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 작가 헨릭 입센(Henrik Ibsen)
ii) <인형의 집>
(1) 사실주의 극
(2) 페미니즘 극
(3) <인형의 집>의 전개과정
(4) <인형의 집>의 인물분석
(5) <인형의 집>에 나타난 갈등 양상
iii) 각색극 <NORA>
(1) 각색 의도
(2) 각색극 <NORA>의 인물분석 및 원작과의 비교
III. 결론
참고문헌
II. 본론
i) 작가 헨릭 입센(Henrik Ibsen)
ii) <인형의 집>
(1) 사실주의 극
(2) 페미니즘 극
(3) <인형의 집>의 전개과정
(4) <인형의 집>의 인물분석
(5) <인형의 집>에 나타난 갈등 양상
iii) 각색극 <NORA>
(1) 각색 의도
(2) 각색극 <NORA>의 인물분석 및 원작과의 비교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상
1) 인물간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노라와 크로그쉬타트: 이 둘의 갈등은 극을 이끌어가는 가장 큰 갈등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둘의 갈등으로 인해 극의 내용들이 흘러간다. 현재의 상황에 만족하고 있던 노라는 크로그쉬타트와의 갈등을 통해 극의 첫 번째 급전 포인트를 보여 준다. 이러한 갈등은 노라를 행복에서 불행으로 향하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며, 동시에 헬머에 대한 노라의 믿음이 어느 정도 인지도 보여준다.
-노라와 헬머: 이 작품에 크게 두 개의 반전 포인트가 있다고 볼 때 노라와 헬머의 갈등은 두 번째 반전 포인트로 볼 수 있다. 이 두 번째 갈등은, 노라가 믿고 있던 즉 자신이 생각했던 헬머의 반응이 아닌 이중적인 헬머의 행동을 봄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시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진다.
2) 내부적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노라: 노라는 자신의 비밀을 헬머에게 말할지 말지에 대한 개인적인 갈등을 지닌다.
-크로그쉬타트: <인형의 집>의 위기를 몰고 오는 장본인으로 과거 사랑했던 여성인 린네부인의 제안에 개인적인 갈등 후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3) 외부적 힘과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이 작품의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외부적인 힘과의 갈등에 놓여있다. 주인공인 노라는 그 시대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억압과 편견과의 갈등을 보여주며 린네부인 또한 외부적 갈등에 의해 힘든 과거를 보낸 것으로 그려진다. 크로그쉬타트 역시 사회와의 갈등에 의해 비열해진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iii) 각색극
(1) 각색 의도
시간이 지나도 여성과 남성의 위치는 헨릭 입센의 시대와 많이 다를 바가 없어보인다. 아직도 결혼이 인생 소급의 목적인 여자들도 존재하고, 여전히 여자를 자신의 악세서리처럼 여기고 있는 남자들도 존재한다. 때문에 <인형의 집>의 배경을 현대로 옮겨 와도 전혀 이상할 바가 없이 자연스럽다.
우리는 각색극의 주요한 주제를 여성의 주체적인 자립과 독립으로 삼고 배경을 현대의 대한민국으로 각색하여 주인공 노라의 각성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원작에서는 주인공 노라가 주체적 여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비약적인 부분이 없지 않은데, 각색을 통해서 그 부분을 조금 더 구체화하고 당위성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2) 각색극의 인물분석 및 원작과의 비교
노라: 결혼이 인생의 목표였고 대학 졸업 후 바로 결혼해서 집 안에서만 살고 있으며, 주체적이지 못한 삶을 산다.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크로그쉬타트의 돈을 빌려 모두 다 갚았다고 생각했으나, 불법 사채를 끌어다 쓴 것임을 알게 된다. 린네의 삶으로 여성으로서의 위치를 깨닫고, 변화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돈을 갚기 위해 돈을 일부러 낭비하고 십자수 부업하며 남편 몰래 했던 자신의 행동을 자랑스러워하며 돈을 모으지만, 자신의 노력을 인정하지 못하고 이중적인 남편에 충격을 받고 가출을 하게 된다.
헬머: 고위 공무원으로서 가부장적이고 자신의 가치를 남에게 투영시키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다. 명예와 사회적 지위를 위해서 노라를 변화시키려고 한다. 노라가 집을 나오고 나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노라에게 돌아올 것을 부탁한다.
린네: 노라의 대학교 동창으로 자신의 인생을 살고싶어 했으나 남자에게 엮여 결혼해 아이까지 낳았다가 이혼하고 자신의 힘으로 혼자 아이를 키운다. 비정규직으로 일을 하다가 헬머에게 정규직 청탁을 위해 크리스마스에 노라를 방문한다. 자신의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려고 하는 모습으로 노라에게 새로운 삶의 표본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크로그쉬타트: 악질 사채업자로 자신의 과거 삶을 청산하기 위해 노라에게 없었던 이자를 불법적으로 만들어 이자를 핑계로 자신의 직업을 만들어 줄 것을 협박한다. 나중에 이가 밝혀져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감옥으로 간다.
원작과는 달리 노라의 각성과정과 자립에 초점을 맞춘 만큼, 노라가 집을 나서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현대사회에서 성공의 잣대로 평가되는 ‘경제적 독립’의 과정을 이룬 노라의 모습을 그리려고 했다.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을 차용하여 그리게 되었으며 헬머가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는 모습을 넣은 것도 그 이유이다.
타란텔라 춤으로 대변되는 헬머의 노라에 대한 소유권 주장은 현대 상류 사회에서 영위하는 ‘발레’로 대치되었고, 헬머의 직업 역시 현대 사회에서 숭상받는 직업인 고위 공무원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크로그쉬타트가 뉘우치고 잘못을 깨닫는 린네 부인과의 사랑을 재확인하는 부분은 각색극에서 노라의 각성이라는 주제와 동떨어진다고 생각하여 삭제하였고 법적으로 벌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노라를 짝사랑하며 유전적으로 병을 물려받은 랑크 의사는 극중 소극적인 그의 성격과 극명한 인물간의 갈등과 대립을 위하여 그의 성격들을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조금씩 부여하는 것으로 대치하며 삭제하였다.
III. 결론
헨릭 입센은 그의 극 <인형의 집>을 통하여 자신이 평생을 걸었던 가치와 희생이 좌절된 주인공 노라를 통하여 당시 여성에게 억압적이었던 사회를 첨예한 묘사와 지문, 등장인물의 대사뿐만 아니라 극을 이루고 있는 갈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을 그저 페미니스트 극으로만 보는데에 그치지 말고 나아가 이 극이 사실주의 극으로서 한 역할과 그 파급력을 고려하여 작품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현대에 읽기에도 희곡이 전혀 위화감이 없는 것은 아직도 현대 사회에 이런 일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필요한 이유이다.
참고문헌
―헨릭 입센, 「인형의 집」, 해와 나무, 2006
이근삼, 연극개론, 문학사상사, 2004
김미지, 「<인형의 집> ‘노라’의 수용방식과 소설적 변주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2003
이승희, 「사실주의 극의 성립」, 한국극예술연구, 2009
G.B. 테니슨, 이태주 역, 「연극원론」, 현대미학사, 1992
레이조스 에그리, 「희곡작법」, 김선 역, 청하, 1991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2
아스무트, 베른하스트, 송전 역, 「드라마 분석론」, 서문당, 2000
1) 인물간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노라와 크로그쉬타트: 이 둘의 갈등은 극을 이끌어가는 가장 큰 갈등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둘의 갈등으로 인해 극의 내용들이 흘러간다. 현재의 상황에 만족하고 있던 노라는 크로그쉬타트와의 갈등을 통해 극의 첫 번째 급전 포인트를 보여 준다. 이러한 갈등은 노라를 행복에서 불행으로 향하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며, 동시에 헬머에 대한 노라의 믿음이 어느 정도 인지도 보여준다.
-노라와 헬머: 이 작품에 크게 두 개의 반전 포인트가 있다고 볼 때 노라와 헬머의 갈등은 두 번째 반전 포인트로 볼 수 있다. 이 두 번째 갈등은, 노라가 믿고 있던 즉 자신이 생각했던 헬머의 반응이 아닌 이중적인 헬머의 행동을 봄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시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진다.
2) 내부적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노라: 노라는 자신의 비밀을 헬머에게 말할지 말지에 대한 개인적인 갈등을 지닌다.
-크로그쉬타트: <인형의 집>의 위기를 몰고 오는 장본인으로 과거 사랑했던 여성인 린네부인의 제안에 개인적인 갈등 후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3) 외부적 힘과 갈등을 빚고 있는 개인
이 작품의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외부적인 힘과의 갈등에 놓여있다. 주인공인 노라는 그 시대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억압과 편견과의 갈등을 보여주며 린네부인 또한 외부적 갈등에 의해 힘든 과거를 보낸 것으로 그려진다. 크로그쉬타트 역시 사회와의 갈등에 의해 비열해진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iii) 각색극
(1) 각색 의도
시간이 지나도 여성과 남성의 위치는 헨릭 입센의 시대와 많이 다를 바가 없어보인다. 아직도 결혼이 인생 소급의 목적인 여자들도 존재하고, 여전히 여자를 자신의 악세서리처럼 여기고 있는 남자들도 존재한다. 때문에 <인형의 집>의 배경을 현대로 옮겨 와도 전혀 이상할 바가 없이 자연스럽다.
우리는 각색극
(2) 각색극
노라: 결혼이 인생의 목표였고 대학 졸업 후 바로 결혼해서 집 안에서만 살고 있으며, 주체적이지 못한 삶을 산다.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크로그쉬타트의 돈을 빌려 모두 다 갚았다고 생각했으나, 불법 사채를 끌어다 쓴 것임을 알게 된다. 린네의 삶으로 여성으로서의 위치를 깨닫고, 변화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돈을 갚기 위해 돈을 일부러 낭비하고 십자수 부업하며 남편 몰래 했던 자신의 행동을 자랑스러워하며 돈을 모으지만, 자신의 노력을 인정하지 못하고 이중적인 남편에 충격을 받고 가출을 하게 된다.
헬머: 고위 공무원으로서 가부장적이고 자신의 가치를 남에게 투영시키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다. 명예와 사회적 지위를 위해서 노라를 변화시키려고 한다. 노라가 집을 나오고 나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노라에게 돌아올 것을 부탁한다.
린네: 노라의 대학교 동창으로 자신의 인생을 살고싶어 했으나 남자에게 엮여 결혼해 아이까지 낳았다가 이혼하고 자신의 힘으로 혼자 아이를 키운다. 비정규직으로 일을 하다가 헬머에게 정규직 청탁을 위해 크리스마스에 노라를 방문한다. 자신의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려고 하는 모습으로 노라에게 새로운 삶의 표본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크로그쉬타트: 악질 사채업자로 자신의 과거 삶을 청산하기 위해 노라에게 없었던 이자를 불법적으로 만들어 이자를 핑계로 자신의 직업을 만들어 줄 것을 협박한다. 나중에 이가 밝혀져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감옥으로 간다.
원작과는 달리 노라의 각성과정과 자립에 초점을 맞춘 만큼, 노라가 집을 나서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현대사회에서 성공의 잣대로 평가되는 ‘경제적 독립’의 과정을 이룬 노라의 모습을 그리려고 했다.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을 차용하여 그리게 되었으며 헬머가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는 모습을 넣은 것도 그 이유이다.
타란텔라 춤으로 대변되는 헬머의 노라에 대한 소유권 주장은 현대 상류 사회에서 영위하는 ‘발레’로 대치되었고, 헬머의 직업 역시 현대 사회에서 숭상받는 직업인 고위 공무원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크로그쉬타트가 뉘우치고 잘못을 깨닫는 린네 부인과의 사랑을 재확인하는 부분은 각색극에서 노라의 각성이라는 주제와 동떨어진다고 생각하여 삭제하였고 법적으로 벌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노라를 짝사랑하며 유전적으로 병을 물려받은 랑크 의사는 극중 소극적인 그의 성격과 극명한 인물간의 갈등과 대립을 위하여 그의 성격들을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조금씩 부여하는 것으로 대치하며 삭제하였다.
III. 결론
헨릭 입센은 그의 극 <인형의 집>을 통하여 자신이 평생을 걸었던 가치와 희생이 좌절된 주인공 노라를 통하여 당시 여성에게 억압적이었던 사회를 첨예한 묘사와 지문, 등장인물의 대사뿐만 아니라 극을 이루고 있는 갈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을 그저 페미니스트 극으로만 보는데에 그치지 말고 나아가 이 극이 사실주의 극으로서 한 역할과 그 파급력을 고려하여 작품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현대에 읽기에도 희곡이 전혀 위화감이 없는 것은 아직도 현대 사회에 이런 일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필요한 이유이다.
참고문헌
―헨릭 입센, 「인형의 집」, 해와 나무, 2006
이근삼, 연극개론, 문학사상사, 2004
김미지, 「<인형의 집> ‘노라’의 수용방식과 소설적 변주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2003
이승희, 「사실주의 극의 성립」, 한국극예술연구, 2009
G.B. 테니슨, 이태주 역, 「연극원론」, 현대미학사, 1992
레이조스 에그리, 「희곡작법」, 김선 역, 청하, 1991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2
아스무트, 베른하스트, 송전 역, 「드라마 분석론」, 서문당,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