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우의 형성과 발달 메커니즘
2. 복사역전층과 침강역전층
3. 고기압성 경도풍과 저기압성 경도풍
4. 난류운동에너지(TKE)
5. 대기 평균 혼합고(MMD)
6. 혼합비와 비습
7. 계절에 따른 제트류의 변화
2. 복사역전층과 침강역전층
3. 고기압성 경도풍과 저기압성 경도풍
4. 난류운동에너지(TKE)
5. 대기 평균 혼합고(MMD)
6. 혼합비와 비습
7. 계절에 따른 제트류의 변화
본문내용
기가 그만큼 안정하기 때문에 지상에 오염물질이 농축되어 대기오염이 심화될 수 있다.
6. 혼합비와 비습
혼합비는 건조공기 1kg에 대한 수증기 질량(g)의 비를 나타낸 것이며 비습은 습윤공기 1kg속에 들어있는 수증기 질량의 비를 나타낸 것이다. 혼합비와 비습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비습은 혼합비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풀이 과정은 아래와 같다.
하지만, 는 매우 작으므로 로 근사할 수 있다. 고로 비습은 혼합비와 거의 같은 값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혼합비를 토대로 상대습도를 유추할 수 있다.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는 의 식을 만족시키므로 공기 중의 혼합비를 알면 상대습도까지 알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7. 계절에 따른 제트류의 변화
제트류는 남북 온도경도가 가장 큰 지점인 중위도 200hPa부근에서 부는 강력한 바람을 일컫는다. 제트류는 특히, 남북 기온차가 큰 겨울에 가장 강하게 발달하며 해양보다 대륙의 분포가 많은 북반구에서 더욱 잘 발달한다. 이러한 제트류는 한 대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의 기온차가 급격히 커지면 기압차 또한 증가하는데 잉 따라 기압경도가 증가하여 전선을 따라 풍속이 가속되므로 제트류가 형성된다. 제트류는 상층에서 부는 바람으로 지면 마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지균풍과 같은 바람으로 분다. 즉, 온도풍 관계에 들어맞는 바람이 분다는 것이다.
즉, 저위도와 고위도의 온도경도가 증가하면, 지균풍의 속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트류 또한 마찬가지로 온도경도가 큰 겨울철 그리고 북반구에서 더욱 그 세기가 커진다.
6. 혼합비와 비습
혼합비는 건조공기 1kg에 대한 수증기 질량(g)의 비를 나타낸 것이며 비습은 습윤공기 1kg속에 들어있는 수증기 질량의 비를 나타낸 것이다. 혼합비와 비습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비습은 혼합비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풀이 과정은 아래와 같다.
하지만, 는 매우 작으므로 로 근사할 수 있다. 고로 비습은 혼합비와 거의 같은 값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혼합비를 토대로 상대습도를 유추할 수 있다.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는 의 식을 만족시키므로 공기 중의 혼합비를 알면 상대습도까지 알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7. 계절에 따른 제트류의 변화
제트류는 남북 온도경도가 가장 큰 지점인 중위도 200hPa부근에서 부는 강력한 바람을 일컫는다. 제트류는 특히, 남북 기온차가 큰 겨울에 가장 강하게 발달하며 해양보다 대륙의 분포가 많은 북반구에서 더욱 잘 발달한다. 이러한 제트류는 한 대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의 기온차가 급격히 커지면 기압차 또한 증가하는데 잉 따라 기압경도가 증가하여 전선을 따라 풍속이 가속되므로 제트류가 형성된다. 제트류는 상층에서 부는 바람으로 지면 마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지균풍과 같은 바람으로 분다. 즉, 온도풍 관계에 들어맞는 바람이 분다는 것이다.
즉, 저위도와 고위도의 온도경도가 증가하면, 지균풍의 속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트류 또한 마찬가지로 온도경도가 큰 겨울철 그리고 북반구에서 더욱 그 세기가 커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