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동 모금회를 세계로!
우리나라는 비교적 공동 모금회가 체계적인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국민소득이 낮은 국가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최근 네팔에서 발생한 대지진 사태를 보면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GDP가 세계 17위, 네팔의 GDP는 107위이다. 이 수치로도 알 수 있듯 네팔의 복지수준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대지진이 일어났고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에 많은 나라들은 구호물자를 조달하고 사회봉사자들과 의료진들을 파견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발생했다. 네팔정부는 이 구호물자에 관세를 매겨 이재민들을 더 고통 속으로 밀어 넣었다. 히말라야 산맥을 비롯한 여러 산맥들 위에 있는 나라인 만큼 세계 각지에서 오는 산악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국가의 큰 버팀목이었던 네팔이다. 그런 네팔에 지진이 일어나면서 그 관광산업에 큰 타격을 입자 네팔정부는 이런 파렴치한 방법으로 자국민들을 두 번 울리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팔정부 내에서 복지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네팔은 이런 상황에 대비하고 대책을 세우기엔 아직 부족한 점들이 많다. 이를 다른 선진국에서 보완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공동모금회가 직접 네팔정부나 NGO와 접촉하면서 그들을 도와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규모라도 일단 기초적인 복지인프라를 구축해주고 네팔 지역의 특색에 맞는 복지와 혜택을 함께 논의해보고 그들을 지원해줘야 한다.
Ⅲ. 결론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란 투명성이 우선이다. 한번 신뢰를 잃는다면 그 신뢰를 회복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중요하고 막중한 책임감이 따르는 기관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가 더 활성화되고 일반화되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도움의 손길이 필요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박용순 · 송진영,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2, p.327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011&cid=40942&categoryId=33385, 두산백과
3. http://www.chest.or.kr, Home>공동모금회>소개>공동모금회
4. http://www.chest.or.kr, Home>공동모금회>봉사>소개
우리나라는 비교적 공동 모금회가 체계적인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국민소득이 낮은 국가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최근 네팔에서 발생한 대지진 사태를 보면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GDP가 세계 17위, 네팔의 GDP는 107위이다. 이 수치로도 알 수 있듯 네팔의 복지수준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대지진이 일어났고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에 많은 나라들은 구호물자를 조달하고 사회봉사자들과 의료진들을 파견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발생했다. 네팔정부는 이 구호물자에 관세를 매겨 이재민들을 더 고통 속으로 밀어 넣었다. 히말라야 산맥을 비롯한 여러 산맥들 위에 있는 나라인 만큼 세계 각지에서 오는 산악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국가의 큰 버팀목이었던 네팔이다. 그런 네팔에 지진이 일어나면서 그 관광산업에 큰 타격을 입자 네팔정부는 이런 파렴치한 방법으로 자국민들을 두 번 울리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팔정부 내에서 복지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네팔은 이런 상황에 대비하고 대책을 세우기엔 아직 부족한 점들이 많다. 이를 다른 선진국에서 보완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공동모금회가 직접 네팔정부나 NGO와 접촉하면서 그들을 도와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규모라도 일단 기초적인 복지인프라를 구축해주고 네팔 지역의 특색에 맞는 복지와 혜택을 함께 논의해보고 그들을 지원해줘야 한다.
Ⅲ. 결론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란 투명성이 우선이다. 한번 신뢰를 잃는다면 그 신뢰를 회복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중요하고 막중한 책임감이 따르는 기관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가 더 활성화되고 일반화되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도움의 손길이 필요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박용순 · 송진영,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2, p.327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011&cid=40942&categoryId=33385, 두산백과
3. http://www.chest.or.kr, Home>공동모금회>소개>공동모금회
4. http://www.chest.or.kr, Home>공동모금회>봉사>소개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 상도동의 독거어르신에 대한 욕구사정과 그에 대한 해결책 제시
[지역사회복지론] 거주지역 사회조사를 토대로 지역사회 복지계획 수립(수원)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이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후원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라고 가...
[지역사회복지론] 1990년대 이후의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변화와 발전에 대해 - 지역사회복...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조직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을 비교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지역...
[지역사회복지론] 본인이 속한 지역의 지역사회복지계획들이 어떻게 수립 실행되고 있는지를 ...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조사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개념, 원칙, 목표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
[지역사회복지론] 학습자가 거주하는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파악하고 거기에 따른 ...
지역사회복지론_사회조직으로서의 지역사회 5가지 기능의 개념과 우리나라 지역사회 내에서 ...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 중 퇴니스의 공동사회와 이익사회에 대해 설명하고 ...
지역사회복지론)현재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내에서 필요한 사회복지자원은 무엇이고,...
지역사회복지론 )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내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기관)중 한 곳을 방문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