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
2. 지명, 인명 차자표기법
3. 이두와 설총, 그리고 오랜 기간 사용된 이유
4. 내적 재구의 방법과 예
5. 향가해석 - 서동요, 처용가
6. 국어사의 시대 구분점
7. 삼국사기 지리지 권 34 지명표기
8.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 문제
9. 동국정운식 표기
10. 성조 체계와 변화
11. 훈민정음의 문자학상 의의
12. 훈민정음 초성 체계, 초성해
13. 훈민정음 중성 체계, 중성해
14. 훈민정음 제자해
15. 훈민정음 종성 체계, 종성해
2. 지명, 인명 차자표기법
3. 이두와 설총, 그리고 오랜 기간 사용된 이유
4. 내적 재구의 방법과 예
5. 향가해석 - 서동요, 처용가
6. 국어사의 시대 구분점
7. 삼국사기 지리지 권 34 지명표기
8.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 문제
9. 동국정운식 표기
10. 성조 체계와 변화
11. 훈민정음의 문자학상 의의
12. 훈민정음 초성 체계, 초성해
13. 훈민정음 중성 체계, 중성해
14. 훈민정음 제자해
15. 훈민정음 종성 체계, 종성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