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암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장암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 연구의 필요성
󰊲 신장의 구조 및 기능, 정의
󰊳 원인
󰊴 병태생리
󰊵 증상과 징후
󰊶 진단
󰊷 치료
󰊸 간호
Ⅱ. 간호력
Ⅲ. 임상적진단적 검사
Ⅳ.투약(medication)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V 135ml/hr
- 뇌혈관 및 말초순환장애.
- 외상(염좌, 골절, 타박, 좌상 등), 수술후의 연부 종창으로 인한 염증의 완화
[금기]
본제 과민증 기왕력자
[상호작용]
- 칼슘 채널 차단제와 병용시 저혈압 위험 증가
- 베타 차단제와 병용시 최초 용량 투여시 기립성 저혈압 유발 가능
cefotaxime Inj 1g
세포탁심
1~2g/dose
12시간마다
IM,IV
-제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물질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
- 체내 저항력이 떨어져 있는 환자의 감염 예방
[부작용] Shock, 빈혈, 무과립구증, 급성 신부전증, 황달, 위막성 대장염, 비타민 K결핍증
[금기]
cephalosporin계 항생물질에 의하여 Shock의 병력이 있는 환자
pethidine Inj 25mg/0.5mg
페티딘 염산염
35-50mg/1회을 필요에 따라 3-4시간마다
SC, IM
1. 격렬한 동통시의 진통, 진정, 진경. 2. 마취전 투약. 3. 마취시 보조. 4. 무통분만
1. 중증 호흡억제환자(호흡억제를 증강). 2. 중증 간장애환자(혼수). 3. 두개 내압 상승환자(호흡억제를 증강). 4. MAO 억제제 투여중인 환자(페치딘의 대사장애에 의하여 혼수, 중증의 호흡억제 일으킬 수 있음)
Ⅴ. 간호과정
# 1. 급성통증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아으..........”
2) “수술부위가 아파.. 진통제를 놔주든가 해야지..“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PCA를 통해 진통제를 투여중 이었음에도 통증을 계속 호소.
2) 통증 척도 NPIS결과 7점이라고 대답하심.
3) 표정을 찡그리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기 힘들어 보임.
간호진단명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Acute pain)
간호 목표
(1) 대상자는 통증척도 NPIS 결과 3점이하로 표시한다.
(3) 대상자는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
1) 1~2시간마다 또는 필요시마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2)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처방에 따라 투약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4) 통증측정도구 NPIS를 사용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간호 수행
1) 필요시마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함.
2)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 하였음.
(pethidine Inj 25mg/0.5mg, entanyl(mcg)1000 0.9%
N/S1000ml/bag80 투여함)
4) 통증측정도구 NPIS를 사용하여 기록함.
간호 평가
2015/03/20 목표 달성 됨.
(1) 대상자는 통증척도 NPIS 결과 2점으로 나타냄.
(2) 대상자는 “이제는 많이 괜찮아졌어요. 살 것 같아요”라고 말함.
# 2 신체손상 위험성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배가 가스찬 것 같이 너무 아파요..”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해 호흡운동이 제한적인 것으로 보임.
RR: 10회
2) 대상자는 담배를 약 30년간 꾸준히 펴온 것으로 보아 수술이나 전신마취에 나쁜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임.
간호진단명
수술 후 폐합병증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호 목표
(1) 호흡운동이 정상으로 유지되고 폐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1) 수술 후 약 4시간정도 깨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2)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심호흡을 할 것과 기침하 는 법을 미리 설명한다.
3) 수술 후 매시간 5-10회 심호흡과 연속 기침법을 시행하도록 교 육한다.
4)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를 통해 심호흡의 효과에 관해 교육하고 격려한다.
5) 통증경감을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간호 수행
1) 수술 후 약 4시간정도 깨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교육함.
2)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심호흡을 할 것과 기침하는 법을 미리 설명함.
3) 수술 후 매시간 5-10회 심호흡과 연속 기침법을 시행하도록 교육함.
4)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를 통해 심호흡의 효과에 관해 교육하고 격려함.
5) 통증경감을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함.
간호 평가
2015/03/18 목표 달성 됨.
(1) 3/18 오후 2시까지 호흡 측정 결과 18회로 정상호흡을 유지하였고 폐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음.
# 3 수면 패턴 장애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간호사님들이 새벽에 돌아다닐 때도 자꾸 깨고 병실 사람들도 시끄러워서 잠에서 맨날 깨요.”라고 말함.
2) “병원에 입원한 후로 잠을 더 못자요.”
객관적
자 료
1) 3/19일 총 수면시간이 5시간이라고 함.
2) 낮 시간에 피곤해 하는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명
입원 후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수면 패턴 장애
간호 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편안한 수면을 취했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
1) 매일 아침 간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묻는다.
2) 조용한 환경을 조성한다. (불빛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 하기위해 야간 소등한다. 등)
3) 수면시간 동안 방해하지 않도록 순회 시간을 계획한다.
4) 낮 동안 가벼운 책이나 활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5) 낮잠을 피하도록 격려한다.
간호 수행
1) 매일 아침 간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물음.
2)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였음( 야간소등, 같은 병실 환자들에게 소음을 줄여달라고 제안함.)
3) 수면시간 동안 방해하지 않도록 순회 시간을 계획함.
4) 낮 동안 가벼운 책이나 활동을 하도록 교육함.
5) 낮잠을 피하도록 격려함.
간호 평가
2015/03/22 목표 달성 됨.
(1) 대상자가 “이제는 밤 동안 깨지 않고 잘 자요”라고 말함.
Ⅵ. 참고문헌
1. 이영휘 외 공역(2013, 『성인간호학Ⅱ』, 정담미디어)
2.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3. 김형규(2005, 『알기 쉬운 신장병119』, 가림출판사)
4. 이찬영(2002, 『알기 쉬운 암의학-하』, 단국대학교 출판부)
5. 차영남 외 4명,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6.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9.11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