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염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낭염 케이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2. 섬망에 대한 간호
3. 진단적 검사
4. 진단적 검사와 간호 (* 소화기센터에서 볼 수 있는 진단적 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본문내용

me
3세대 항생제
GOT/GPT/ALP 상승, 빈혈, 혈소판 감소증, 호중구 감소, 백혈구 감소, 쇼크, 설사 등
Pethidine
마약성 진통제
호흡억제, 착란, 건망, 경련, 부정맥, 심계항진, 혈압변동, 어지럼증, 시력조절장애, 구갈, 오심, 구토 등
Fentanyl
마약성 진통제
의존성, 호흡억제, 의식장애, 쇼크, 경련, 시야 흐림, 변비 등
Lirectan Gran
저알부민혈증 개선 작용
변비, 복부팽만감, 간 수치 상승,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 등
Silymarin
독성 간질환, 간세포 보호, 만성 간염, 간경변
복통, 설사, 과민반응 등
Quetiapine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등의 치료제
졸음, 초조, 오심, 두통, 기립성 저혈압, 빈맥, 변비 등
Tamsulosin
양선 전립선 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에 작용
현기증, 졸음, 저혈압, 피로, 오심, 구강건조 등
Mg. oxide
제산작용 및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같은 증상의 개선. 변비 완화
설사, 고마그네슘혈증 등
Targin
마약성 진통제
식욕감소, 불안, 어지럼증, 두통, 복통, 저혈압, 소화불량 등
Motilitone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작용
변비, 설사, 발진, 소양증 등
Beecom
비타민 B1, B2, B6, C의 보급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6. 간호과정
간호 진단
1.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 foley, JP tube를 보며 “이것들은 다 간질간질 귀찮아. 이거 빼 도 되는거 아니야”라고 말함 (7/22)
객관적 자료
- PR : 110대, U/O poor (7/17)
- PR : 110대, fever : 37.8이상 (7/21)
- foley 삽입 중임
- JP tube 삽입 중임(7/17~7/22)
- CBC검사 결과
간호 목표
대상자는 감염지표(WBC, CRP, lymphocyte)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배액관 remove시 까지 삽관부위에 감염sign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배액관 제거 시까지 배액관 관리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 및 배액관 삽입 부위가 깨끗하게 피부색변화 와 oozing없이 유지 될 것이다
간호 계획 및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① JP tube가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게 고정 상태를 확인 한다.
urine bag을 도뇨관 삽입부위 보다 낮게 위치시키도록 한다.
절개 부위 overextention, over-rotation의 금지를 교육 한다.
감염예방을 위한 손씻기, 절개 부위 관리(절개부위 만지지 않 기, 물 닿지 않도록 하기)를 교 육한다.
tube가 꼬이면 배액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고정이 되지 않으면 tube가 빠질 수 있다.
urine bag이 방광보다 위에 위치하면 urine bag속의 소변이 방광으로 역류해서 감염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절개부위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 평가
절개부위에 삽입된 JP tube를 통해 serosanguineous(장액 혈액 성)양상으로 배액되는 상태임
foley catheter를 통해 배뇨되는 urine은 clear하며 straw color(담 황색)로 배액되는 상태임
간호 진단
2. 기관 ·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 “기침하면 여기가(수술부위) 아파..”
객관적 자료
- PR : 110대, fever : 37.8이상 (7/21)
- CBC검사 결과
간호 목표
기도 개방성이 유지된다.
1시간마다 기침과 심호흡 10회, coach 1회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간호 계획 및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① semi-fowler’s position 취하도록 한다.
심호흡 후 2초간 멈추고 연속해서 2~3회 기침하도록 한다.
coach 사용을 격려한다.
환자에서 숨을 깊이 들이쉬고 천천히 내쉬고, 내쉰 후 끝에 기침하도록 교육한다.
기침 시 수술 부위를 양손으 로 지지하도록 한다.
최적의 폐확장을 돕기
위함 이다.
대상자의 환기를 최대화 한다,
심호흡을 할 때는 바른 자세보다는 구부린 자세가 흉곽내압을 올려 분비물이 잘 나오도록 도와준다.
얕은 기침으로는 목안에 있는 가래만 배출되도록 하므로 올바른 기침법을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
절개부위를 지지하며 깊은 기침을 하면 불편감이 최소 화 될 수 있다.
간호 평가
coach 사용 시 500cc, 2sec 측정됨
심호흡 방법과 중요성에 대해 이해함
보호자 분의 도움을 받아 심호흡 잘함
환자분은 반좌위로 자주 앉아 계셔서 기도의 개방성이 유지됨
간호 진단
3. 연령, 의식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자료 수집
객관적 자료
- Morse Fall Scale : 35점(7/17) → 45점(7/20) → 70점(7/22)
- 수술 후 의식저하 관찰됨
- G/W있음
간호 목표
퇴원 시 까지 낙상으로 인한 신체손상이 없다.
생활 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간호 계획 및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서 교육한다.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도록 교육한다.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간호사 호출기, 소지품은 손 가까이 배치하며 주변에 위험한 물건을 두지 않는다.
필요 시 호출할 수 있도록 간호직원 호출기 사용법을 교육한다.
이동 시 보조기구
(walker/wheelchair/cruthch)를 제공하고 사용법을 알려주고, 이용 시 낙상에 대해 주의 시킨다.
낙상의 예방을 위하여
낙상의 위험요소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과
가족 치료자들에 대한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위급상황 시 신속히
대처하기 위함이다.
낙상 발생 가능성에 대하 여 미리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걸음걸이나 균 형 감각 또는 근육의 힘 을 평가하여 낙상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간호 평가
침대의 side rail이 항상 올려져 있는 모습을 관찰함
보호자분이 항상 환자분 옆에 상주해 있는 모습을 관찰함
환자와 보호자분 모두 간호사 호출기의 사용법을 알고, 필요시 호출할 수 있음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10.05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