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론] 국외의 아동복지 정책을 사례조사하세요 [아동복지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론] 국외의 아동복지 정책을 사례조사하세요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국의 아동복지 정책

2. 영국 아동복지 정책 사례 조사
1) Sure Start 개요
2) Sure Start 대상 아동
3) Sure Start 서비스 내용
4) Sure Start 전달체계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Sure Start Children's Center는 기존의 다양한 보육 관련시설(Sure Start local programmes, neighbourhood nurseries, early excellence centers)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만약 기존의 시설들이 매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 센터는 이러한 시설들과 연계하여 협조적으로 사업을 하도록 하고 있다. 즉, 기존에 존재하는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러한 시설들을 센터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Sure Start 프로그램 수행 기관은 아동센터(Children’s Centers), 지역슈어스타트 프로그램(Sure Start Local Programmes : SSLP), 조기우등기관(Early Excellence Centres), 이웃보육서비스(Neighborhood Nurseries)이다. Sure Start의 운영조직을 영국 에드먼톤 사례를 들어 살펴보면 에드먼톤 슈어스타트는 Management Board Membership이 자금지원, 조직관리 등 주된 의사결정을 수행하면서 보육, 아동에 대한 조기개입, 건강 및 가족기능 향상 등 사업 목표에 대한 서비스 조정을 Central team에서 수행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국외의 아동복지 정책을 사례조사해 보았다. 최근 우리사회는 20~30대 젊은층의 결혼과 출산을 연기하거나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하여 출산율이 급격하게 낮아진 까닭에 아동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출, 이혼 등에 따르는 가족의 해체가 심화되어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수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더구나, 사회 양극화 현상,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현상은 가족의 전통적인 아동 보호 기능을 약화시켜 아동의 양육 여건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보장제도로서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복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가족수당과 같은 사회수당제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은 아동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아동이 속한 가족을 대상으로 지원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직접적인 보호와 지원은 다양한 아동복지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순형(2004). 아동복지-이론과 실천. 학지사.
한성심 외(2013). 아동복지론. 창지사.
서문희(1999). 외국의 어린이를 위한 행정실태 : 일본·호주·미국의 아동복지를 중심으로. 도시문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9.26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9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