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뷰티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 조사개론, 조사계획, 설문지, 결과분석, 결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뷰티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 조사개론, 조사계획, 설문지, 결과분석,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조사개론
2.조사계획
3.설문지
4.결과분석
5.결과

본문내용

어 제품은 가장 구매 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3주 1회 이상 구매자>
- 팩/마스크 색조 화장품을 많이 구매하며 클렌징 제품은 가장 구매율이 적음.
<월 1회 이상 구매자>
- 팩/마스크 제품을 가장 많이 구매하였으며 색조 화장품 구매율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 남.
<2개월 1회 이상 구매자>
- 스킨케어 팩/마스크 클렌징 색조 모든 제품을 비슷하게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모든 응답자들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팩/마스크 제품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조 화장품 제품을 가장 적게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구매 주기에 따른 만족도
<주 1회 이상 구매자>
- 구매 후 만족하며 뷰티프로그램을 보고 필요 없는 제품을 구입한 경우도 많은 편이었으 며 재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2주에 1회 이상 구매자>
- 구매 후 만족하며 필요 없는 제품을 구입한 정도는 중간정도이다. 그리고 재 구매율도 높 은 것으로 나타남.
<3주 1회 이상 구매자>
- 구매 후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필요 없는 제품을 구매하는 정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남.
<월 1회 이상 구매자>
- 월 1회 이상 구매자가 만족도 면에서는 가장 높았고 필요 없는 제품 자주 구매하는 편으 로 나타남.
<2개월 1회 이상 구매자>
- 구매 후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필요 없는 제품을 가장 적게 구매 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 리고 재 구매율도 가장 높게 나타남.
→ 대상자 모두가 만족도 면에서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뷰티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대부분 의 대상자가 필요 없는 제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개월 1회 이상 사용자는 구매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 구매율은 대부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뷰티 관심도와 구매도(T-test)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관심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화장품 구매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관심도의 T-TEST를 보면 유의확률이 0.461로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등분산이 가정된다의 줄을 본다. T통계량의 유의확률은 2.563으로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차이가 없다. 평균차 0.014만큼 차이가 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관심도의 차이는 없다라고 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지출
화장품 구매에 대한 관심에 따라 지출 역시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지출의 T-TEST를 보면 유의확률이 0.825로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등분산이 가정된다의 줄을 본다. T통계량의 유의확률은 -0.490으로 유의수준 .05보다 작으므로 차이가 있다. 평균차 0.626만큼 차이가 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성별에 따른 화장품 구매 지출의 차이는 있다라고 할 수 있다.
-뷰티프로그램 시청에 따른 화장품 구매 빈도
뷰티프로그램을 시청 후 화장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더 자주 뷰티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프로그램을 보고 구매한 경험과 시청빈도의 T-TEST를 보면 유의확률이 0.985로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등분산이 가정된다의 줄을 본다. T통계량의 유의확률은 -0.286으로 유의수준 .05보다 작으므로 차이가 있다. 평균차 0.776만큼 차이가 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뷰티프로그램을 보고 구매한 경험과 시청빈도의 차이는 있다 라고 할 수 있다.
-뷰티프로그램 시청에 따른 신뢰도
뷰티프로그램 시청 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뷰티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프로그램을 보고 구매한 경험과 신뢰도의 T-TEST를 보면 유의확률이 0.103으로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등분산이 가정된다의 줄을 본다. T통계량의 유의확률은 -1.401로 유의수준 .05보다 작으므로 차이가 있다. 평균차 0.168만큼 차이가 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뷰티프로그램을 보고 구매한 경험과 신뢰도의 차이는 있다라고 할 수 있다.
5.결과
위의 설문조사를 통해 뷰티프로그램이 화장품 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뷰티프로그램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많은 20대 소비자들은 화장품 구매에 많은 관심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여기서 남성에 비해 여성 대상자들이 뷰티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평균적으로 3~4주 사이에 화장품 매장 방문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주로 드럭스토어나 브랜드 매장에서 구매가 이루어진다고 대답하였다.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달 동안 4,7000원 정도 화장품 구매에 지출한다고 하였다.
화장품 구매 시 화장품 광고에 비해 뷰티프로그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대답하였다. 뷰티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자들은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서 좋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었으며 새로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 좋다고 대답하였다. 많은 뷰티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유진의 ‘겟잇뷰티’로 프로그램에 나오는 화장품들은 매주 핫 이슈가 되며 블라인드 테스트 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이 매진되는 등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상자들은 뷰티프로그램에 대해 신뢰하고 있었으며 많은 대상자들이 일주일에 1번 뷰티프로그램을 시청하며 월 1회 이상 뷰티프로그램에 나온 제품을 구매한다고 답변하였다. 여성들이 더욱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화장품 지출역시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화장품들 중에서 팩/마스크를 구매한다는 답변이 많이 나왔으며 구매한 제품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제품 구매 후 뷰티프로그램에 대해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에 따라 뷰티프로그램을 더욱 자주 시청한다고 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뷰티프로그램이 화장품 구매 시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뷰티프로그램을 통해 화장 노하우를 알 수 있으며 화장품 구매 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장품을 홍보하는 수단으로도 자리 잡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08.04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