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증상
2) 혈액학적 검사
3) 치료
4) 간호
5) 간호과정
2) 혈액학적 검사
3) 치료
4) 간호
5) 간호과정
본문내용
되기도 한다. 활력징후, 섭취 및 배설, 혈액 검사 등을 통한 약물투여 조절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한다. 기관이나 구강을 통하여 흡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흡인을 하는 것이 좋다. 피부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하거나 공기 매트리스를 이용한다.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때에는 혈관이 쉽게 터지고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를 부드럽게 이동시킨다. 환자는 불안하고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이므로 환자가 물어보는 것에 대해 충분히 대답해 주고, 안심시켜 준다. 필요하면 영적 간호를 제공한다.
- 출혈과 혈전 증상 관찰: 피부, 위장관, 비뇨기, 뇌, 폐 등의 출혈 증상을 세심히 관찰하고, 신장, 뇌, 폐 등의 혈전증상을 관찰한다. 흉부배액관, 비위관, 유치도뇨관 등의 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배액의 색깔과 양을 주의해서 관찰한다. 출혈시의 간호와 예방, 환자교육은 다른 출혈성 질환과 동일하다.
- 심리적 간호: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은 악성종양, 심맥관계 질환, 패혈증, 임신과 같은 상태에서 동시에 나타나므로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환자와 가족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사회 심리적 지지가 필요하다.
5) 간호과정
⑴ 출혈과 관련된 체액량 결핍 위험성
뇌압상승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술 또는 행동을 피한다.(예: 기침, 배변시 힘주기)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해서 활력징후를 주의 깊게 모니터한다.(혈역학적 사정/ 복위 사정/ 소변량 측정)
가능한 한 혈소판 기능을 방해하는 약물을 피한다.(예:ASA, NSAID, 베타-락탐항생제)
직장 검사와 직장 약물을 피한다.
근육주사를 피한다.
외출혈의 양을 주의 깊게 사정한다. (드레싱의 숫자, 포화된 드레싱의 %사정, 드레싱이 포화된 시간은 적절한 양이 포화된 드레싱보다 더 객관적이다. 흡인된 내용물, 모든 실질적 출혈과 잠혈 등의 배설물을 사정한다. 여성의 경우 질 출혈에 대비하여 패드 개수를 사정한다. 여성들은 월경예방을 위해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을 받는다.)
어떠한 흡인이라도 낮은 압력을 사용한다.
구강위생을 주의 깊게 한다.
Ⅳ주사 부위 또는 주변 부위를 포함해서 혈액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을 피한다.
⑵ 허혈 또는 출혈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 특히 주름 부위나 부분적으로 뼈가 돌출된 부위의 피부를 주의 깊게 사정한다.
주의 깊게 체위 변경을 한다.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압력을 줄인다.
모든 뼈 돌출 부위나 회음부 등 피부간호를 매일 2시간 마다 수행한다.
필요시 손가락, 발가락 사이, 귀 주변 등에 양털모를 사용한다.
주사 후 또는 시술 후 그 부위에 대한 압력을 늘린다.(적어도 5분)
구강위생 간호를 수행한다.
⑶ 과도한 혈액 또는 대체성분으로 인한 체액 불균형
매일2-4시간 마다 호흡음을 청진한다.
부종의 범위를 사정한다.
정맥 내 수액량과 혈액생성을 사정한다. 필요시 정맥 내 제제의 양을 감소한다.
이뇨제를 처방한다.
⑷ 미세혈전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조직 관류장애
신경계, 호흡기계, 외피계를 사정한다.
헤파린 치료에 대한 반응을 사정한다.
출혈의 범위를 사정한다.
섬유소원 수치를 사정한다.
만약 혈전증의 증상이 발생하면 아미노카프론산을 멈춘다.
⑸ 죽음에 대한 불안감
- 가능한 한 이전의 대응기전을 명확히 한다. 환자가 그들 스스로를 적절하게 강화시키게 한다.
환자와 가족들이 이해하도록 관련된 용어 및 시술과정과 이론적 근거를 모두 설명한다.
환자를 지지하는데 가족이 돕는다.
필요시 행동요법이나 종교적지지 등을 제공받는다.
참고문헌)
알기 쉬운 병리학 - 현문사
최신중환자간호 - 수문사
성인간호학 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 출혈과 혈전 증상 관찰: 피부, 위장관, 비뇨기, 뇌, 폐 등의 출혈 증상을 세심히 관찰하고, 신장, 뇌, 폐 등의 혈전증상을 관찰한다. 흉부배액관, 비위관, 유치도뇨관 등의 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배액의 색깔과 양을 주의해서 관찰한다. 출혈시의 간호와 예방, 환자교육은 다른 출혈성 질환과 동일하다.
- 심리적 간호: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은 악성종양, 심맥관계 질환, 패혈증, 임신과 같은 상태에서 동시에 나타나므로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환자와 가족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사회 심리적 지지가 필요하다.
5) 간호과정
⑴ 출혈과 관련된 체액량 결핍 위험성
뇌압상승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술 또는 행동을 피한다.(예: 기침, 배변시 힘주기)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해서 활력징후를 주의 깊게 모니터한다.(혈역학적 사정/ 복위 사정/ 소변량 측정)
가능한 한 혈소판 기능을 방해하는 약물을 피한다.(예:ASA, NSAID, 베타-락탐항생제)
직장 검사와 직장 약물을 피한다.
근육주사를 피한다.
외출혈의 양을 주의 깊게 사정한다. (드레싱의 숫자, 포화된 드레싱의 %사정, 드레싱이 포화된 시간은 적절한 양이 포화된 드레싱보다 더 객관적이다. 흡인된 내용물, 모든 실질적 출혈과 잠혈 등의 배설물을 사정한다. 여성의 경우 질 출혈에 대비하여 패드 개수를 사정한다. 여성들은 월경예방을 위해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을 받는다.)
어떠한 흡인이라도 낮은 압력을 사용한다.
구강위생을 주의 깊게 한다.
Ⅳ주사 부위 또는 주변 부위를 포함해서 혈액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을 피한다.
⑵ 허혈 또는 출혈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 특히 주름 부위나 부분적으로 뼈가 돌출된 부위의 피부를 주의 깊게 사정한다.
주의 깊게 체위 변경을 한다.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압력을 줄인다.
모든 뼈 돌출 부위나 회음부 등 피부간호를 매일 2시간 마다 수행한다.
필요시 손가락, 발가락 사이, 귀 주변 등에 양털모를 사용한다.
주사 후 또는 시술 후 그 부위에 대한 압력을 늘린다.(적어도 5분)
구강위생 간호를 수행한다.
⑶ 과도한 혈액 또는 대체성분으로 인한 체액 불균형
매일2-4시간 마다 호흡음을 청진한다.
부종의 범위를 사정한다.
정맥 내 수액량과 혈액생성을 사정한다. 필요시 정맥 내 제제의 양을 감소한다.
이뇨제를 처방한다.
⑷ 미세혈전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조직 관류장애
신경계, 호흡기계, 외피계를 사정한다.
헤파린 치료에 대한 반응을 사정한다.
출혈의 범위를 사정한다.
섬유소원 수치를 사정한다.
만약 혈전증의 증상이 발생하면 아미노카프론산을 멈춘다.
⑸ 죽음에 대한 불안감
- 가능한 한 이전의 대응기전을 명확히 한다. 환자가 그들 스스로를 적절하게 강화시키게 한다.
환자와 가족들이 이해하도록 관련된 용어 및 시술과정과 이론적 근거를 모두 설명한다.
환자를 지지하는데 가족이 돕는다.
필요시 행동요법이나 종교적지지 등을 제공받는다.
참고문헌)
알기 쉬운 병리학 - 현문사
최신중환자간호 - 수문사
성인간호학 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