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U컨소시엄 에너지와생활 (만점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CU컨소시엄 에너지와생활 (만점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에너지 자원 고갈 문제의 현황
1) 주요에너지 연도별 지표
2) 1차 에너지 공급 구조
3) 주요 에너지자원 수급 현황
- 석유
- 석탄
- 천연가스
4) 에너지 자원고갈문제의 현 위치
5) 에너지 자원고갈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 및 대책
- 앞으로의 전망
- 세계적인 움직임
- 신 재생에너지

II.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종류 와 사용량

III. 1,2차 석유 파동과 이에 준하여 예측해본 3차 파동
1) 1차 석유파동
2) 2차 석유파동
3) 3차 석유파동 예측

본문내용

1%), 일본(4.6%), 미국(6.5%) 등의 선진국(추정치)과 비교해서 아직 낮은 수준
II.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종류 와 사용량
사 용
에너지의 종류
소비 전력
사용 시간
(1일 기준)
사용량
(1달 기준)
도 시 가 스
화석 에너지
-
2
하 수 도
물 에너지
-
3
26 ton
난 방
열 에너지
-
8
521 Mwh
T V
전기 에너지
120Wh
7
273KWh
냉 장 고
전기 에너지
47Wh
24
세 탁 기
전기 에너지
500Wh
1
전 자 레 인 지
전기 에너지
1200Wh
0.5
전 기 밥 솥
전기 에너지 열 에너지
0~100Wh (보온)
1250Wh (취사)
24
컴 퓨 터
전기 에너지
150Wh
8
형 광 등
전기 에너지 빛 에너지
70Wh * 6
6
청 소 기
전기 에너지
600Wh
0.5
드 라 이 기
전기 에너지
1350Wh
0.1
다 리 미
전기 에너지 열 에너지
800Wh
0.5
휴대폰 충전기
전기 에너지
6Wh * 3
3
선 풍 기
전기 에너지
55Wh
2
기 타
전기 에너지
-
-
- 하루 1인당 전기에너지 소비량 계산
{(120Wh X 7) + (47Wh X 24) + (500Wh X 1) + (1200Wh X 0.5) + (2500Wh) +
(150Wh X 8) + (70Wh X 6 X 6) + (600Wh X 0.5) + (1350Wh X 0.1) + (800Wh X 0.5) +
(6Wh X 3) + (55Wh X 2)} ÷ 4 = 2.57KWh
III. 1,2차 석유 파동과 이에 준하여 예측해본 3차 파동
1) 1차 석유 파동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발발 이 후 페르시아 만의 6개 산유국들이 가격인상과 감산에 돌입, 배럴당 2.9달러였던 원유(두바이유) 고시 가격은 4달러를 돌파했다. 1974년 1월엔 11.6달러까지 올라 2∼3개월 만에 무려 4배나 폭등했다. 이 파동으로 1974년 주요 선진국들은 두 자릿수 물가상승과 마이너스 성장이 겹치는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어야 했다.
대한민국의 경우, 1973년 3.5%였던 물가상승률은 1974년 24.8%로 수직상승했고, 성장률은 12.3%에서 7.4%로 떨어졌다. 무역수지 적자폭도 크게 확대(10억달러→24억달러)됐다. 산업구조가 경공업에서 에너지 수요가 많은 중화학공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충격은 더 컸다. 1975년에 이르러 성장률은 6.5%로 더 떨어졌고, 물가는 24.7%의 고공비행을 이어갔다. 후 폭풍은 2년간 지속됐고, 1976년에서야 비로소 경제는 정상을 되찾았다.[1]
1차 유류 파동 당시에는 1개월 만에 국제유가가 약 3.9배로 올랐고 대한민국의 환율도 21.9% 올랐다. 경제성장률은 3%선으로 급락했다. 1973년 당시 대한민국 서울의 자가용 승용차는 5만4331대였으나 1차 유류 파동으로 인해 9518대가 줄어 1974년에는 4만4813대가 되었다. 1971년에는 3만9054대, 1972년에는 4만753대, 1973년에는 5만4331대, 1974년에는 4만4813대, 1975년에는 4만7881대, 1976년에는 5만4954대, 1977년에는 7만4320대, 1978년에는 10만6960대로 1차 석유 파동 시기를 제외하고 서울의 자가용 승용차 댓수는 해마다 증가하였다.
1차 유류 파동으로 6%대였던 미국의 국채수익률은 8%대로 상승했다. 이로 인해 당시 자동차시장에서 대 변혁이 일어나게 되고, 시빅이 CVCC 엔진으로 새로운 배기가스 규제에 합격, 당시 약세였던 혼다의 이미지에 큰 변화가 생겼다.
2) 2차 석유 파동
1978년 12월 호메이니 주도로 이슬람혁명을 일으킨 이란은 전면적인 석유수출 중단에 나섰고 배럴당 13달러대였던 유가는 20달러를 돌파했다.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30달러 벽이 깨졌고,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무기화를 천명한 1981년 1월 두바이유는 39달러의 정점에 도달했다.
선진국들의 충격은 1차 파동 때보다 적었지만, 한국경제는 오히려 반대였다. 대내적으로 10·26 사건과 1980년 정치혼란이 겹치면서 1980년의 실질성장률은 경제개발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2.1%)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은 무려 28.7%에 달했고 실업률도 5%를 넘어섰다. 1981년 성장률이 6%대로 높아졌지만 기술적 반등 수준이었으며, 물가는 여전히 20%를 웃돌았다. 2차 오일 쇼크 역시 꼬박 2년간 한국경제에 치명적 충격을 주었다.
2차 유류 파동 때는 6개월 만에 국제유가가 2.3배가 올랐고, 한국 환율이 36.5% 상승했다.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성장이 되었다.
유가 상승 폭 1차 때보다 컸던 1978년 2차 유류 파동 때는 8~9% 수준이었던 미국의 국채수익률이 15% 수준까지 올랐다. 한국의 회사채 수익률도 2차 유류 파동 당시 20% 초반에서 30%대까지 상승했다.
3) 3차 석유 파동 예측
2000년, 유가가 급상승하면서 제3차 유류 파동이 오는 것이 아니냐는 염려가 일었다. 지난 1973년 4차 중동전 직후 발생한 1차 유류 파동과 1979년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가열된 2차 유류 파동은 모두 전쟁으로 발생한 사건이다.
2006년에 3차 유류 파동이 올 거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그러나 인간은 곧 대체 에너지를 발견할 것이며, 일부 선진국들은 태양열 에너지와 같은 대체 에너지를 열심히 개발하고 있다는 등의 낙관적인 견해가 다소 많았다.
2008년 초부터 유가가 연속 급등하면서 다시 3차 유류파동이 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008년 3/4분기에 149달러로 정점을 맺은 유가는 2009년 1/4~2/4분기에 33달러까지 떨어지다가 77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유가가 터무니없게 오르지 않더라도 분명한 것은 저렴한 값에 에너지를 쓸 수 있는 저유가 시대는 막을 내렸다는 사실이다. 인류는 석유가 있었기에 물질적 안락함과 부를 누렸고 변혁을 이끌어냈지만, 이제는 다른 대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석유가 탐욕과 불평등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고갈이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 위키백과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9.04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