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간호 사례별 답변, 학교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택간호 사례별 답변, 학교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재택간호의 이해

2장 재택간호와 의사소통

3장 재택간호과정

본문내용

전에 노인요양보험제도를 신청하고 장기요양등급을 3등급으로 인정받았다(재가급여 월한도액은 814,000원이다)
생활 상황 등 : 73세 때 체력의 쇠약과 노인성백내장의 진행으로 시력이 저하되고 세밀한 사무작업이 어려워져서 그때까지 부부가 운영해오던 주점을 닫았다. 그 후는 저금과 연금, 아들의 원조로 생활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한 달에 50만원이고 아들에게서는 매 달 40만원의 원조를 받고 있다. 현재는 한 달에 1회의 통원(내과와 안과)치료를 받는 날 외에는 거의 집에서 지내고 있다. 아내는 가능한 박씨가 자립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싶지만 아내도 무릎관절이 아파서 걷기훈련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관에 계단도 있고 실내에 난간도 없어 아내와 걷다가 둘 다 넘어진 적도 있다. 사람들과의 교류가 줄어들어서인지 이해력도 약간 저하되고 어려운 질문에 대답하기 힘들어 한다.
<연습>
1. 대상자 사례에 관한 문제점과 케어의 방향성을 기술하시오
※정보수집내용에 따른 문제점 도출
1)신체상태, 생활상태 와 관련 : 질병상태-13년간 고혈압, 뇌경색으로 좌측 반신마비, 노인성 백내장, 전신 체력쇠약
2)생활상태 ,요양환경 : 현관에 계단 존재, 실내에 난관이 없어 자주 넘어짐
--> 케어방향
대상자의 좌측반신마비로 거동이 불편,노인성 백내장으로 보행 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다. 전신쇠약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집안에서 돌볼 수 있는 부인이 거동이 힘들기 때문에 환자혼자서 거동할 수 있도록 보행보조기구가 필요하다. 마비에 대한 재활훈련을 멈출 수는 없다. 현관에 존재하는 계단을 메꾸어 편평한길로 변경시켜 재활과 낙상예방을 방지하다. 이동 시 사용 할 수 있는 휄체어에도 용이하다. 낙상방지와 보행연습을 위해 실내벽면에 난관을 설치한다.
3)대상자의 질병에 대한이해 와 기대
부인은 타인이 집에 오는 것을 꺼려하는 성향으로 환자의 사람과의 교류가 감소하여 이해력이 저하되고 어려운 질문에 답하기 힘들어 한다.
-->질병 상태의 변화 혹은 유지하는 것에 대한 목표를 설립하기 위해 환자와보호자에게 함께 정보를 주고 정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4) 요양상황
-수발자의 건강상태, 요양자 본인과의 관계 : 돌볼 수 있는 부인이 무릎관절 통 증으로 걷기가 불편함
-다른서비스 이용의 가능성(의사,경제력,지역성) : 매달 일정금액의 수입이 있지만, 성인2명이 생활하기에는 부족하다.
_보건 복지 서비스의 내용 : 장기요양등급3급으로 월 한도액 ,814000원
-->장기요양등급3급으로 월 한도액 814000원/국민연금50만원 /아들의 원조40만원이지만 지출(한달 1회의 통원치료)과 성인 2명의 생활비로는 부족하다. 다른 지역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복지관,보건소등에 연계시킨다.
**계획 설명 시 대상자와 요양자가 참여하도록 하여야 하며,
평가(자가평가,이용자의 평가, 제3자의 평가) 계획도 함께 세운다.
2. 노인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노인요양보호사업의 care manager로서 아래 사례에 대 한 요양급여계획(care plan)을 수립하시오(교과서 부록 참고)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란 수급자(어른신)가 장기요양급여를 공단에서 인정한 범위내 에서 적정하게 이용할수 있도록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원이 전산프로그램으로 작성해 주는 것이다.
-장기요양급여제공계획서 :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급여종류(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복지용구), 시간, 복지용구계약 내용, 비급여 계약내용,등에 관한 계획서이다.
-장기요양등급 판정기준
등급판정은 주관적인 개념이 아닌 “심신의 기능상태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도움(장기요양)에 얼마나 필요한가”를 지표화한 장기요양인정점수를 기준으로 한다. 1~5등급이 있으며 3등급은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60점 이상 75점 미만인 자
-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따른90개 항목은 신체기능(12항목),인지기능(7항목),행동변화(14항목), 간호처치(9항목),재활(10항목),운동장애(4항목),관절제한(6항목)등이 있다.
대상자는 좌측반신마비로 부분적으로 다른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요양등급 3등급이다.
표준 장기요양 이용 계획서의 장기 요양목표로 1) 현재 신체기능상태 유지2) 신체기능 상태악화방지 및 합병증 예방 3) 가족수발부담 경감을 세운다.
보호자가 타인이 집 방문하는 것을 꺼려하므로 복지용구를 이용할수 있도록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9.28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9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