & Fariver, S. (1994). Promoting helping behavior in cooperative small group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69-395.
추천자료
학습자 중심 심리원리와 그 의의
학습자 중심의 교수 - 학습 방법
학습자 중심 교수 - 학습 방법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가상학습지원시스템][학습자지원시스템][교육정보화][학습지원]가상학습지원시스템, 학습자...
성인교육(성인학습, 사회교육)의 정의와 성격, 성인교육(성인학습, 사회교육)의 원리, 성인교...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정의와 형태,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내용과 관련...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이념과 참...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개념과 종류,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요건과 체계, 사...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개념과 형태,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이념과 내용, 사...
아동중심유아교육을 설명하고 이에 입각한 유아교수학습방법을 설명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성인학습및상담론>>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 발달이론을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