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뇌수막염 case(뇌수막염의 정의, 뇌수막염의 원인, 뇌수막염의 증상, 뇌수막염의 진단검사 방법, 뇌수막염의 예방 방법, 뇌수막염 환자의 CAS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6/09]뇌수막염 case(뇌수막염의 정의, 뇌수막염의 원인, 뇌수막염의 증상, 뇌수막염의 진단검사 방법, 뇌수막염의 예방 방법, 뇌수막염 환자의 CASE)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수막염의 정의
2. 뇌수막염의 원인
3. 뇌수막염의 증상
4. 뇌수막염의 진단검사 방법
5. 뇌수막염의 예방 방법
6. 뇌수막염 환자의 CASE

본문내용

성 뇌수막염은 증상이 급성으로 오는 경우가 대부분, 세균성은 조금 더디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감기처럼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증상으로 시작해서 심하면 구토나 몸에 발진이 생기기도 합니다. 목이 뻣뻣해져서 움직이면 아프기도 하며 특히, 고개를 숙일 때 심해져 굽혀지지 않는 경부경직을 보이기도 합니다. 아이들 같은 경우 '머리가 부서질 듯 아프다'고 호소합니다.
점차적으로 대변이 묽어지는 등 소화기 증상도 나타나고 심해지면 체온이 오르면서 헛소리를 하는 등 의식이 혼미해지고 경련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1세 미만의 영아의 경우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기보다는 행동이 느려지거나 열이 나면서 심하게 보채고 토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세균성 뇌수막염은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높은 사망률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요즘같이 뇌수막염이 유행하는 때에는 특히 더 두통이나 경직, 발열 등이 있을 경우 빨리 병원에 방문해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뇌수막염의 진단검사방법!
- 뇌척수액 검사
- 세균배양검사
- 컴퓨터단층 촬영(CT)
- 자기공명영상 촬영(MRI)
뇌수막염이 안 걸리려면?(예방)
-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예방접종은 Hib백신을 투여하여 실시합니다.
(이 백신은 세균성 뇌막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생후 2,4,6개월에 세번 + 12~15개월 1회 접종 (총 4회)를 맞으면 됩니다.
- 폐렴구균에 대한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은 모든 6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은 기침, 재채기, 키스 등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전파되어 단체생활을 많이 하는 어린이, 청소년 및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과 유학생에게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 항생제(뇌막알균에 의한 뇌막염의 경우, 항생제를 사용하여 뇌수막염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뇌수막염도 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질환이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더불어 위생관리가 중요합니다.
- 또한, 면역력이 떨어지는 경우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한 휴식과 균형잡힌 제 때의 식사 그리고 주기적인 운동이 필요합니다.
양OO 17세 / M
◎ 가족과 함께 도보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
◎ 당시 V/S => 110/70 - 88 - 20 - 36.4도
◎ C.C => 어지러움증, 두통
◎ 흡연 => No , 음주 => No
◎ 지남력 => 사물 사람 장소 OK
◎ 의식상태 => Alert
◎ 의사소통 => 원만
◎ 소변 => 7회 / 1일, 150ml 소변냄새(보통)
◎ 대변 => 1회 / 1일, 정상이고, 색(Yellow)
◎ Motor => 5/5 , /5/5
◎ Sence => ++/++
◎ 입원동기 => 오전 9시 기상 후, 발생한 headache로
Local 경유하여 내원.
적용 약물
아미트리프틸린정
효능 : 우울증, 우울상태、야뇨증
성인 : 염산아미트리프틸린으로서 1일 30~75㎎을 2~3회 분할 경구투여하고 필요시 1일 150㎎까지 점차적으로 증량.
데파킨크로노정
효능 : 간질[결신발작(소발작), 강직간대발작(대발작), 간대성발작, 정신운동성발작 및 혼합발작]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의 예방과 치료.
성인 및 소아(체중 25kg 이상) : 체중 kg 당 20-30mg을 1일 1-2회 분할 경구투여한다. 1일용량 체중 kg당 20-30mg으로 간질발작 조절이 잘되면 1일 1회 투여할 수 있다.
무코스타정
효능 : 위궤양
다음 질환의 위점막병변(미란,출혈,발적,부종)의 개선 :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성인 : 레바미피드로서 1회 100 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한다. 다만, 위궤양의 경우에는 아침, 저녁 및 취침전에 투여한다.
미오날정
효능 : 근골격계질환에 수반하는 동통성 근육연축 : 경견완증후군, 견관절주위염, 요통
성인 : 염산에페리손으로서 1회 50㎎ 1일 3회 식후에 경구투여한다.
발렌탁 주
효능 :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수술후ㆍ외상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산통
성인은 디클로페낙나트륨으로서 1일 1회 75mg(1앰플)을 둔부의 상부 한쪽편에 깊숙히 근육 주사한다
meckool 주
효능 : 소화기능이상(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위염, 기능성 유문협착, 담낭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등..
성인 : 1일 1~2회 im 또는 iv (10mg)
진단 검사
Chest PA => No evidence of definite abnormality
CT Brain => 판독진행중인 검사.
EDTA blood 검사 => WBC Count 13.76 (4.0 ~ 10.0/L)
Serum 검사 => CRP 이상없음
CSF 검사 => ADA(Adenosine Deaminase) 1 (0.0~8.0 IU/L)
HSV IgG (Negative) 0.2
HSV IgM (Negative) 0.05
M/Tuberculosis (Negative)
HBs Ag (Negative) 0.1
HBs Ab (Negative) 3.1
HbA1C 5.0
HbA1c-IFCC 31.0
HbA1c-eAG 96.8
Protein (B/F) 72.3 (15~45mg/dl)
미생물 검사 => CSF
Veninous blood
Spot urine (이상 없음)
핵의학 검사 => TSH 0.74
TS 89.1
Free T4 1.3 (이상 없음)
CDIS
간호 진단
진단명
간호사정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상세불명의 통증
★주관: “속 울렁거리고 머리도 계속 아파요.”라고 말함.
★단기: 통증 감소.
★Meckool주 iv주사.
★통증 심할 시 알리도록 하고, 진통제 투여 예정임을 설명.
★“머리가 아픈데 견딜만 해요.”라고 말함.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인한 고체온증
★주관: “열이 나는 것 같아요”라고 말함.
★객관: 침상이 땀으로 젖어있으며, 식은 땀을 흘림.
BT: 38.2도
★단기: 체온 감소
★장기: 정상체온으로 유지.
고체온으로 인한 불편감 해소.
★수분섭취 증진으로 탈수방지.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유지.
★발렌탁 IV투여.
★“괜찮은 것 같아요.”라고 말함.
★BT: 36.8도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9.28
  • 저작시기2016.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9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