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위
- 식생활개선운동과 농산물의 생산종류의 다양화
- 엔고현상과 농산물수입자유화에 의한 해외농산물의 경쟁력 증대
- 슬로 푸드 운동의 영향
2. 형태
- 산지 직판장, 학교 급식, 그린투어리즘
3. 장 • 단점
4. 한국과의 비교
5. 세계의 지산지소 사례.
- 미국, 캐나다, 영국
자료 출처
- 식생활개선운동과 농산물의 생산종류의 다양화
- 엔고현상과 농산물수입자유화에 의한 해외농산물의 경쟁력 증대
- 슬로 푸드 운동의 영향
2. 형태
- 산지 직판장, 학교 급식, 그린투어리즘
3. 장 • 단점
4. 한국과의 비교
5. 세계의 지산지소 사례.
- 미국, 캐나다, 영국
자료 출처
본문내용
유인이 됨에 따라 지산지소가 중요한 여행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나가노현 이다시의 농가민박 체험형 수학여행을 다녀간 학생 수가 1996년 3개교에서 2004년 260개교로 급증하였으며, 이를 통한 시 전체의 경제적 효과가 10억엔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신토불이’와 ‘농촌사랑운동’은 계몽적인 캠페인 성격이 강하며, 도농교류(도시와 농촌이 교류하는 것) 위주로 추진되어 농민의 실익과 직결되는 부분이 많지 않았다. 반면, 일본의 지산지소는 농산물 판매를 기본으로 학교급식, 도농 교류 등으로 확대함으로써 농촌에 경제적 실익을 제공하고 있다. 신토불이, 농촌사랑운동을 농업·농촌 실익운동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농산물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사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계적인 지산지소 (미국,캐나다,영국)
미국도 지산지소 운동을 실천한다. 다른 나라들도 지금 지산지소 운동 즉, 로컬푸드 운동이 필요하다고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대통령 영부인부터가 앞장서서 로컬푸드 운동을 추진하는데 내용은 이렇다.
: 미국의 워싱턴 백악관 앞거리에 농민장터가 문을 열고, 미셸 오바마 영부인은 취임 때부터 백악관 내에 텃밭을 만들어 채소를 가꾸어 온 힘을 썼다고 한다. 개소식에 참석하여 가족농과 농민장터가 갖는 장점들에 대해 연설을 하기도 하였다. 앞으로 오바마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가족 소농의 보호와 로컬푸드 정책의 지원에 힘쓸 것으로 언급했으며 이는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 외 캐나다 벤쿠버와 영국런던 중심가, 호주, 독일, 이탈리아,프랑스 등 에서 로컬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신토불이’와 ‘농촌사랑운동’은 계몽적인 캠페인 성격이 강하며, 도농교류(도시와 농촌이 교류하는 것) 위주로 추진되어 농민의 실익과 직결되는 부분이 많지 않았다. 반면, 일본의 지산지소는 농산물 판매를 기본으로 학교급식, 도농 교류 등으로 확대함으로써 농촌에 경제적 실익을 제공하고 있다. 신토불이, 농촌사랑운동을 농업·농촌 실익운동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농산물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사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계적인 지산지소 (미국,캐나다,영국)
미국도 지산지소 운동을 실천한다. 다른 나라들도 지금 지산지소 운동 즉, 로컬푸드 운동이 필요하다고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대통령 영부인부터가 앞장서서 로컬푸드 운동을 추진하는데 내용은 이렇다.
: 미국의 워싱턴 백악관 앞거리에 농민장터가 문을 열고, 미셸 오바마 영부인은 취임 때부터 백악관 내에 텃밭을 만들어 채소를 가꾸어 온 힘을 썼다고 한다. 개소식에 참석하여 가족농과 농민장터가 갖는 장점들에 대해 연설을 하기도 하였다. 앞으로 오바마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가족 소농의 보호와 로컬푸드 정책의 지원에 힘쓸 것으로 언급했으며 이는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 외 캐나다 벤쿠버와 영국런던 중심가, 호주, 독일, 이탈리아,프랑스 등 에서 로컬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