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
34.10
34.09
0.0033
0.060
0.033
25ml 피펫의 보정: -0.020ml
0~50ml 뷰렛의 보정 : 0.013ml
표준 NaOH의 몰농도 : 0.096M
*의 몰수(mol)
1.
2.
3.
*의 몰수(mol)
*의 몰농도(M)
1.
2.
3.
->평균 의 몰농도(M)
*의 몰농도 (M)
1.
2.
3.
->평균 의 몰농도 (M)
0.033M
3) 와 의 질량
시료
질량 평균(g)
표준편차
질량신뢰 구간
절대불확정도
상대불확정도
1.26
0
1.26
1.26
0.87
0
0.87
0.87
- 250ml 부피플라스크 보정 : 0.317 ml
*의 질량 (MW=84.006)
1.
2.
3.
-표준편차(s)
-절대불확정도 =1.26
-상대불확정도 = 1.26
*의 질량 (MW=105.99)
1.
2.
3.
->평균 의 질량
-표준편차(s)
0
*절대불확정도 = 0.87
*상대불확정도 = 0.87
*의 무게 퍼센트
= 0.59 =
*의 무게 퍼센트
=
= 0.41 =
*미지시료의 무게(g)
의 무게+의 무게 = 1.26g+0.87g=2.13g
◆ 실험고찰
이번 실험은 미지시료를 녹인 용액을 로 역적정을 이용해 정량 분석하여, 전체 알칼리도와 탄산수소염의 농도를 알고 이로부터 탄산염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역적정은 정량분석에서 부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화학분석법이다.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기지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반응용액의 한쪽을 뷰렛에 취하고, 다른 한쪽을 비커에 담아 뷰렛에서 조금씩 떨어뜨려 반응의 종말점을 결정한다.
이번실험은 적정을 이용한 정량분석에 속한다. 이것에는 폴라로그래피 ·광흡수분석법 ·질량분석법 ·발광분광분석법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화학분석은 조작법에 의해 분류하면 중량분석과 용량분석이 있다. 정량분석 이외에도 정성분석이 있다. 이는 화학분석법 중에서 시료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한 분석법이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는 총 알칼리도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알칼리도의 정의는 와 반응하여 pH4.5에 이르게 하는 자연수의 용량이며, 이는 pH는 탄산염을 로 적정했을 때의 제2당량점에 해당한다. 알칼리도의 좋은 근사값은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알칼리도 =
pH 4.5 이상의 물을 4.5(pH미터로 측정)가 되게 산으로 적정할 때 모든 는 반응할 것이다. 다른 염기성 물질도 물론 반응하겠지만, 물 시요에서 대부분의 알칼리도는 이 세가지 이온이 차지한다. 보통, 알칼리도는 물 1L를 pH4.5 로 만드는데 필요한 의 mmol로 나타낸다.
이번 실험은 와 미지시료를 이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총알칼리도를 구할 수 있다. 0.1M HCl을 이용하여 적정을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와 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 브로모크레졸그린 지시약을 넣은 용액의 색이 적정을 하여 푸른색에서 초록색으로 변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처음에 이 반응을 유발시키고 를 넣어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을 넣는 이유는 탄산염을 침전시키기 위해서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넣고 HCl로 적정하면탄산수소염과 반응하고 남은 NaOH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염화바륨은 음이온의 정성분석에서 사용된다. 시료용액을 중성으로 하여 이에 분류 시약으로서 1N 용액을 가하여 침전여부를 조사한다. 반응을 보듯이 는 와 반응하여 침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염화바륨을 넣어주기 전에 NaOH를 넣어주게 되는데 이것은 과량의 표준용액으로 처리해서 를 로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침전을 일으킨다. 침전을 일으키는 것 중에는 양이온을, 또는 음이온을 침전시키는 이온이 있다.
* : 센 산의 음이온으로 과 반응하여 침전을 형성한다. 바륨이온은 약한산의 음이온인 과도 침전을 형성
*, , : 이들은 휘발성이 있는 산의 음이온이기 때문에 산을 넣어주면 아황산, 황화수소, 탄산이 된다.
*, , : 산성 용액에서 이온을 넣어주면 흰색의 침전이 생긴다.
* : 몰리브데넘산 암모늄 용액 (Ammonium Molybdate) 과 과량의 암모늄 이온을 가해주면 노란색 침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탄산염을 침전시키는 양이온에는 가 있다. 그중에서 이번실험에서는 브롬이온을 이용한 것이다.
34.10
34.09
0.0033
0.060
0.033
25ml 피펫의 보정: -0.020ml
0~50ml 뷰렛의 보정 : 0.013ml
표준 NaOH의 몰농도 : 0.096M
*의 몰수(mol)
1.
2.
3.
*의 몰수(mol)
*의 몰농도(M)
1.
2.
3.
->평균 의 몰농도(M)
*의 몰농도 (M)
1.
2.
3.
->평균 의 몰농도 (M)
0.033M
3) 와 의 질량
시료
질량 평균(g)
표준편차
질량신뢰 구간
절대불확정도
상대불확정도
1.26
0
1.26
1.26
0.87
0
0.87
0.87
- 250ml 부피플라스크 보정 : 0.317 ml
*의 질량 (MW=84.006)
1.
2.
3.
-표준편차(s)
-절대불확정도 =1.26
-상대불확정도 = 1.26
*의 질량 (MW=105.99)
1.
2.
3.
->평균 의 질량
-표준편차(s)
0
*절대불확정도 = 0.87
*상대불확정도 = 0.87
*의 무게 퍼센트
= 0.59 =
*의 무게 퍼센트
=
= 0.41 =
*미지시료의 무게(g)
의 무게+의 무게 = 1.26g+0.87g=2.13g
◆ 실험고찰
이번 실험은 미지시료를 녹인 용액을 로 역적정을 이용해 정량 분석하여, 전체 알칼리도와 탄산수소염의 농도를 알고 이로부터 탄산염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역적정은 정량분석에서 부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화학분석법이다.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기지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반응용액의 한쪽을 뷰렛에 취하고, 다른 한쪽을 비커에 담아 뷰렛에서 조금씩 떨어뜨려 반응의 종말점을 결정한다.
이번실험은 적정을 이용한 정량분석에 속한다. 이것에는 폴라로그래피 ·광흡수분석법 ·질량분석법 ·발광분광분석법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화학분석은 조작법에 의해 분류하면 중량분석과 용량분석이 있다. 정량분석 이외에도 정성분석이 있다. 이는 화학분석법 중에서 시료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한 분석법이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는 총 알칼리도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알칼리도의 정의는 와 반응하여 pH4.5에 이르게 하는 자연수의 용량이며, 이는 pH는 탄산염을 로 적정했을 때의 제2당량점에 해당한다. 알칼리도의 좋은 근사값은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알칼리도 =
pH 4.5 이상의 물을 4.5(pH미터로 측정)가 되게 산으로 적정할 때 모든 는 반응할 것이다. 다른 염기성 물질도 물론 반응하겠지만, 물 시요에서 대부분의 알칼리도는 이 세가지 이온이 차지한다. 보통, 알칼리도는 물 1L를 pH4.5 로 만드는데 필요한 의 mmol로 나타낸다.
이번 실험은 와 미지시료를 이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총알칼리도를 구할 수 있다. 0.1M HCl을 이용하여 적정을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와 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 브로모크레졸그린 지시약을 넣은 용액의 색이 적정을 하여 푸른색에서 초록색으로 변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처음에 이 반응을 유발시키고 를 넣어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을 넣는 이유는 탄산염을 침전시키기 위해서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넣고 HCl로 적정하면탄산수소염과 반응하고 남은 NaOH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염화바륨은 음이온의 정성분석에서 사용된다. 시료용액을 중성으로 하여 이에 분류 시약으로서 1N 용액을 가하여 침전여부를 조사한다. 반응을 보듯이 는 와 반응하여 침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염화바륨을 넣어주기 전에 NaOH를 넣어주게 되는데 이것은 과량의 표준용액으로 처리해서 를 로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침전을 일으킨다. 침전을 일으키는 것 중에는 양이온을, 또는 음이온을 침전시키는 이온이 있다.
* : 센 산의 음이온으로 과 반응하여 침전을 형성한다. 바륨이온은 약한산의 음이온인 과도 침전을 형성
*, , : 이들은 휘발성이 있는 산의 음이온이기 때문에 산을 넣어주면 아황산, 황화수소, 탄산이 된다.
*, , : 산성 용액에서 이온을 넣어주면 흰색의 침전이 생긴다.
* : 몰리브데넘산 암모늄 용액 (Ammonium Molybdate) 과 과량의 암모늄 이온을 가해주면 노란색 침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탄산염을 침전시키는 양이온에는 가 있다. 그중에서 이번실험에서는 브롬이온을 이용한 것이다.
추천자료
화학평형 실험 레포트
천연물의 추출,분리,정제 및 화학구조의 분석 방법
GC HPLC 기기분석 실험레포트
레포트월드비즈니스모델분석(www.reportworld.co.kr)
[화학공학기술자][화학공학기술자 작업환경][화학공학기술자 현황][화학공학기술자 전망]화학...
[지구화학적 특성][백두산][생명체][탄천수계분지내 하천수][광산폐기물]백두산의 지구화학적...
[광화학, 광화학반응, 광화학스모그, 광화학산화제, 철착화합물]광화학과 광화학반응, 광화학...
[정밀화학, 정밀화학 총요소생산성, 정밀화학 현황, 정밀화학 사례, 정밀화학 과제와 전망]정...
[산화, 세포산화조절, 일산화탄소, 이산화염소]산화와 세포산화조절, 산화와 일산화탄소, 산...
양이온 정성분석 실험(결과 레포트)
음이온陰ion의 분석 결과레포트
★ 기업분석 - LG화학 ( 기업 소개, 경제 분석, 산업분석, 기업 분석, 기술적 분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